불경

삼귀의 사홍서원

유프랭크지안 2017. 6. 23. 22:55

삼보

1. 불보(佛寶)

삼신불(三身佛)

1) 법신불(法身佛): 진리 자체를 부처님으로 보는 것이다.

) 청정법신비로자나불

2) 보신불(報身佛): 수행의 결과로 완성되어진 부처님

) 아미타불, 노사나불

3) 화신불(化身佛): 중생들을 교화하기 위하여 몸을 나투시는 부처님.

) 석가모니불

2. 법보(法寶)

1) (): 부처님의 말씀

2) (): 제자와 재가불자가 지켜야 할 계율

3) (): 부처님 가르침을 쉽게 설명되어진 논서

3. 승보(僧寶)

사부대중(四部大衆)과 칠중(七衆)

1) 비구(比丘): 250계를 받으며 걸사(乞士)라 한다.

2) 비구니(比丘尼): 348계를 받으며 걸사녀라 한다.

3) 사미(沙彌): 10계를 받은 나이 어린 남자스님.

4) 사미니(沙彌尼): 10계를 받은 나이 어린 여자스님.

5) 우바새(優婆塞): 청신사라 하고 가정을 가지고 있는 남자신도 (거사)

6) 우바이(優婆夷): 청신여라 하고 가정을 가지고 있는 여자신도 (보살) 

삼귀의계

1. 귀의불 양족존

2. 귀의법 이욕존

3. 귀의승 중중존

三歸依戒

1. 歸依佛 兩足尊

2. 歸依法 離欲尊

3. 歸依僧 衆中尊

The Three Refuges

1. I take refuge in the Buddha

2. I take refuge in the Dharma

3. I take refuge in the Sangha.

(1) 거룩한 부처님께 귀의합니다.

(2) 거룩한 가르침에 귀의합니다.

(3) 거룩한 스님들께 귀의합니다.

1. 이미 부처님께 귀의하였사오니, 몸과 목숨을 버릴지언정 다른 종교는 믿지 않겠습니다.

2. 이미 부처님의 가르침에 귀의하였사오니, 몸과 목숨을 버릴지언정 다른 종교의 가르침에 의지하지 않겠습니다.

3. 이미 거룩한 스님들께 귀의하였사오니, 몸과 목숨을 버릴지언정 다른 종교의 사람들에게 의지하지 않겠습니다. 

사홍서원

1. 중생무변서원도

2. 번뇌무진서원단

3. 법문무량서원학

4. 불도무상서원성

四弘誓願

1. 衆生無邊誓願度

2. 煩惱無盡誓願斷

3. 法門無量誓願學

4. 佛道無上誓願成

Four Great Vows

1. I vow to save all beings.

2. I vow to end all sufferings.

3. I vow to learn all dharma teachings.

4. I vow to attain Enlightenment.

1. 중생을 다 건지오리다.

2. 번뇌를 다 끊으오리다.

3. 법문을 다 배우오리다.

4. 불도를 다 이루오리다.

1. 중생은 그 가가 없어 온 법계에 항상 존재한다.

보살은 이토록 가없는 중생을 다 구제하기를 서원하며 중생을 다 구제한 다음에야 자신이 성불할 것을 스스로 다짐한다.

그러나 중생이 가없으니, 보살의 구제행도 결코 끝이 있을 수 없다.

따라서 그는 영원히 보살일 수밖에 없는, 실로 너무나 크고 위대한 서원인 것이다.

2. 중생이 가없는 것처럼 중생의 번뇌도 끝이 없다.

구도자로서의 보살은 중생으로 하여금 번뇌를 끊게 하는 것처럼, 자신의 번뇌도 무진함을 알고 그것을 끝까지 없애기를 서원하는 것이다.

3. 시방과 삼세를 통하여 모든 부처님께서 중생을 위해 법의 문을 여시니, 그 양은 결코 헤아려 알 수가 없다. 뿐만 아니라 온 법계가 그대로 부처님의 몸 나투심이니 또한 일체 존재 그대로가 다 법문 아님이 없다.

스스로 성불의 길을 향해 가는 보살은, 그래서 한없는 법문을 남김없이 다 배우고자 서원하는 것이다.

4. 깊고 깊고 미묘해서 그 이상이 있을 수 없는 법, 그것이 곧 부처님의 길이다. 그러나 아무리 높아도 보살은 모든 중생과 함께 언젠가는 반드시 그곳에 도달하지 않으면 안 된다.

무릇 생명 있는 것들이 구경에 가야만할 안심 입명의 대지, 모든 중생의 궁극적 희망인 불도의 성취를 보살은 이렇게 서원하는 것이다.

불교 행사의 필수 서적





'불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법성게  (0) 2017.06.24
천수경  (0) 2017.06.23
전각 예경문  (1) 2017.06.23
칠정례  (0) 2017.06.23
반야심경  (0) 2017.0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