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용어 ㅎ부 ㅎ 하마선(下蟆禪) 두꺼비는 한갓 뛰는 것만을 알고 다른 활발한 활동을 알지 못하는 것 이믈 선하는 사람이 한편에만 고집하고 자유로운 살림살이가 없는 이를 꾸짖는 말. 나뭇잎에 앉아 있는 두꺼비 모양이 좌선하는 것과 비슷함으로 좌선이라 이름을 붙임. 하안거(夏安居) 음력 4월.. 불교용어 2017.05.29
불교용어 ㅍ부 ㅍ 팔고(八苦) 중생들이 받는 여덟 가지의 고통. 사고팔고라고도 하며 생(生) 노(老) 병(病) 사(死)의 사고(四苦)와 사랑하는 사람과 이별의 고통인 애별리고(愛別離苦) 원망하고 증오하는 이를 만나는 마음의 고통인 원증회고(怨憎會苦) 구하는 것을 얻지 못하는 소유욕의 고통인 구부득고.. 불교용어 2017.05.28
불교용어 ㅋㅌ부 ㅋ 괘불 괘불은 기우제, 영산제, 예수제, 수륙제 등 사찰에 대중이 많이 모이는 큰 집회 때 야외에 모셔지는 거대한 불화이다. 평소에는 법당 뒷편의 괘불함에 보관되며, 사용시에는 옥외의 괘불대에 걸려진다. 이러한 괘불의 조성은 불교국가 일반에 보편한 것이 아니라, 우리나라와 서.. 불교용어 2017.05.28
불교용어 ㅊ부 ㅊ 찰나 지극히 짧고 빠른 시간을 찰나라고 한다. 찰나 또는 차나라고 음역하며 일념이라고 번역한다. 찰나를 시간단위로 환산하면 1/75초가 된다고 하는데 보통 우리가 생각하는 시간관념에서는 느낌조차 없는 상태이다. 가는 명주 한 올을 젊은 두 사람이 양쪽 끝을 당기고 단도로 단숨.. 불교용어 2017.05.28
불교용어 ㅈ부 ㅈ 자비(慈悲) ① 자비란 자기 이외의 사람들을 고뇌에서 자유롭게 해 주는 것을 말한다. 慈는 적극적으로 상대방에게 이익과 안락을 보태주는 것이고, 悲는 고통 받는 사람의 불이익과 괴로움을 덜어주는 것이다. ② 자비는 어둠 속의 중생에게 광명을 주고 괴로운 자에게 즐거움을 주는.. 불교용어 2017.05.28
불교용어 ㅇ부 ㅇ 아(我) 육친(六親)의 비견(比肩) 겁재(劫財)을 묶어서 이르는 말. 아귀(餓鬼) 생전에 저지른 악업이 무거워서 아귀도에 빠진 귀신이다. 몸뚱이는 태산집채만 한데 목구멍은 바늘구멍 같아서 제대로 먹을 수가 없어 굶주림과 갈증으로 몸서리치는 귀신이라 한다. 아귀도란 아귀 귀신들만.. 불교용어 2017.05.28
불교용어 ㅅ부 사겁(四劫) 불교에서 말하는 세계 설. 세계가 구성되어서부터 무너져 없어지는 동안을 4기로 나눈 것. 곧 성주괴공(成住壞空) ① 성겁은 세계가 처음 생기는 기간 ② 주겁은 생겨서 존재하고 있는 기간 ③ 괴겁은 차차 파괴되는 기간 ④ 공겁은 다 없어져 공무(空無)한 기간 이 각 기간을 20.. 불교용어 2017.05.28
불교용어 ㅂ부 바라 불구의 하나인 바라는 사찰에서 법회시에 사용하는 금속악기로, 동반이라고도 한다. 전체적인 형태는 서양악기의 심벌즈와 비슷하고 그 모양은 머리에 쓰는 갓과 같다. 타악기의 일종으로, 동으로 만든 두 개의 평평한 접시모양의 원반형태인데 중앙에 움푹 들어간 부분에 구멍을 .. 불교용어 2017.05.28
불교용어 ㄹㅁ부 라훌라 존자 석가 10대 제자의 하나. 밀행 제일의 라훌라 존자. 부처님이 출가하기 일주일 전에 태어난 아들로 15세의 나이로 이모인 마하파자파티와 함께 출가하여 후일 아라한이 되었다. 사리불을 스승으로 모시고 최초의 사미승이 되었다. 아라한이란. 제자들 가운데 큰 깨달음을 이루.. 불교용어 2017.05.27
불교용어 ㄷ부 다기(茶器) 불교의 불구의 하나. 맑은 청수를 올리는 그릇이다. 북방불교(중국한국 일본)에서만 사용하는 불구로서 차는 모든 번뇌의 열을 시키고 심신을 편안케하여 몸과 마음을 안정케 하는 청정과 선정을 상징하기도 한다. 중국에는 물이 좋지 않아 차를 달여 올려서 차 그릇이라 하여.. 불교용어 2017.0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