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영반시식 12. 영반시식靈飯施食 위패와 영정을 영단에 올려놓는다. 의식 거불 (불명을 칭하여 가피를 구함) 擧佛 나무 극락도사 아미타불 南無 極樂導師 阿彌陀佛 나무 관음세지 양대보살 南無 觀音勢至 兩大菩薩 나무 대성인로왕보살 南無 大聖引路王菩薩 창혼 (영가를 부름) 唱魂 거 사바세계 據.. 의식-영가시다림 2017.07.19
11. 반혼재 11. 반혼재 返魂齋 1)상단 上壇 거불 (불명을 칭하여 가피를 구함) 擧佛 나무 불타부중 광림법회 南無 佛陀部衆 光臨法會 나무 달마부중 광림법회 南無 達磨部衆 光臨法會 나무 승가부중 광림법회 南無 僧伽部衆 光臨法會 정법계진언 (법계를 맑게 하는 진언) 淨法界眞言 [옴 람] 3번 다게 .. 의식-영가시다림 2017.07.19
10- 위패봉안 10. 위패봉안 位牌奉安 영가의 위패를 절에 안치하는 의식. 상주는 영정과 위패를 앞에 안고 법당 부처님께 예를 올린다. 의식 1) 상단 사성례 上壇 四聖禮 헌향게 獻香偈 아금지차일주향 我今持此一炷香 변성무진향운개 變成無盡香雲蓋 봉헌극락사성전 奉獻極樂四聖前 원수애납수 願垂.. 의식-영가시다림 2017.07.19
9. 매장 9. 매장 埋葬 매장으로 모실 때 장지에 도착하기 전까지는 다비식과 같은 의식이며 장지에 도착하면 매장의식으로 진행한다. (1) 준비 영정과 위패를 장지 위쪽 좌우 한적한 곳에 모시고 간단한 음식을 진설 후 의식을 진행한다. (2) 진행 하관. 산신불공. 아미타불공. 평토제 평토제를 마치.. 의식-영가시다림 2017.07.18
8. 유골봉안 8. 유골봉안 遺骨奉安 납골당에서 유골을 봉안할 때 간단한 의식 의식 거불 (불명을 칭하여 가피를 구함) 擧佛 나무 극락도사 아미타불 南無 極樂導師 阿彌陀佛 나무 관음세지 양대보살 南無 觀音勢至 兩大菩薩 나무 대성인로왕보살 南無 大聖引路王菩薩 창혼 (영가를 부름) 唱魂 불자 00(.. 의식-영가시다림 2017.07.18
7. 화장-다비 7. 화장火葬 다비(茶毗) 일반 화장 장에 들어가면 정해진 장소와 정해진 화구에 순서에 따라 화장이 진행된다. 특별 전통 다비(스님)는 땅에 연화대를 설치하여 진행한다. 미타단작법 彌陀壇作法 ※ 화장장에 도착하여 약간의 주과를 차려놓고 화장 전에 올리는 불공. 화장장의 순서에 따.. 의식-영가시다림 2017.07.18
6-발인제 6. 발인제發靷祭 영결식은 관을 밖으로 옮긴 다음 식순에 따라 진행하고 식이 없을 경우에는 발인제를 지내고 출상한다. 영결식순 개식→삼귀의→독경→묵념→약력소개→청혼→발인축→헌화→발원문→분향→폐식→출상 반혼착어 返魂着語 신원적 000 영가 新圓寂 000 靈駕 영명성각묘.. 의식-영가시다림 2017.07.18
5-성복제 5. 성복제 成服祭 영단에 음식을 진설하고 상주들은 상복을 입고 곡을 하며 영가에게 첫 시식을 한다. 성복제가 끝나면 조문객은 조문을 시작한다. 의식 거불 (불명을 칭하여 가피를 구함) 擧佛 나무 극락도사 아미타불 南無 極樂導師 阿彌陀佛 나무 관음세지 양대보살 南無 觀音勢至 兩.. 의식-영가시다림 2017.07.18
4-염습 4. 염습 殮襲 목욕준비물 향탕수 두그릇. 새솜 세뭉치, 새수건 세벌. 주머니 오장. 버드나무비녀 한개(여자) 수의준비물 속옷. 겉옷. 복건. 충의. 명목. 악수. 신발. 천금. 지금. 소렴포 반함준비 생쌀 한홉. 버드나무 수저. 무공주 입관준비물 관. 명정. 출회. 배지. 대렴포. 첩의하. 장지 광목.. 의식-영가시다림 2017.07.17
3-영안실 3. 영안실 靈安室 절에서 현왕청을 하고 준비물을 챙겨서 장의식장으로 가서 시다린을 행한다. ※ 준비물 의법책. 목탁. 요령. 탑다라니. 필수번(인로왕번. 아미타번) 기타번(오방번. 시왕번) 시다림 尸陀林 1. 오방례 五方禮 오방례는 동서남북 중앙 오방에 계신 부처님을 청하여 예배하는.. 의식-영가시다림 2017.0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