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학사전-ㅍ-7 ㅍ부-7 풍수 인테리. 침실 낮 동안의 활동을 통해 잃어버렸던 운은 잠을 자는 동안 주위에 있는 기를 통해 보충하고 내일을 준비하게 된다. 때문에 침실은 자신의 운을 좌우하는 중요한 공간이다. 특히 수면 중에는 몸의 기가 수의 기로 변하고 머리로 좋은 기를 흡수하게 되므로 수의 기.. 역학백과사전-ㅍ부 2017.10.15
역학사전-ㅍ-6 ㅍ부-6 풍수(風水) 風水는 글자 그대로 해석하면 바람과 물이라는 뜻으로 땅과 공간의 해석과 활용에 대한 동아시아의 고유 사상이다. 음양오행설을 바탕으로 한 동아시아의 자연관이 잘 나타나 있으며 실제로 조경과 건축 등에 영향을 미쳤다. 풍수 사상은 중국 전국 시대 말기 이전부터.. 역학백과사전-ㅍ부 2017.10.15
역학사전-ㅍ-5 ㅍ부-5 포대화상 포대화상을 중국에서는 미륵부처님의 화신이라고 한다. 우리나라에는 행적이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중국에서는 미륵보살의 화현이라고 하여 신앙의 대상으로 섬겨지고 있다. 포대화상은 중국 당나라 명주 봉화현 사람으로 법명은 차(此)이다. 호를 장정자라 했고 악림.. 역학백과사전-ㅍ부 2017.10.15
역학사전-ㅍ-4 ㅍ부-4 패 (불명패,전패,위패) 불보살의 명호를 적은 것을 불명패라고 하고, 국태민안, 소원성취 등의 발원과 함께 왕족의 만수무강을 축원하는 내용을 적은 것을 전패라고 하며, 영가의 신위를 모신 것을 위패라고 한다. 그 형태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단순히 패의 아래쪽에 연화대좌만을.. 역학백과사전-ㅍ부 2017.10.15
역학사전-ㅍ-3 ㅍ부-3 팔상도 석가모니부처님의 탄생에서부터 열반까지를 여덟 장면으로 나누어 설명한 그림으로이다. 1) 도솔래의상(도솔에서 내려오는 장면) 2) 비람강생상(룸비니 동산에서 탄생하는 장면) 3) 사문유관상(四門밖에 나가 관찰하는 장면) 4) 유성출가상(성을 넘어 출가하는 장면) 5) 설산.. 역학백과사전-ㅍ부 2017.07.19
역학사전-ㅍ-2 ㅍ부-2 팔방(八方) 사방(四方)과 사우(四隅), 東 西 南 北과 北東, 北西, 東南, 東西의 여덟방위. 건(乾) 감(坎) 간(艮) 진(震) 손(巽) 이(離) 곤(坤) 태(兌)의 여덟방위. 팔배. 장군팔배 무속용어. 황해도의 일부 무속인이 작도를 탈 때 입는 장군복을 말하며, 아래가 각색으로 여러 갈래로 되어 .. 역학백과사전-ㅍ부 2017.07.01
역학사전-ㅍ-1 ㅍ부-1 파(破) 파(破)는 파괴작용을 하며 형충 보다는 작용력이 약하다. 子酉破, 寅亥破, 丑辰破, 卯午破, 巳申破, 戌未破(形) 1) 子酉破 신경쇠약 간질 정신적 발광증 부부간에 의심하여 조용한 생활을 하기 어렵다. 2) 丑辰破 형제 동기간에 불화가 많고 인간의 덕이 적다. 구제중생의 정신.. 역학백과사전-ㅍ부 2017.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