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학사전-ㅂ-17 역학사전-ㅂ부-17 비로자나불(毘盧遮那佛) 1. 대일여래부처님으로 법신 또는 진신의 부처님. 협시보살로 좌측에 문수보살과 우측에 보현보살 배치함. 삼존불일 경우 좌측보신 노사나불과 우측응신 석가모니불 모심. 2. 지혜와 덕으로 온 세상을 두루 비춰주시는 부처님. 법신불. 1) 비로사.. 역학백과사전-ㅂ부 2017.10.28
역학사전-ㅂ-16 역학사전-ㅂ부-16 비구니(比丘尼) 348계 불교에서 출가하여 구족계(具足戒)를 받은 여자 수행자. 석가모니 부처의 이모인 대애도(大愛道)가 부처의 허락을 받고 출가하여 최초의 비구니가 되었다. 비구니는 비구보다 더 많은 계율을 지켜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비구는 250계, 비구니는 348계.. 역학백과사전-ㅂ부 2017.10.28
역학사전-ㅂ-15 역학사전-ㅂ-15 비견(比肩) 아(我) 比肩者兄弟(비견자형제) 나와 五行이 같고 陰陽이 같은 것. 1) 장점 민첩하고 통솔력이 좋다. 용감 정직하다. 신중하며 강직하다. 일에 열중하고 많은 사람들을 즐겁게 한다. 자신을 사랑하고 중하게 여긴다. 성실하고 담백하다. 일이 분명하고 공정하다. .. 역학백과사전-ㅂ부 2017.10.28
역학사전-ㅂ-14 역학사전-ㅂ부-14 불단(수미단) 부처님을 모시는 단을 불단, 수미단이라고 하는데, 이 불단 위에는 불상을 모시거나 때로는 불사리가 안치되고 예불과 의식에 필요한 법구인 향로, 촛대, 화병 등이 놓인다. 일반적으로 불단을 수미단이라고 하는 것은 수미산을 상징하는 장방형의 수미단.. 역학백과사전-ㅂ부 2017.10.28
역학사전-ㅂ-13 ㅂ부-13 북두칠성(北斗七星) 큰곰자리에서 가장 뚜렷하게 보이는 국자 모양으로 된 일곱 개의 별. 일명 북두성. 북두. 칠성이라고 함. 북방세계 다문천왕(多聞天王) 사천왕(四天王)의 하나. 항상 부처님의 도량을 지키며, 부처님 곁을 멀리 떠나지 않고 부처님의 설법을 하나도 빠짐없이 다.. 역학백과사전-ㅂ부 2017.10.21
역학사전-ㅂ-12 ㅂ부-12 부상(扶桑) 동쪽 바다 속 해가 뜨는 곳에서 자라는 상상의 나무. 부상(富相) 부자의 상. 코가 절통(截筒)과 같이 둥글고 곧고 달아맨 쓸개 같고 허리는 둥글고 등은 두텁고 콧대가 마르고 좌우의 관골이 두두룩하고 지각(턱)부위가 모지고 둥그스럼 하여 옥은 듯하고 앉은 자세와 걸.. 역학백과사전-ㅂ부 2017.10.21
역학사전-ㅂ-11 ㅂ부-11 봉제사(奉祭祀) 봉제사(奉祭祀)는 사삿집에서 제사를 지내 조상을 받드는 일로서, 봉사(奉祀)라고도 부른다. 1) 조선 중기 이전조선 중기인 17세기 전반까지는 봉제사를 후손이 행해야 할 의무로서 여겼고, 봉제사에서 아들과 딸을 구별 또는 차별하지 않았다. 다시 말해 돌아가신 .. 역학백과사전-ㅂ부 2017.10.21
역학사전-ㅂ-10 ㅂ부-10 복성(福星) 당사주의 하나. 천복성(天福星). 1. 초년 차분하고 하는 일이 어른스러우니 칭찬을 받으며 말이 정직하여 속일 줄을 모르니 신뢰를 얻고 행실이 충직하므로 귀여움을 독차지한다. 일마다 복되므로 누구든 도와주고 싶어 하며 사랑을 받는다. 부모의 근심이 있게 될 경우.. 역학백과사전-ㅂ부 2017.10.21
역학사전-ㅂ-9 ㅂ부-9 보신(報身) 보신이라함은 위의 보이지 않는 진여당체인 법신이 형태를 취하여 나타난 몸을 말한 것으로 곧 법신을 인(因)으로 삼아 과보로 나타난 몸이기에 보신이라고 한다. 즉 과거 무량한 시간에 걸쳐 온갖 수행을 한 결과 모든 것이 진리와 하나가 된 채 만덕이 원만하여 얻어 .. 역학백과사전-ㅂ부 2017.10.14
역학사전-ㅂ-8 ㅂ부-8 병진(丙辰) 六十甲子의 13번째. ① 年 : 불룡. ② 月 : 봄철 가믐. ③ 日 : 乙인수9 癸정관3 戊식신18, 희생봉사마음, 어머니 같다. ④ 時 : 출발이 좋음. 병진(丙辰) 일(日) 난폭성(亂暴性)의 丙火가 食神인 戊土와 正印인 乙木과 正官인 癸水를 만난 형태 이다. 궁리하고 연구하는 것으로.. 역학백과사전-ㅂ부 2017.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