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경06-화엄경 약찬게 화엄경 약찬게 華嚴經 略纂偈 [화엄경 약찬게]는 [법화경 약찬게]와 더불어 불교의식에서 많이 읽혀지는 [화엄경]을 요약한 게송이다. 용수보살이 [대방광불화엄경]의 대의를 간략히 줄여 화엄의 가장 중요한 요의만을 서술했다고 전해지고 있다. 우리나라 대중불교의 신행 생활에서 관.. 사경시리즈 2017.05.22
사경05-관세음보살 보문품 觀世音菩薩普門品 관세음보살보문품 관세음보살보문품(觀世音菩薩普門品)은 전 28장으로 짜여진 법화경 가운데 제 25품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그 문학성이 가장 높은 경전으로 알려져 있으며, 줄여서 보문품(普門品) 혹은 관음경(觀音經)이라고도 한다. "선남자 선여인이여 일심으로 나를.. 사경시리즈 2017.05.22
사경04-천지팔양신주경 천지팔양신주경 천지팔양경의 본래 이름은 불설천지팔양신주경(佛說天地八陽神呪經)이지만 보통 ‘팔양경’ 또는 ‘천지팔양경’으로 불리고 있다. 일반 불자들 가운데는 [금강경] [지장경] [법화경] [관음경] [화엄경] [보현행원품]등을 읽는 이들도 많지만 이 [천지팔양경]을 읽는 불자.. 사경시리즈 2017.05.22
사경03-금강경 금강반야바라밀경 金剛般若波羅蜜經 산스크리트어: Vajracchedika Prajnaparamita Sutra 바즈라체디카 프라즈냐파라미타 수트라, 영어: Diamond Sutra)은 한국의 대표 불교 종단인 조계종의 소의 경전이다. 줄여서 금강경 또는 금강반야경이라고도 부른다. 석가모니에 의해 설해진, 空사상이 깊이 있.. 사경시리즈 2017.05.22
사경02-신묘장구대다라니 신묘장구대다리니 설명 나모라 다나다라 야야 나모(namo)는 귀의 한다는 의미이다. 귀명(歸命)과도 같은 의미이다. 라다나(ratna)는 본래 보물, 보석등의 의미이다. 보물 보석등은 가장 훌륭한, 가장 으뜸가는 최상(最上)의 의미로 해석된다. 다라야야(trayaya)는 보호자의 의미로 관세음보살님.. 사경시리즈 2017.05.22
사경01-약사여래본원경 약사여래불 藥師如來佛 아득히 먼 곳에 유리광정토라 부르는 부처님 세계가 있다. 그 세계를 다스리시는 부처님이 약사유리광여래인데, 생략하여 보통 약사여래라 부른다. 이 부처님은 보살 시절에 사람들이 살기 좋은 세계를 만들기 위해 12대원을 세우고 정진하여 유리광세계를 이룩.. 사경시리즈 2017.0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