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병시식
책 엮음 순서
구병시식이란
시식 준비물
상단예참
신중청
구병시식 진행
구병시식단
시식
퇴마
샤머니즘
무당
악마
귀신
법성게
약사여래본원경
미륵 상생경
미륵 하생경
지장보살본원경
아미타경
구병시식 救病施食
병든 사람을 구원하기 위해 사찰에서 행하는 일종의 재례의식을 구병시식(救病施食)이라 한다.
시식이란?
업력에 의하여 고통받는 영가(영혼)들에게 법식을 베풀어 천도하는 의식을 말한다.
불교에서는 우리 몸에 발생하는 병의 원인을 크게 두 가지로 본다.
첫 번째는 현세실조병(現世失調病)이라 하여 음식이나 몸과 마음가짐을 조절하지 못해 생기는 병이고,
두 번째는 선세행업병(先世行業病)이라 하여 과거에 저지른 온갖 악업의 결과가 현세의 질병이라는 과보로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특히 누군가를 몹시 괴롭히거나 미워할 경우 그 업의 힘이 잠복해 있다가 현세에 자기 몸의 병으로 나타난다.
우리 몸이 병들었을 때 육체적인 원인을 찾아 물리적으로 다스리는 현대의학적 처방도 당장은 중요하지만, 자신의 업에 대한 참회와 더불어 주변의 모든 원한 관계를 해소하고 고통 받는 중생들에게 자비를 베풀어 공덕으로 병고의 원인을 해소하는 것이 근본적 대책이라 하겠다.
구병시식은 육체와 정신이 따로 떨어져 있는 별개의 실체가 아니라 서로 유기적인 연관관계 속에서 작용하고 있는 현상이라는 연기론적 사고를 바탕으로 복덕을 지어 병고와 액운을 이겨내려는 데에 본래 의미가 있다.
아난존자에 의해 비롯된 불교의 시식은 배고픈 귀신들을 법식을 통해 굶주림을 채우고 불법에 귀의하여 법문을 듣고 하루 속히 안락국에 태어나라는 천도의식이지, 굿이나 귀신을 겁주어 쫓아내려는 미신적 행위가 아니다.
오히려 그들을 만족시켜 원한의 마음을 풀게 하는데 있다.
구병시식에서 영혼에게 드리는 향화청가영(香花請歌詠)을 살펴보면, 빚진 사람 원수가 되어 사랑하고 미워하는 마음 그치지 못해 지금 시식을 베풀어 법식을 제공하니 무릇 깨달아 원한을 푸소서로 되어 있어, 구병시식이 전생의 빚을 갚고 원한을 풀어 현재의 병고를 이겨내는 의식임을 알 수 있다.
특히 구병시식은 일반불자들이 행할 수 있는 의식이 아니다.
수행 공덕이 높으신 스님에 의하여 진행해야 하는 것이다.
<의식내용 책에 자세하게 기록>
준비물
1) 상단 공양물
쌀, 과일, 떡
2) 신중단 공양물
쌀, 과일, 떡
3) 시식법구
소북, 소종, 목탁, 요령, 징
4) 구병시식 준비품
병풍2,
나무대성초면귀왕비증보살마하살(1장)
南無大聖焦面鬼王悲增菩薩摩訶薩
남귀 그림3, 여귀 그림3, 혼합귀 그림1
말 그림 7장
됫박 7개
향로, 촛재, 다기, 붉은 팥, 청수, 솔가지, 영가옷, 영가돈
5) 시식단 공양물
밥 7그릇, 탕 7그릇, 나물 7접시, 떡 7접시, 전7접시, 과자7접시, 과일7접시
술잔7개, 말밥(여물) 7그릇, 된장물 1양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