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학사전-ㅅ-31 역학사전-ㅅ부-31 십이운성(十二運星) 십이지는 음과 양이 발생하고 성장하며 성숙하고 노쇠 하는 왕쇠 강약을 세부적인 치수로서 나타낼 뿐 아니라 오행의 왕쇠 강약까지도 세밀히 밝혀준다. 음양의 3양3음은 음양의 왕쇠 강약을 1에서 6까지 6단계로 나눈 데 반해서 오행의 왕쇠 강약은 1.. 역학백과사전-ㅅ부 2017.12.01
역학사전-ㅅ-30 역학사전-ㅅ부-30 실상염불(實相念佛) 1) 자신과 아울러 일체 제법의 진실한 자성인 법신을 관하는 것. 2) 4종 염불의 하나로 자신과 아울러 일체제법의 진실한 자성(自性)인 법신을 관하는 것. 실패(失敗) 일이 뜻한바 대로 되지 못하거나 그릇됨. 뜻을 이루지 못함. 심룡(尋龍) 풍수(風水)의.. 역학백과사전-ㅅ부 2017.12.01
역학사전-ㅅ-29 역학사전-ㅅ부-29 신묘(辛卯) 六十甲子의 28번째. 1) 年 : 흰토끼. 2) 月 : 산야초와 특히 약초가 돋아나는 계절. 3) 日 : 甲정재10 乙편재2, 멋, 날카로움, 겁이 없음. 4) 時 : 냉정한 시기. 신묘(辛卯) 일(日) 경쟁심의 辛金이 偏財인 乙木을 만난 형상이다. 이러한 성분의 결합은 상당히 강력하게 .. 역학백과사전-ㅅ부 2017.12.01
역학사전-ㅅ-28 역학사전-ㅅ부-28 시다림(尸茶林) 1) 사람이 죽어 다비하기까지 정중한 의식을 하게 되는데 이런 의식을 시다림이라고 한다. 이 시다림이란 말은 부처님 당시 사람이 죽으면 사다림이라는 숲에 버리는 관습이 있었는데 석존께서 그 시다림에 가서 죽은 사람들을 위해 무상법문을 한 데서 .. 역학백과사전-ㅅ부 2017.12.01
역학사전-ㅅ-27 역학사전-ㅅ부-27 숭배(崇拜) 숭배(崇拜)란 어느 신이나 사람, 또는 물체 등을 섬기는 것을 의미한다. 숭배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 자연숭배 이 부분의 본문은 자연숭배이다. 1. 천(天)은 고대(高大)하고 원유(遠幽)한 거리와 그 불변성(不變性)으로 인하여 사람들의 신성(信誠)의 대상.. 역학백과사전-ㅅ부 2017.12.01
역학사전-ㅅ-26 역학사전-ㅅ부-26 수천수(水天需) 성명 역괘 61 괘. 늙은 나무 즉 고목이 따뜻한 봄을 만나니 가지와 줄기가 생기를 얻게 되며 봄의 복숭아꽃이 강호 위 천리에 빛이 있게 된다. 수천수(水天需) 年運 위는 물水坎이요 아래는 乾 하늘이니 水天需라 한다. 需(수)는 수(須)와 같은 것이니 기다.. 역학백과사전-ㅅ부 2017.12.01
역학사전-ㅅ-25 역학사전-ㅅ부-25 수세심혈법(水勢尋穴法) 風水 혈세(穴勢)의 하나. 수세심혈법(水勢尋穴法)은 물을 보고 혈(穴)을 찾는 방법(方法)이다. 물은 움직이는 양(陽)의 기운(氣運)이다. 반면에 용(龍)은 움직이지 않는 음(陰)의 기운(氣運)이다. 혈(穴)은 산과 물이 서로 만나 음양조화(陰陽造化)를.. 역학백과사전-ㅅ부 2017.12.01
역학사전-ㅅ-24 역학사전-ㅅ부-24 수궁(手宮) 당사주 팔궁의 하나. 빼어난 솜씨를 유감없이 발휘하면 그 대가를 스스로 거둬들이는 손복이 있는 운이다. 뭐든지 직접 참여해 솜씨를 발휘하라. 천하가 그 손안에 있으니 만지면 다 마음대로 변모해 준다. 아무리 쉬운 일이라도 그 손이 닿지 않으면 제 것이 .. 역학백과사전-ㅅ부 2017.11.18
역학사전-ㅅ-23 역학사전-ㅅ부-23 송백목(松柏木) 庚寅辛卯 松柏木, 木은 寅에서 임관(臨官)이고 卯에서 제왕(帝旺)이니 木이 이미 生旺한 즉 유약(柔弱)하지 않은 도움이므로 송백목(松柏木 소나무와 측백나무. 모두 상록수이므로 굳은 절개나 장수를 비유함)이라 한다. 눈이 날리고 얼음이 얼어서 하늘.. 역학백과사전-ㅅ부 2017.11.18
역학사전-ㅅ-22 역학사전-ㅅ부-22 손바닥 기호(記號) 일명 문(紋)이라 함. 손에는 여러 가지 금이 나타나는 이외에 여러 가지의 모양을 한 기호(記號)가 나타난다. 이 기호는 선(線) 위에 나타나기도 하고 독립하여 언덕 위에 나타나기도 한다. 크기도 여러 가지가 있으며 이런 문에도 제각기 의미가 포함되.. 역학백과사전-ㅅ부 2017.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