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학백과사전-ㄱ부

역학사전-ㄱ부-3

유프랭크지안 2017. 6. 20. 13:55

-3

감정선(感情線) 기호(記號)


감정선의 끝이 짧은 금으로 끊어져 있는 (.), 끊은(.)상은 애인과 이별을 나타낸다.

또 감정선의 도중에 나타나는 사각형의 기호()는 애인 등과 애정의 차이로 큰 곤란한 문제가 일어나는 것을 의미하고 있고 그리고 마지막에 가서는 최악의 두 사람의 관계가 원상태로 되돌아간다는 것을 나타내는 상이다.

마찬가지로 감정선 위의 십자형의 기호()는 애인과의 싸움을 나타내는 상이다.

감정선의 끝()이 별형의 기호()로 그쳐있는 상은 질투 싸움으로 부부간 또는 애인간에 큰 정신적인 거리가 생겨 이별을 뜻하고 있는 상이다.

감정선 위에 나타나는 반점()는 싸움이나 이별 실망을 의미하는 나쁜 상이고 그것은 어느 것이나 이성간의 문제이다.

다음은 감정선의 도중에 섬형의 기호()는 감정의 슬픔을 나타내는 것으로 연인과의 이별이나 등을 걱정하여 슬퍼하는 것을 나타내는 비연의 상이다.

감제사자

무속용어의 하나.

염라대왕의 명을 받아 명령서를 손에 들고 직부사자와 같이 와서 죽을 사람에게 명이 다 했음을 알리고 죽으면 망제(혼령)를 저승세계로 끌고 간다는 저승사자의 하나이다.

()

십간(十干)의 첫째.

陽木. . . . . () 쓸개() (바람) () 少陽. 甘味(단맛). 고집. 천진. ㄱㅋ. 소년기. 3.8.

1) 은 억누르고 잡아 가두는 것()이니 봄에는 열고 겨울에는 닫는다.

은 싹을 틔우고 잡아당기는 것이고, 은 꼬불꼬불한 것이니 봄이 되면 모든 만물이 씨앗의 껍질을 뚫고 나오는 것이다.

2) 소나무 느티나무 같이 위로 성장하는 다년생 나무. 시작과 출발을 의미. 만물이 생동하는 봄. 솟아나는 기운. 희망. 생명체 형상. 을 뜻하니 어질다.

추진력이 강하다.

명예 욕심이 강하다.

최고이기를 바란다.

일류를 꿈꾼다.

고집이 세다.

미래 지향적이다.

활달하다.

자존심이 강하다.

체통을 중요시한다.

분위기에 죽고 산다.

강박관념에 사로잡힌다.

칭찬 받기를 좋아한다.

甲木己土를 좋아한다.

자재 능력이 부족하다.

억압에 견디기 힘들어 한다.

좌절에서 헤어나지 못한다.

木中五行 : 은 줄기. 는 잎과 꽃. 는 열매. 은 결실. 는 씨앗. 오행을 다 갖춘 나무는 유실수라 한다.

갑경충(甲庚沖)

1) 일명 칠살(七殺)이라 한다.

天干陰陽으로 나누어 , 끼리 五行을 이루는 것이 칠살인 天干 沖이 된다.

2) 甲庚 沖 七殺

(1) 年干月干을 하면, 부모의 재산을 지키기 어렵고 부모와 인연이 없어서 자기가 태어난 생가에 살지 못한다.

(2) 日干月干을 하면. 年干月干과 비슷하며 특히 형제가 귀하다.

(3) 日干時干을 하면, 자손과의 인연이 없어서 한집에 같이 살기가 어렵다.

갑기반야(甲己半夜)

시주를 정하는 일상기시법 하나. 갑기반야(甲己半夜) 갑자시(甲子時)甲己日에는 甲子時부터 시작한다.

갑기지년(甲己之年)

월주를 정하는 년상기월법 하나.

갑기지년(甲己之年) 병인두(丙寅頭) 甲己年에는 丙寅月부터 시작한다.

갑기합(甲己合)

1) 간합(干合)이라 한다.

合化가 된다. 甲己 合化 土를 중정지합(中正之合)이라 한다.

2) 甲己 合化 土 : 분수를 지키며 마음이 넓어 타의 존경을 받는다.

甲日生己合은 신의는 있으나 지혜가 부족하고, 己日 甲合은 신의가 없으며 목소리가 탁하고 크고 낮은 경향이 있다.

갑년(甲年)

1) 태세(太歲)의 천간(天干)에 갑자(甲字)가 드는 해.

甲子年. 甲寅年. 甲辰年. 甲午年. 甲申年. 甲戌年.

2) 예순한 살이 되는 해. 회갑(回甲)이 되는 해.

갑목(甲木)

天干의 본질(本質). 甲木에 대한 부호이다.

에 해당하기도 한다.

생기(生氣)라고도 하고, 초목(草木)에서는 새싹이 돋아나는 상황으로 이해를 할 수도 있다.

늘 생동감(生動感)으로 넘쳐나는 성분이기 때문이다.

滴天髓, 갑목참천 탈태요화 춘불용금 추불용토 화치승룡 수탕기호 지윤천화이며 식립천고(甲木參天 脫胎要火 春不容金 秋不容土 火熾乘龍) 水蕩騎虎 地潤天和 植立千古).

甲木은 하늘을 찌를 듯이 솟아나는 성분이며 처음에 움직일 적에는 의 도움이 필요하다.

봄의 을 받아들일 수가 없고 가을의 를 받아들일 수가 없다.

불길이 거세지면 辰土를 의지하게 되고 물이 질펀하면 寅木을 의지하게 된다.

地支가 촉촉하고, 天干이 따스하면 곧게 심어져서 천년의 세월을 살게 된다.

갑목(甲木) 일주(日柱)

甲木의 기본형은 偏財이다.

무슨 일이거나 편재의 작용으로 인해서 과감하게 결과를 보고자 하는 구조가 된다. 그래서 결단력이라고 하기도 하고, 통제성이라고 하기도 한다.

마무리에 대해서 상당히 집착을 하고 성급하게 서두르는 면도 나타나게 되는데, 이러한 것도 모두 편재의 영향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甲木은 누구의 말도 듣지 않고 자신의 주장대로 일을 판단하고 밀고 나아가는 성분이 된다.

그래서 감독과도 같고, 독재자와도 같은 성분이 된다. 모든 것에 대해서 자신의 명을 어기게 된다면 그대로 두지 않고 제거를 해야만 시원하다고 하게 된다.

이러한 성분으로 인해서 甲木의 적성은 통제가 되는 것이며, 이러한 것은 공간적인 것에 대해서도 예외가 될 수 없다.

공간조차도 통제를 하고자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세상만사는 손바닥에서 벗어나지 않아야 하며 그렇게 되어야 비로소 자신의 뜻대로 되었다고 생각하고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것이다.

甲木은 동물계를 대표하기도 한다.

동물은 모두가 자신이 하고 싶은 대로 행동을 하게 되며, 누구의 지배도 받지 않으려고 한다.

갑무충(甲戊沖)

1) 일명 칠살(七殺)이라 한다.

天干陰陽으로 나누어 , 끼리 五行을 이루는 것이 칠살인 天干 沖이 된다.

2) 甲戊 沖 七殺.

(1) 年干月干을 하면, 부모의 재산을 지키기 어렵고 부모와 인연이 없어서 자기가 태어난 생가에 살지 못한다.

(2) 日干月干을 하면. 年干月干과 비슷하며 특히 형제가 귀하다.

(3) 日干時干을 하면, 자손과의 인연이 없어서 한집에 같이 살기가 어렵다.

갑술(甲戌)

육십갑자의 11번째.

1) 年柱 : 들개. 사냥개. 뛰는 개.

2) 月柱 : 바람이 부는 달. 9월의 나무.

3) 日柱 : 정관9 상관3 편재18. 거두어 저장. 동산을 부동산으로.

4) 時柱 : 계속 진행형의 초저녁.

the 11th year of the sexagenary cycle. the Year the Dog.

갑술신장(甲戌神將)

십이신장의 하나.

호는 엄랑(淹郞)이며, 이름은 승통 또는 사옥장군이라 부르고 개머리에 사람 몸 모습이며 키는 16자 장신이고 치마와 저고리를 입은 여자 정승이고 술을 좋아한다.

사황천개궁에 살며, 6명의 귀신 부하와 55.550명의 신병을 거느리는데 기꺼이 올바른 일을 하는 장수(주인)를 돕고 적병(재앙, 귀신)을 목을 베어 죽이는데 하늘 꼭대기 청황 밑에 푸른 끈으로 머리를 얽어서 매달아 놓는다고 한다.

갑술(甲戌) ()

통제인 甲木偏財戊土正官辛金, 그리고 傷官丁火를 만난 형태이다.

사물이나 정신적인 세계를 통제하고자 하는 것은 甲辰과 유사하게 작용한다.

다만 내부적으로는 차이가 나는데, 正官辛金으로 인해서 나타나는 것은 자신의 감정을 억제하고자 노력하는 것이 되고, 傷官丁火로 인해서는 자신의 능력이 출중하다는 것을 남에게 보여주고자 하는 마음이 내재되어 있는 것이다.

甲戌은 일상생활에서의 지각력(知覺力)이 강하다.

이러한 현상은 결과적으로 사물을 통제하는 것으로 진행이 되는데, 사물을 통제하면서도 엉거주춤하는 스타일이 되기도 한다.

그것은 내부적으로 상관 편관의 형태로 인해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甲辰이 거침없이 밀고 나아가는 것과 비교를 하면 참고가 된다.

그러므로 통제를 하기는 하지만 내심으로는 불안정한 형태의 불안심리가 작용하게 되는 것은 어쩔 수가 없다.

그래서 항상 조심하고 살피는 마음이 내재하고 있으며 이러한 것은 혹시라도 돌발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갑자기 방향을 전환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곁에서 보기에는 불안정한 형태라고 인식이 되는 것이다.

甲戌生物에 대해서나 신체적(身體的)인 구성에 대해서 깊은 지식(知識)을 알 아 가는 것에 대해서 관심이 많다.

정신적(精神的)인 부분에 대한 관심보다는 물질적인 것이나 신체와 연관된 것에 대해서 통제하고자 하는 마음이 발생하게 되는 것은, 또한 偏財가 구체적인 사물을 통제하는 것에 흥미를 느끼기 때문이다.

그리고 공간(空間)에 대한 개념도 뛰어나다.

공간(空間)은 물질계가 되므로 또한 통제를 하게 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시간(時間)에 대한 개념이 뛰어난 十星正印의 개념으로 보면 무리가 없을 것으로 본다.

결과적으로 시간과 공간은 印星財星이 되는데, 특히 공간성은 偏財가 되고, 시간성은 正印이 되는 것으로 관찰을 한다.

甲戌의 구성에서는 시간적인 개념을 의미하는 正印이 없기 때문에 시간 개념보다는 공간개념이 발달하게 되는 것이다.

甲戌은 객관적(客觀的)이고, 비교적 실제(實際)하는 상황을 중시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은 현실적(現實的)인 면에서 두드러진다고 하겠고, 이러한 것이 앞으로 어떻게 작용하게 될 것인가에 대해서도 관심을 갖는다.

그러므로 현재 진행이 되는 과정은 나중에 어떤 형태로 마무리가 될 것인지를 추론하게 되어서 보다 합리적(合理的-正官)인 관찰을 하게 되며, 통제를 하게 되는 것이다.

甲戌의 사회성을 보면, 과학자(科學者)나 생물학자(生物學者)의 영역이 잘 어울리고 의학자(醫學者)와 관리자(管理者)의 영역도 모두 감당이 되는 영역이다.

중요한 것은 자신이 통제를 하는 입장이 되어야 하므로 남의 지시를 받는 것에는 적응이 잘 되지 않아서 신경성 질병이 발생할 암시도 있다.

그래서 간섭을 받지 않고 해야 하므로 교육자(敎育者)의 방향이거나 남들이 관여하지 못할 정도의 고도(高度)로 숙련(熟練)된 전문직(專門職)에 종사하는 것이 좋다.

의사나 과학자도 모두 이러한 맥락에서 관찰이 가능한 것이며, 생물학자도 또한 마찬가지이다.

갑신(甲申)

육십갑자의 21번째.

1) 年柱 : 숲 속의 원숭이. 재주 넘는 원숭이.

2) 月柱 : 태풍이 있는 달. 7월의 나무.

3) 日柱 : 정재 합재성7, 편인7, 편관16, 성장이 멈춤. 뿌리를 내리기 힘들다.

4) 時柱 : 계속 진행형의 오후.

the 21th year of the sexagenary cycle. the Year the Ape.

갑신신장(甲申神將)

십이신장의 하나.

호는 육부신이라 하고 이름은 문통 또는 월보장군이라 부른다.

원숭이 머리에 사람 몸을 하고 잇는데 키는 115치이고 사랑을 즐기며 단 것을 좋아한다.

천월궁에 살며 6명의 귀신부하와 77.770명의 신병을 거느리는데 그의 명에 따르는 자는 기꺼이 돕고 거스르는 자는 두들겨 패서 파랑실로 묶고 하늘 끝 청백 처에 버린다.

갑신(甲申)

통제(統制)甲木偏官庚金) 偏印壬水를 만난 형태이다.

앞서 가기를 좋아하는 甲木이 장벽을 만난 느낌을 갖게 되는 구성이다.

그래서 절망을 할 수가 있는 배합이기도 하다.

이러한 조건에 그래도 숨통을 터주고자 하는 배려로 壬水正印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은 무척 다행이라고 하게 된다.

甲申의 형태를 물상적(物像的)으로 관찰한다면 주사기(注射器)를 연상시킨다.

甲木은 주사바늘이고 庚金은 주사기(注射器)의 유리관이며, 壬水는 속에 들어있는 주사액(注射液)과 같은 형태이다.

이러한 연상을 직업에 연결시키게 되면 의사(醫師)가 떠오른다.

그리고 실제로 고지식한 의사의 적성도 가능하다고 하겠으니 우연이라고 하기에는 묘하다고 하겠다.

자신의 역할이 환자에게 주사액을 주입하는 소임이라고 할 수가 있으니 환자에 대해서는 강경하게 통제를 하게 되는 것이기도 하다.

동양의학도 같이 보면 되는데, 이때에는 영감(靈感)을 살려서 치료에 응용할 수 있는 능력도 나타나게 된다.

甲申은 매우 조심스럽게 진행을 하게 된다.

분명하게 땅에 발을 딛고 진행하듯이 조심스럽게 생각하고 진행한다.

이러한 현상은 偏官庚金이 주체적이기 때문에 매우 부담스러워서 그와 같은 현상으로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조심스러움은 다시 기억력(記憶力)으로도 연결이 되고, 처리하는 일은 매우 민첩(敏捷)하게 진행을 하는데, 또한 긴장된 甲木偏財가 갖는 모습이 된다.

내부적으로 궁리하는 偏印 壬水는 신비한 영역에 대해서도 매우 민감하게 작용하게 되는데 긴장을 하면서 수용을 하기 때문에 그러한 것으로 본다.

甲申은 물리학(物理學)이나 물질계(物質界)에 대해서 사고하는 것에 흥미를 갖는다.

물질의 내면에 들어있는 원질(原質)에 대해서도 관찰을 할 수 있는 것이므로 통찰력(統察力)을 갖고 관찰을 하다 보면 깊은 곳에서 살아있는 자연의 이치를 터득할 수가 있다.

그러므로 눈에 보이는 것만이 모두가 아니지만 깊은 이치를 찾아가는 과정의 통로로 물질을 도구로 삼게 되는 방법을 취한다.

甲木이 물질적인 통제를 의미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방법을 취하기 용이하다.

그렇게 연구를 하는 과정에서 천부적으로 타고 난 추상력(抽象力)이 좋아서 물질에 나타나는 약간의 힌트로 바탕을 삼아서 신비한 세계를 연구하는 능력이 되기 때문에 새로운 세상으로 빠져 들어가게 된다.

그리고 영적(靈的)인 체험도 가능하게 되며, 귀신에게 시달릴 수도 있다.

甲申은 순발력이 매우 뛰어나다.

이러한 성분은 군대의 질서에 적응하는 능력이 되기도 한다.

또 위험한 사물에 대해서 조작하는 것에도 흥미를 보이게 되는데, 이러한 것은 偏官庚金의 작용으로 인해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그리고 집중력이 무척 좋기 때문에 망상이 없다.

항상 긴장을 하고 있기 때문에 명령하는 사람이 말을 하기만 하면 바로 시행하게 되는데, 그 과정에서 왜 나에게 이러한 것을 시켜서 힘들게 하느냐고 따지거나, 혹은 다른 사람과 비교해서 자신이 불리한 대우를 받는 다고 생각하기보다는 일단 자신에게 주어진 일은 시행을 하자는 마음이 더 강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망상이 없다는 것은 이러한 의미로 해서 해석이 된다.

갑오(甲午)

육십갑자의 31번째.

1) 年柱 : 경주 . 야생 .

2) 月柱 : 산소가 많은 달. 5월의 나무.

3) 日柱 : 식신10, 정재, 합재성7, 상관11, 불안초조. 과부하. 힘이 빠짐.

4) 時柱 : 매우 바쁨. 노출. 소문.

the 31th year of the sexagenary cycle. the Year the Horse.

갑오신장(甲午神將)

십이신장의 하나.

호는 평수장군이며 이름은 문백이라 하고 19자의 장신

인데 말머리에 사람 몸의 신상이다.

성정은 아주 사납고 마음에 들지 않으면 급히 찾아 벌주고 개고기를 좋아한다.

6명의 귀신부하와 99.990명의 신병을 거느린다.

구조를 청하면 즐겨 돕고 원수(사귀)를 죽여서는 하늘 끝 청하에 청홍색 끈으로 묶어 매달아 죽인다.

갑오(甲午) ()

통제(統制)甲木傷官丁火를 만난 상태이다.

자신이 설계를 한 목적에 대해서 변화하는 수단이 뛰어나기 때문에 앞으로 나아감에 있어서 두려움이 없이 진행하게 된다.

그리고 장애가 생겨도 언제든지 자신의 능력으로 처리가 가능하다고 생각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관에 해당하는 성분은 丁火로 본질이 正官의 성분이기 때문에 자신의 표현이 가장적법하다고 생각을 하고 양보를 하지 않으려는 생각을 품고 있기도 하다.

여기에 기본적으로 통제하는 甲木이기 때문에 남의 의견을 수용하기 보다는 자신의 의견을 강요하게 되는 형식이 용이하다.

甲午는 사물의 질서를 찾는 것에 관심이 많다.

그러므로 순서대로 늘어서 있으면 마음이 편안하고 무질서하면 바로 잡아야만 마음이 편해진다.

물론 이러한 질서는 자신의 주관적인 것이기 때문에 타인이 그렇게 생각을 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미지수이다.

다만 스스로 그와 같은 판단을 하고 진행하는 것이라서 자신의 생각으로는 최선의 방법이라고 여긴다.

질서가 잘 잡혀있는 군대의 행군과 같은 장면들을 보면 아름답게 생각을 하기도 한다.

이러한 것을 보고 좋아하는 것은 甲木의 특성이고, 자신의 명령에 의해서 시행이 된다면 상관(傷官)의 즐거움이다.

이러한 작용으로 어린아이와 같이 좋아하게 된다.

甲午는 담론(談論)을 즐긴다.

시간에 대한 급함이 없기 때문에 하루나 이틀 동안이라도 주제를 놓고 대화를 이끌어 갈수 있는 성분이 된다.

그리고 심하면 十年이 걸리더라도 급하게 서두르지 않는다.

직장에서도 시키는 대로 일하는 일반 사무직보다는 스스로 변화를 얻어가면서 새로운 방향으로 전개가 가능한 분야의 일에 대해서 더욱 관심을 갖게 된다.

이것은 시간을 맞춰야 하는 일보다는 공간을 즐기는 일이 더 즐겁기 때문이다.

甲午는 소박한 방식으로 자신의 능력이 출중하다는 것을 드러낸다.

그래서 옆에서 보기에는 어린 아이와 같은 모습이 되기도 하여 천진난만한 분위기도 들어있다.

좋게 보면 천진하고 꾸밈이 없다고 생각을 하게 되고, 나쁘게 보면 자신의 능력을 과신하고 잘난 체한다고 인식을 하게 된다.

이러한 사람에게는 충고(忠告)를 하면 반발을 하기 쉽다.

그래서 칭찬하는 방법으로 조언을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내심 발산하고자 하는 마음이 강하기 때문에 속에 담아두는 것은 잘 하지 못한다.

누군가를 잡고 이야기를 해야 속이 시원하기 때문이다.

혹 조언을 해 달라고 한다면 잘하는 것에 대해서만 말하고 못하는 것은 매우 조금만 말을 해야 반발을 사지 않는다.

좋은 뜻으로 한 말이 나쁜 결과를 가져 올 수도 있다는 것을 생각하고 주의해야 후회가 없다.

甲午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우월감이 상당하다.

그래서 누구에게라도 머리를 숙인다는 것에 대해서는 별로 생각을 하지 않는다.

갑월(甲月)

1) 월건(月建)의 천간(天干)에 갑자(甲字)가 드는 달.

甲子月. 甲寅月. 甲辰月. 甲午月. 甲申月. 甲戌月

갑인(甲寅)

육십갑자의 51번째.

1) 年柱 : 大虎.

2) 月柱 : 만물이 소생하는 봄. 분주한 봄.

3) 日柱 : 편재7, 식신7, 비견16, 외형과 내실이 충실한 것.

무한이 성장할 수 있는 길.

4) 時柱 : 분주한 새벽.

the 51th year of the sexagenary cycle. the Year the Tiger.

갑인신장(甲寅神將)

십이신장의 하나.

호는 육설장군이며 이름은 절략 또는 관개량인데 호랑이 머리에 사람 몸으로 키는 10자가 넘고 성정은 매우 조급해서 무서운 힘을 억제할 수 없다.

정의를 해치고 사악을 행하는 자를 용서하지 않는다.

천원(天苑)에서 놀며 육길궁에서 산다.

6명의 귀신과 77.770명의 신병을 거느린다.

갑인(甲寅) ()

통제(統制)甲木比肩甲木食神丙火를 만난 형태이다.

통제하는 성분이 주체를 더욱 강화시키고 있으므로 강경한 주장(主張)을 하게 되며 남의 의견을 무시하는 것은 별로 신경 쓰지 않는다.

그리고 통제를 하기 위해서 궁리(窮理)를 하고 자신이 내린 판단에 대해서는 번복 이 불가하다는 입장을 고수(固守)한다.

甲寅天上天下 유아독존(唯我獨尊)이다.

자신의 통제를 벗어나게 되면 더욱 억압하는 형태로 반복이 되므로 자신의 아래에 있는 사람은 절대복종(絶對服從)만이 유일한 방법이라는 것을 깨닫게 된다.

특히 물질적인 통제에 흥미를 보이므로 정신적인 부분에 대해서는 신경을 쓰지 않는다.

사람이나 사물에 대해서 대하는 태도가 같으므로 사람도 물건으로 취급을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처리법에는 감정적(感情的)인 성분이 나타나게 되어 대항을 하고자 하는 사람이 눈에 띈다면 그 즉시로 공격을 가하게 되므로 주의해야 한다는 것을 잘 알아야 한다.

甲寅은 연구를 하면서도 힘들어한다.

속에 들어있는 丙火의 본질이 偏官食神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궁리를 하면서 힘들어 하게 되는데, 힘들어하는 것이 안타까워서 궁리를 하지 말라고 해도 그럴 수도 없는 일이니 이것도 팔자이다.

甲寅은 자존심(自尊心)으로 뭉쳐진 성분이다.

자신의 영역에 누구라도 침범을 하면 심한 반발심을 일으키게 되어서 공격도 불사(不辭)하게 되므로 건드리지 않는 것이 좋다.

비록 나이가 많은 사람이라고 하더라도 자신의 자존심에 공격을 받으면 얼굴의 색이 변하면서 반격을 할 준비를 하게 되는 것으로 보면 된다.

다만 자신의 마음에 부합이 된다면 무엇이든 다 들어줄 수가 있는 마음이기도 하다.

감정적으로 일을 처리하는 형태가 된다.

갑일(甲日)

1) 일진(日辰)의 천간(天干)이 갑자(甲字)안 날.

甲子日. 甲寅日. 甲辰日. 甲午日. 甲申日. 甲戌日

갑자(甲子)

육십갑자의 첫 번째.

1) 年柱 : 들쥐.

2) 月柱 : 스산한 겨울.

3) 日柱 : 편인10 인수20, 성장할 수 있는 원동력. 최고라는 자궁심.

4) 時柱 : 천명한 자정. 꿈자리.

the first year of the sexagenary cycle. the Year the Rat.

갑자신장(甲子神將)

십이신장의 하나.

호는 비천대제(飛天大帝), 이름은 원덕 또는 공격장군이라 하고, 쥐머리에 사람 몸으로 생겼고 키는 19자나 되며 양광 천뢰궁에 살고 6명의 귀신부하와 99.990명의 신병을 거느리고 충효하는 사람을 도우며 어질지 못하고 불의를 행하는 자를 보면 크게 성을 내며 하늘 꼭대기 청정 밑에 끌고 가 죽여 없앤다고 함.

갑자(甲子)

甲木正印癸水를 만난 형태이다.

직관(直觀-正印)을 통제(統制-偏財, 戊辰戌)하는 능력을 타고났으니 신비한 직관의 세계를 구체적으로 통제하게 되므로 신비한 현상을 설명하는 능력을 나타낸다. 편재의 능력은 물질을 통제하는 것이기도 하므로 정신세계를 물질화 시켜서 통제를 할 수도 있으므로 이러한 직업으로 삼게 되면 정신분석이나 종교를 분석(分析)하는 분야에서도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

甲子生命工學 같은 분야에 해당하는 적성이기도 하다.

현묘(玄妙)한 자연의 구조를 직관적으로 받아들여서 해석하는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영감(靈感)이 많은 사람이기도 하다. 구도(求道)의 길로 나아가면 큰 깨달음을 얻을 수도 있고, 그러한 결과물을 남들에게 구체적으로 설명을 할 능력이 되기도 한다.

甲子는 역동적(力動的)인 심리구조를 갖고 있다.

속으로 고민하고 사색하는 형태가 아닌 느낌이 오는 그대로를 바로 남에게 보여주는 형태로 나타낸다.

신비한 현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능력이 되기도 한다.

甲子는 물질적(物質的)인 분야에 대해서는 관심이 적고 정신적인 분야에 관심이 많다.

감각(感覺)으로는 느낄 수 없는 영역에 대해서 직각(直覺) 적으로 깨달음을 얻기 때문에 종교와 같은 영역에서 진리를 느낄 수가 있다.

물질에 대해서는 집착이 크지 않으며 정신계(精神界)의 현묘(玄妙)한 세상에 대해서 대단한 관심을 보이고 있으므로 세속적(世俗的)이 아니라고 할 수도 있다.

甲子는 두뇌회전은 명철(明哲)하지만 신체적으로 움직이는 것에는 게으르다.

남들이 조작해주기를 원하고 스스로 움직이는 것을 귀찮아한다.

이것은 음양(陰陽)의 이치로, 정신(精神) 쪽에 치중을 하게 되면 육체(肉體) 쪽에는 둔감해지게 되므로 수행자(修行者)의 모습이 몸은 가만히 있고 상념(想念)이 활발하게 움직이게 되는 것과는 무관하지 않다.

子水 속에는 다른 성분이 섞여 있지 않아 사념(思念)이 무척 맑으므로 직관력(直觀力)이 강한 반면에 정신적으로 치우치다 보니 육체적으로는 둔하게 되는 것이다.

갑자형(甲子形)

이 형은 이마와 관골 부위는 넓고 좋으나 턱이 쪽 뻗은 형으로 심성질에 가깝고 오행상으로는 목형에 속한다.

성격이 일정하지 못하고 선악을 행함에 있어서도 일관되지 못하다. 그러므로 어떤 때는 급하고 어떤 때는 느리며 어떤 때는 후하고 어떤 때는 박하여 사람이 좋고 나쁜 것을 쉽게 판단하기 어렵다.

이 형에 얼굴이 준수하게 태어났으면 중품정도의 관직을 얻을 수 있다.

성격상 대인 관계가 원만하지 못하여 사업이나 상업보다는 직장인이 좋으며 교육 철학 예술 혹은 기술 방면으로 진출하면 명성을 얻을 것이다.

갑진(甲辰)

육십갑자의 41번째.

1) 年柱 : 청용. 승천하는 용.

2) 月柱 : 식물의 작황이 좋은 봄. 토양이 풍부한 봄.

3) 日柱 : 겁재9. 인수3 편재18, 재와 명예를 동시에 이룰 기반. 무한성장.

4) 時柱 : 어제 일을 계속진행의 시기.

the 41th year of the sexagenary cycle. the Year the Dragon.

갑진신장(甲辰神將)

십이신장의 하나.

호는 평만장군이고 이름은 통원이라 한다. 용머리에 사람의 몸을 하고 키는 19자이고 6명의 귀신신하와 55.550명의 신병을 거느린다.

진실한 사람을 즐겨 돕고 요사스러운 자를 소탕하며, 성정은 청고하며 하늘을 따르는 자는 돕고 반역하는 자에게는 용서함이 없으며 동남방을 좋아한다.

갑진(甲辰) ()

통제(統制)甲木偏財戊土劫財乙木, 正印癸水를 만난 형태이다.

劫財는 경쟁심으로 나타나게 되고, 偏財는 통제력으로 작용을 하게 되며 正印은 직관력으로 나타나게 되어서 이것을 묶으면, 직관적인 판단력으로 사물을 통제하는데 남에게 지지 않으려고 하는 마음이 된다.

그래서 목적이 정해지게 되면 맹목적인 돌진도 가능하게 되며, 자신의 추진력에 누군가 간섭을 하게 되면 반발을 심하게 하는 성분이 된다.

甲辰性急한 통제자이다.

甲辰은 통제를 하면서도 직관력이 있어서 어떤 일의 진행상황에 대해서 예지(豫知)하는 성분이 작용하게 되는데, 이것은 癸水로 인해서이다.

그리고 상당히 원활(圓滑)한 직관력이 되는 것은 癸水傷官성분에 의해서이다. 논리적으로 자신의 직관력을 대입하여 사물을 통제하고자 하는 설명을 하게 된다.

甲辰戊土의 편인성 작용으로 인해서 상당히 추상적이면서도 거대한 통제의 욕구를 갖게 된다고 관찰한다.

마치 끝없는 공간은 관리하는 사람의 소유라는 느낌을 가질 수도 있다.

양보하는 것이 서툰 것은 劫財乙木으로 인해서인데, 乙木은 구체적인 물질에 해당하므로 이러한 것도 포함해서 결코 양보를 할 수가 없다고 생각하기 쉽다.

다만 스스로 인정을 하고 확실하게 물러나야 한다고 판단이 되면 이때에는 또 미련 없이 포기를 하게 된다. 이러한 형태는 양목(陽木)이 갖는 특성이라고 하겠는데, 자신의 생각이 틀렸다고 결정이 난 것에 대해서는 뒤도 돌아보지 않고 포기를 해 버리게 된다.

()

매우 센 것.

1) 사주 용신법에 일간을 생해 주거나 같은 오행이 많을 때 즉 득령 득지 득세를 하면 사주가 하다 함.

<강구분>

득령 得令

月支가 인성이나 비견 겁재 일 때

득지 得地

日支가 인성이나 비견 겁재 일 때

득세 得勢

세력이 인성과 비견 겁재가 네 개 이상 일 때

약은 반대현상이아.

<강약구분>

×

최강

중강

약화

위강

강화

위약

중약

최약

月支

×

×

×

×

日支

×

×

×

×

勢力

×

×

×

×

강약의 정확한 구별이 사주감정의 중요한 요인이 된다.

강건격(剛健格)

성명 수리 77 .

유시안락(有時安樂) 때로는 편안과 즐거움이 있고. 유시불행(有時不幸) 때로는 불행한 일이 있다.

다사기복(事多起伏) 일에 기복이 많으니. 평생흥패(平生興敗) 평생 흥패가 반복한다.

지혜와 덕망이 있는 인격자로서 만사를 잘 처리하고 특출한 재간이 있어서 세력을 얻어 대 성공하며 대지대업을 성취하고 부귀가 따르며 자손 대대로 번성하고 모든 것이 그리울 것이 없으며 가정 생활이나 사회생활이 안일하다.

자칫 잘못하면 가정파탄 운이 있으니 주의하면 길하다.

역학인에게 꼭 필수 서적



'역학백과사전-ㄱ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학사전-ㄱ부-6  (0) 2017.06.20
역학사전-ㄱ부-5  (0) 2017.06.20
역학사전-ㄱ부-4  (0) 2017.06.20
역학사전-ㄱ부-2  (0) 2017.06.20
역학사전-ㄱ부-1  (0) 2017.0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