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학사전-ㅇ-32 역학사전-ㅇ부-32 입 (논구論口) 입은 말(言)하는 문이 되며 음식을 먹는 도구가 되며 이를 출납관이라 말한다. 입은 또한 바다를 상징하는데 오행으로는 수성이며 사독 가운데 회독에 속한다. 입은 만물 조화의 관문이며 중심을 표현하는 곳으로 상벌과 시비를 분별하는 기관이다. 이곳이.. 역학백과사전-ㅇ부 2017.12.09
역학사전-ㅇ-31 역학사전-ㅇ부-31 임술(壬戌) 천간의 59번째. 1) 年 : 검둥개. 2) 月 : 안개가 많이 끼는 달 3) 日 : 辛인수9 丁정재 합식상3 戊편관18, 자유로움, 예지능력, 미래지향적, 창작 아이디어, 외강내유. 4) 時 : 흡수하고 받아드리는 시기. 임술(壬戌) 일(日) 궁리(窮理)인 壬水가 偏官인 戊土와 正印인 .. 역학백과사전-ㅇ부 2017.12.09
역학사전-ㅇ-30 역학사전-ㅇ부-30 일자문성 일자문성(一字文星)에 부귀쌍전(富貴雙全)이니 도지사, 장관이 나는 귀(貴)한 사격(砂格)이니 산천정기(山川精氣)가 가득하면 산봉정상(山峯頂上)이 네모반듯하고 평평하여 용수(聳秀)하며 청수(淸秀)하게 일자문성(一字文星)을 이룬다. 일자문성(一字文星)의 .. 역학백과사전-ㅇ부 2017.12.09
역학사전-ㅇ-26 역학사전-ㅇ부-26 이무기 이무기는 한국의 전설에 등장하는 상상의 동물이다. 용이 되기 전 상태의 동물로, 여러 해 묵은 구렁이를 말하기도 한다. 차가운 물속에서 1000년 동안 지내면 용으로 변한 뒤 굉음과 함께 폭풍우을 불러 하늘로 날아올라간다고 여겨졌다. 이무기는 호수, 연못, 강 .. 역학백과사전-ㅇ부 2017.12.06
역학사전-ㅇ-25 역학사전-ㅇ부-25 음욕살(淫浴煞) 日柱가 甲寅 乙卯 丁未 戊戌 己未 庚申 辛酉 癸丑이 음욕살이다. 男子의 日柱면 부정한 처를 두고, 時柱면 불효의 자식을 둔다. 女子의 日柱면 인륜의 도를 버리고 배우자의 복이 없으며 심신이 고달프다. 음중지양(陰中之陽) ◕ 陰에서 陽으로 변하는 .. 역학백과사전-ㅇ부 2017.12.06
역학사전-ㅇ-24 역학사전-ㅇ부-24 음궁(淫宮) 당사주 팔궁의 하나. 복이 음부에서 솟음이니 필시 생산하는 데서 발복함이다. 주어진 일에 전전긍긍하지 말고 새로운 일을 창안하고 잉태하여 출산시키는 일이 행운의 열쇠다. 생각을 잉태시켜라. 그리하여 출산시키고 성장 시켜라. 반드시 행운이 열리리라.. 역학백과사전-ㅇ부 2017.12.06
역학사전-ㅇ-23 역학사전-ㅇ부-23 을목(乙木) 일주(日柱) 乙木의 기본형은 정재(正財)이다. 치밀(緻密)하고 꼼꼼하며 빈틈이 없고 또 물질적(物質的)인 분야에 대단히 민감한 성분이기도 하다. 그야말로 재물(財物)이라고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성분은 생명력(生命力)을 의미하기도 하며, 생명력이 끈질긴 .. 역학백과사전-ㅇ부 2017.12.06
역학사전-ㅇ-22 역학사진-ㅇ부-22 육정육갑(六丁六甲) 기도 육정 육갑기도. 북두 자부신선의 옹호와 칠성의 자상 12지신의 큰 가피력을 얻고자 하면 이 육정육갑 기도를 드린다. 1. 기도요령. 1) 조용한 곳에 기도 장소를 정한다. 2) 조그만 상위에 촛불 두 가락, 청수 한 그릇, 향로에 향을 피운다. 3) 매일 해.. 역학백과사전-ㅇ부 2017.12.06
역학사전-ㅇ-21 역학사전-ㅇ부-21 육물(六物) 육물이란, 比丘가 항상 몸에 지니는 육종(六種)의 제구를 말한다. 1) 승가리(大衣) 2) 울다라승(中衣) 3) 안타회(下衣) 4) 발다라(應器) 5) 니사단(坐具) 6) 발리살리대나(록낭)의 여섯 가지 육미(六味) 여섯 가지의 맛 즉 苦(쓴맛), 酸(신맛), 甘(단맛), 辛(매운맛), 鹹(.. 역학백과사전-ㅇ부 2017.12.06
역학사전-ㅇ-20 역학사전-ㅇ부-20 위엄지합(威嚴之合) 天干合의 하나. 丙辛 合化 水.겉으로는 위엄이 있으나 정숙하지 못하고 성격은 잔인하고 색을 밝힌다. 丙日生 辛合은 지혜는 뛰어나나 꾀를 잘 쓰며 예의가 없으며 성생활이 문란하다. 辛日生 丙合은 소심하며 배짱이 약하며 신체도 작은 편이다. 위.. 역학백과사전-ㅇ부 2017.1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