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학백과사전-ㄷ부

역학사전-ㄷ-4

유프랭크지안 2017. 7. 27. 13:31

ㄷ부-4

대인문(帶印紋)

손바닥에 마치 도장 모양을 한 문이 나타나는 것을 대인문이라 한다.

이런 상을 가진 사람은 주인이나 상사에게 대단히 충실하고 그 공적도 크지만은 조금도 자랑하는 법이 없고 묵묵히 주인에게 봉사하는 사람이다.

이 상의 사람은 자기의 희망과 소원이 모두 이루어진다는 대길 상이다.

대장(大腸)

배속의 큰창자를 말함.

오행의 육부에서는 금(金)인 庚辛申酉를 대장(大腸)으로 본다.

대장군방(大將軍方)

대장군방은 방합에 의해 정하며 이는 3년마다 변한다.

亥子丑年에는 西方. 寅卯辰年에는 北方. 巳午未年에는 東方. 申酉戌年에는 南方이 대장군방 이다.

이사나 장소 이동을 하면 좋지 않다고 하는 것인데 그것은 아무리 잘 자라던 나무도 이쪽으로 옮겨 심으면 성장이 잘 안 된다고 보기 때문이다.

이 방향으로 간다고 다 안 좋은 것은 아니고 특히, 3代가 모여 사는 집. 임산부가 있거나 갓난아기가 있는 집. 백일기도, 천일기도 등 작정 기도하는 사람이나 기도, 신앙을 業으로 하는 사람은 피하는 것이 좋다.

대적광전(大寂光殿) 비로전(毘盧殿)

법신 비로자나(毘盧遮那) 부처님을 주불로 봉안한 불전(대광명전). 주불이 아닐 경우는 비로전이라 부름. 삼존불일 경우 석가모니불(화신) 비로자나불(법신) 노사나불(응신) 빛의 세계, 화려한 빛이 아니라, 크나큰 고요가 깃든 빛의 세계, 그 빛은 모든 것을 감싸고, 모든 것을 키우는 진리의 빛이다.

진리의 빛이 가득한 그 궁전을 사찰에다 옮겨놓은 곳이 대적광전이다.

대적광전은 연화장(蓮華藏)세계(더러움에 물들지 않은 연꽃으로 장엄된 세계)의 교주인 비로자나불을 본존불로 모신 건물이다.

화엄종의 맥을 계승하는 사찰에서는 주로 이 전각을 본전으로 건립하며 화엄경에 근거를 두고 있다.

화엄전, 화엄경의 주불인 비로자나불을 봉안한다는 뜻에서 비로전(毘盧殿), 비로자나불의 연화장 세계가 대적정인 까닭에 대적광전이라 한다.

진리는 어디에나, 언제나 있는 것이며, 진리의 빛은 시공간을 초월하여 언제나 발현되지만, 중생은 산란함과 어리석음에 눈이 가려 진리를 올바르게 볼 수 없을 뿐이다.

따라서 선정으로 산란함을 다스리고 지혜로 어리석음을 다스릴 때 깨달음은 그 자리에서 모습을 나타내고, 진리의 세계는 그곳에서 펼쳐지는 것이다.

적(寂)은 크나 큰 선정(禪定)이요,

광(光)은 크나큰 지혜의 빛을 의미하며 깊은 선정과 지혜의 빛으로 깨어나야 한다는 것을 대적광전의 편액은 깨우치고 있다.

대적광전에는 비로자나불을 중심으로 한 삼신불(三身佛)을 봉안하여 연화장 세계를 상징한다.

대주(大主)

무속에서 바깥주인을 일컫는 말.

대중(大衆)

대중이라는 말의 유래는 석존께서 열반하신 뒤, 전통적인 불교사상과 계율을 지키려는 상좌부 또는 장로부, 소승불교에 대해 현식 세력이었던 젊은 승려, 대승불교를 일컫는 데서 비롯된 말이다.

쉽게 말해서 많은 무리라는 뜻이다.

오늘날 정치의식이 높아지면서 특권층이나 부유층에 대한 일반 서민을 일컫는 말로 인식하게 되었으나 불교에서 쓰는 대중은 차라리 중생이라는 뜻으로 보는 것이 옳다고 본다.

대중공양. 대중송사. 대중산림. 대중처소등 대중이라는 말이 붙는 말이 많이 있다.

대지격(大智格)

성명 수리 45 수.

세상특출(世上特出) 세상에 특별한 인물로 나 있으니. 영예무비(榮譽無比) 영화와 명예가 비할 데가 없다.

선견지명(先見之明) 선견의 명이 있으니. 만인지사(萬人之師) 만 사람의 스승과 지도자가 된다.

천하에서 뛰어난 재주와 지혜로 덕이 있어 큰 뜻을 가지고 대업을 능히 성취하며 일대에 명성과 영예가 크고, 특히 선견지명이 있어 만인의 스승 또는 지도자의 지위에서 고귀한 인격을 갖추고 가정생활에도 다정 다복하게 지내는 수다.

대칭(對稱)

점. 선. 면, 또는 이것들로 된 도형 어떤 기준이 되는 점이나 선, 또는 면을 중심으로 서로 맞서는 자라에 놓이는 경우를 말한다.

사주에서 두 사주를 서로 결합해서 볼 때.

대한(大旱)

二十四節氣의 하나.

소한(小寒)과 입춘(立春) 사이로 1월 21일경 이 무렵이 일년 중 가장 춥다고 한다.

대한 경신연합회

http://www.kyungsin.co.kr/

1971. 01. 06. 대한승공경신연합회 설립(문고등록제273호)

1991. 11. 26. 한국민속신문 창간.

1994. 3. 08. 대한승공경신연합회 서울시등록(제19호)

1997. 10. 17. 대한승공경신연합회 법인설립 공보처(허가제59호)

2000. 7. 17. 대한경신연합회 법인설립(행자부 경찰청소관제11호)

이사장 최수진. 상임고문 김금화. 수석고문 조화자. 부회장 최여순

지정자. 김광섭. 고문 이종남. 이사 이성재 최영호 지간난

대한불교(大韓佛敎)계 종단(宗團)

국제불교 일화종, 조계종 / 대승불교 관음종, 달마종, 법왕종, 조계종. 대한불교 관음종, 교화선종, 달마선종, 대각종, 대명종, 대승연화종, 대승종, 대원종, 대한일월종, 무량종, 미륵대종, 미륵선종, 미륵용화종, 미륵종, 미타종, 법륜종, 법사종, 법상종, 법안종, 법천종, 법화본종, 법화종, 보문종, 본원종, 불입종, 삼론종, 선교종, 선화종, 성도종, 연화불종, 연화종, 열반종, 영산법화종, 용화미륵종, 용화종, 원각선교종, 원융종, 원효종, 일광종, 일붕선교종, 일승종, 자비종, 정토종, 조계선종, 조계종, 조동종, 진각종, 진언종, 천지종, 천태종, 초심교종, 총화종, 태선종, 해동달마종, 해동종, 해동평화종, 해인종, 해탈종, 화엄종. 대한불법 안명산 묘법사 / 대한신불교 천우종 / 대한연합불교 조계종. 도솔천 유마종 / 미주불교 / 법화종 / 보국불교 염불종 / 불교 총지종. 불승종 / 선학원 / 세계불교 법륜종, 법왕종, 법왕청, 토속금강종, 일화종, 지장종, 평화종 / 용화불교 / 유법종 / 진언불교 지송종 / 천화불교한국 SGI / 한국근본불교 조계종 / 한국대승불교 여래종 / 한국불교 금강종, 금강종, 달마종, 법화종, 원각종, 원효종, 일월무량종, 정토종, 조계종, 조화 세계종, 천일종, 태고종, 토속금강종 / 한국토속불교 미타정토종 / 한민족불교 / 한세계인류 성도종 / 해동불교 정토종, 조계종, 해동불교 평화종 / 호국불교 효예종.

대한불교 미륵종(大韓佛敎彌勒宗)

대한불교 미륵종(大韓佛敎彌勒宗)은 1964년10월28일 전라남도 광산군 서창면 풍암리 769에서 김홍현(金洪玄) 스님이 창종하였으며 미륵정토사상계에 속한 한국불교의 한 종파이다.

미륵불을 본존불로, 진표율사를 종조로, [유가경 瑜伽經]을 소의경전으로 삼는다.

종지(宗旨)는 미륵불을 원불로 하여 미륵정법에 귀의, 중생을 수순하여 제세구중하여 삼강오륜과 천지인 3합으로 선불유(仙佛儒)를 통합함에 있다.

본래 증산(甑山) 강일순(姜一淳)의 계시로 홍원(洪原) 김계주(金桂朱)가 1942년 9월 무교(戊敎)로 개교, 1946년 무을교(戊乙敎)로 개칭하여 활동하다가 1950년 공산당으로 학살당함에 자연히 해체 상태에 있다가 1964년 김홍현 스님이 미륵종으로 변경 등록하였다.

중요행사로는 상감님생신일(上監任生辰日: 6월21일),

염제신농씨제일(炎齊神農氏祭日: 6월15일),

미륵선화기념치성일(彌勒仙化記念致誠日: 6월24일) 등이 있다.

대한불교 법상종(大韓佛敎法相宗)

대한불교 법상종(大韓佛敎法相宗)은 1970년 2월 20일 충청남도 논산군 두마면 부남리 922 소재 불암사(佛岩寺)에서 전영동(全英東)사에 의해 창종되었으며 미륵정토사상계(彌勒․淨土思想系)에 속한 한국불교의 한 종파이다.

미륵불을 본존불로, 진표율사를 종조로, [점찰선악경 占察善惡經] [미륵상하경] [음부경 陰符經]을 소의경전으로 삼는다.

종지(宗旨)는 입상불인 미륵존불의 정신을 이어 받아 미륵십선도(彌勒十善道)의 교리로 속세풍진과 이타공익을 위한 수도입덕으로서 인간생활의 유기적인 상관성 및 부합성을 가지고 국가사회를 위하고 우주 일가를 이루어 지상낙토를 건설함에 있다.

1969년 3월 15일 대한불교 법상종 포교원을 설립하였고, 1970년 2월 20일 창종 및 등록하였다. 초대 종정 전영동사가 1971년 입적한 후 공백상태 였다가 1973년 2월 17일 종무회의를 소집, 송인숙(宋仁淑) 스님이 2대 종정에 추대되었다.

의식이나 수행하는 방법 등에 있어서 근래에 와서 체제를 정비하고 미륵홍포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대한불교 법화종(大韓佛敎法華宗)

대한불교 법화종(大韓佛敎法華宗)은 1946년 4월 서울 성북구 성북동 무량사(無量寺)에서 김갑열(金甲烈) 스님이 창종하였으며 법화사상계(法華思想系)에 속한 한국불교의 한 종파이다.

석가여래를 본존불로, 대각국사를 종조로, [묘법연화경]을 소의경전으로 삼는다.

종지(宗旨)는 [법화경]의 회삼귀일(會三歸一)의 대승불교사상을 봉체로 하여 일심삼관(一心三觀)과 교관겸수(敎觀兼修)로 제세안민과 흥법호국함에 있다.

종단기구는 종정 아래 2원 5회와 4부가 있으며 원로원이 독립되어 있다.

포교는 [법화경요품]을 중심으로 일요일에 각 사찰 단위로 일제히 법회를 보며, 매년 전국 순회포교를 실시하고 있다.

승속의 구분은 없으며 재래 기복적인 요소를 일체 배제하고 석가모니상만을 모심이 특징이다. 수행방법으로 연 2회 수련대회를 가지며 일반신도는 [나무묘법연화경]을 수지 염송한다.

대한불교 보문종(大韓佛敎普門宗)

대한불교 보문종(大韓佛敎普門宗)은 1972년 7월6일 서울 동대문구 보문동 3가168에서 이긍탄(李亘坦) 스님이 창종한 한국불교의 한 종파이다.

석가모니불을 본존불로, 대애도니(大愛道尼)를 종조로, [관음경]을 소의경전으로 한다.

종지(宗旨)는 석가모니불의 근본이념과 보문시현의 관세음보살 구제사상에 의하여 전미개오와 복지사회구현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 유일의 비구니 종단인 보문종은 1972년 6월 경주 석굴암의 모습을 보문사(普門寺) 안에 재현시키고 1972년 8월 재단법인보문원을 설립하여 본 궤도에 올렸다.

종단기구는 종정 아래 3원 2부가 있고 원로기구로 기로원이 있다.

교육사회사업으로 1970년 8월 공민학교 겸 강원인 보강원을 설립하였으며, 보문양로원을 경영하고 있으며, 월 1회 걸인을 초청하여 위로회를 연다.

지장회(매월18일) 관음회(매월24일)를 열어 포교 사업에도 진력하며, 총무원장이 모든 일을 총관장하고 있다.

대한불교 불입종(大韓佛敎佛入宗)

대한불교 불입종(大韓佛敎佛入宗)은 1965년10월31일 서울 동대문구 숭인동 178의 8 소재 묘각사(妙覺寺)에서 이홍선(李泓宣) 스님이 창종하였으며 법화사상계(法華思想系)에 속한 한국불교의 한 종파이다.

석가여래를 본존불로, 대각국사를 종조로, [묘법연화경]을 소의경전으로 삼는다.

종지(宗旨)는 고타마 붓다의 본회인 교지를 받들어 불지지견개시오입(佛之知見開示吾入)의 교리를 정혜겸수로서 체득하여 국민생활 원리로 삼고 있다.

1970년 6월 석굴암 및 28척 대불입상을 조성하고, 1972년 4월 종헌종법을 새로 개정, 1972년 10월 포교원에서 본종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기구조직은 종정 아래 교정원과 호법원, 감찰원이 있고, 그 아래 각 4부가 있으며, 신도조직으로 전국중앙교도회와 말사 단위의 동(洞)조직 및 군 면의 세부조직을 펴고 있다.

승속의 일치를 꾀하며 수행방법으로 산스크리트어 진언, "나모살달마푼다리카수드라" 를 염송한다.

종전으로 [성전요품 聖典要品]을 간행하여 교도의 자질을 높이며, 포교 문화사업으로 기관지 [범성梵聲]을 1973년1월부터 월간으로 내고 있다.

연 2회 교역자 정기수련이 있으며, 매월 3회의 일반법회를 갖는다.

[법화경]의 근본교리대로 모든 체제의식을 갖춘 본종의 특기할 행사로는

10월의 신곡제(新穀祭)가 있다.

대한불교 용화종(大韓佛敎龍華宗)

대한불교 용화종은 1963년 12월 14일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동 272에서 김덕연(金德淵) 스님이 창종하였으며 미륵정토사상계에 속한 한국불교의 한 종파이다.

미륵보살을 본존불로, 진표율사를 종조로, [미륵성불경 彌勒成佛經]을 소의 경전으로 삼는다.

종지(宗旨)는 미륵 본불의 정신으로 지상의 불국을 실현하고 미래 용화세계를 구현한다는 데 있다.

1966년 3월 27일 전주 원각사에서 실질적 교주인 서백일(徐白日)이 사망한 후 다소 침체에 빠져 있는 상태다.

대한불교 원효종(大韓佛敎元曉宗)

대한불교 원효종은 1963년12월6일 경상북도 경주시 황오동에서 김경담(金敬潭) 스님이 창종하였으며 원효사상계(元曉思想系)에 속한 한국불교의 한 종파이다.

석가여래를 본존불로, 원광법사를 종조로, [화엄경]을 소의경전으로 삼는다.

종지(宗旨)는 대승경전에 의한 견성성불 광도중생을 발원하며 원효대사의 정신을 계승 선양하는 것이다.

1965년1월15일 초대 종정에 정수용(鄭壽鎔) 종사가 선임되고 1965년 2월 포교원을 총본원으로 개칭했으며, 1967년 8월 본부를 경상북도 월성군 내남면 배리 495로 이전했다.

1970년 11월 민속신앙신도회를 구성하였으며, 1971년 8월경 정수용 종사를 2대 종정에 재추대하였다.

1971년 9월 총본원을 서울 서대문구 부암동에 임시 이전했다가 1973년 5월20일 동대문구 창신동 안양암(安養庵)으로 정식 이전했다.

종전으로 1967년 5월 [원효종성전]을 발간하였고, 1973년 1월 일부 종헌을 개정했다.

대한불교 일승종(大韓佛敎一乘宗)

대한불교 일승종은 1969년 1월 20일 서울 성북구 성북동 179의 33 소재 일승사(一乘寺)에서 최혜정(崔惠正) 스님이 창종하였으며, 법화사상계에 속한 한국불교의 한 종파이다.

석가모니불을 본존불로, 대각국사를 종조로, [묘법연화경]을 소의 경전으로 삼는다.

종지(宗旨)는 회삼귀일의 일승법으로 파사현정의 보살도를 수행 실천한다.

주요 종단기구는 종정(宗正) 아래 종무 전반을 관장하는 총무원, 규정기관인 감찰원, 의결기관인 종의회(宗議會) 등이 있다.

대한불교 정토종(大韓佛敎淨土宗)

대한불교 정토종은 1965년 11월 18일 서울 서대문구 아현동 958에서 신동환(申東煥) 스님이 창종하였으며 미륵정토사상계에 속한 한국불교의 한 종파이다.

아미타불을 본존불로, [무량수경 無量壽經]을 소의경전으로 한다.

종지(宗旨)는 승속일치 속에 정토극락발원의 수행관법이다.

1966년 3월 서대문구 불광동 산 42의 1로 본부를 이전하였다.

매년 아미타불제를 봉행하고 있다.

주요행사는 불교의 일반적인 행사인 음력 2월 15일 열반절, 4월 초파일의 석탄절, 12월 8일의 성도절 등이 있다.

종단의 주요기구로는 교무를 통합 관장하는 중앙본부와 최고 의결기관인 교정(敎政)위원회 외에 고시원 사정원 등이 있다.

대한불교 조계종(大韓佛敎 曹溪宗)

대한불교조계종은 한국의 불교 종단이다.

조계종이라는 이름은 중국 선종이 크게 흥했던 조계산에서 비롯되었다.

금강경을 소의 경전으로 하며, 중국 선종의 조사들 중에서 초조 달마 6조 혜능의 법손임을 천명한다.

보조국사 지눌과 태고 보우국사, 도의국사 세 사람을 종조로 보고 있으며, 누가 사실상의 종조인지에 대해서는 학설이 다양하다.

보조국사를 종조로 보는 쪽은 돈오점수를 주장한다.

조계종 종정을 지낸 성철 스님은 돈오돈수를 주장하는데, 돈오점수를 주장하면 6조의 법손이 아니라는 이야기를 한 바 있다.

이는 법맥과 전등을 중요시하면 사자상승, 즉 스승 없이 깨닫기는 석가모니 정도가 아니면 불가능하다는 입장에서 강조한 것이다.

조계종은 공식적으로는 도의국사를 종조로, 태고 보우국사를 중흥조로, 보조 지눌국사를 중천조로 보고 있다.

해방 이후 비구승과 분규를 겪은 대처승단 측은 한국불교태고종으로 떨어져 나갔다.

조계종의 수장은 종정이나 실제 행정은 총무원장이 관할하고 있다.

1) 삼보사찰

① 불보종찰 통도사

② 법보종찰 해인사

③ 승보종찰 송광사

2) 오대 총림

① 가야총림 해인사

② 조계총림 송광사

③ 영축총림 통도사

④ 덕숭총림 수덕사

⑤ 고불총림 백양사

3) 25개 교구 본사

(1) 서울특별시 직할교구 조계사

(2) 특별교구(군종교구)

(3) 제2교구 경기도 용주사

(4) 제3교구 강원도 신흥사

(5) 제4교구 강원도 월정사

(6) 제5교구 충청북도 법주사

(7) 제6교구 충청남도 마곡사

(8) 제7교구 충청남도 수덕사

(8) 제8교구 경상북도 직지사

(9) 제9교구 대구광역시 동화사

(10) 제10교구 대구광역시 은해사

(11) 제11교구 경상북도 불국사

(12) 제12교구 경상남도 해인사

(13) 제13교구 경상남도 쌍계사

(14) 제14교구 부산광역시 범어사

(15) 제15교구 경상남도 통도사

(16) 제16교구 경상북도 고운사

(17) 제17교구 전라북도 금산사

(18) 제18교구 전라남도 백양사

(19) 제19교구 전라남도 화엄사

(20)

(21) 제21교구 전라남도 송광사

(22) 제22교구 전라남도 대흥사

(23) 제23교구 제주도 관음사

(24) 제24교구 전라북 선운사

(25) 제25교구 경기도 봉선사

대한불교 조동종(大韓佛敎曹洞宗)

대한불교 조동종은 대한민국의 불교 종단이다.

선불교의 일종인 조동종계열이다.

1989년에 창립되었고 총무원은 서울 강서구 등촌2동의 용천사에 있다.

석가모니를 본존불로 삼고 있다.

대한불교 진각종(大韓佛敎眞覺宗)

대한불교 진각종은 1953년8월24일 대구시 소재에서 회당(悔堂) 손규상(孫珪祥: 1902~1963) 대종사가 창종하였으며 밀교계(密敎系)에 속한 한국불교의 한 종파이다.

법신 대일여래를 교주로, 육자진언을 본존으로, 손규상 대종사를 종조로, [대일경][금강정경 金剛頂經][대승장엄보왕경 大乘莊嚴寶王經]을 소의 경전으로 삼는다.

종지(宗旨)는 법신 비로자나불의 체(體)가 되는 육대(六大)와 법신불의 상(相)이 되는 사만(四蔓)과 법신불의 용(用)이 되는 삼밀(三密)로 유위무위(有爲無爲) 일체의 이치에 대비(大悲) 결정 용예하여 일체 마군을 항복 받고 외도를 제어하는 현세정화와 즉신 성불에 있다.

진각종은 독자적으로 한국에서 성립된 밀교 종단으로, 2005년 현재 한국의 3대 밀교 종단은 모두 진각종에서 분종해 나간 것으로, 1954년에 진언종(眞言宗)이 분종하고, 1974년에는 총지종(總指宗)이 분종하였다.

종단의 승려(교화자)는 남녀 모두 머리를 깎지 않는 반승반속(半僧半俗)의 형태로 개신교의 목사에 가깝다.

사찰의 주지에 해당하는 직위는 이런 반승반속의 정사(正師)라고 부르는 남자 교화자와 전수(傳授)라고 부르는 여자 교화자 부부가 짝을 이루어 함께 맡는 경우가 많다.

2004년 현재 비구승도 양성할 계획에 있다고 한다.

교육부설기관으로는 경주의 위덕대학교, 대구의 심인중고등학교, 서울의 진선여자 중고등학교가 있다.

옴마니반메훔 6자 진언을 중요하게 여기고 항상 염송한다.

복지기관으로는 진각복지재단이 있으며 출판물에는 [밀교신문], [법의 향기](월간), [자성동이] (월간) 등이 있다.

1947년 6월 14일 경상북도 달성군 성서면 동림촌에서 손규상 대종사가 개종하였다.

1949년 12월 심인불교(心印佛敎)라 칭하고,

1953년 8월 대한불교 진각종으로 명칭을 변경한 후 손규상이 대종사의 位에 올랐다.

1963년 10월 손규상 대종사가 입적 후 손대련(孫大鍊) 종사가 대종사에 오르고,

1964년 3월 종제 개편 후 초대 총인(總印)에 추대되었다.

1968년 12월 총인원을 서울 성북구 하월곡동 22에 이전하고 본부 내에 종조전과 종조비를 세웠다.

1972년 6월 손대련 총인의 퇴임 후 박을수(朴乙守) 종사가 통리원장(統理院長)에 피선되었고, 그 후에는 배신(裵信) 총인과 김철(金哲) 통리원장이 종단을 이끌었다.

대한불교 진언종(大韓佛敎眞言宗)

대한불교 진언종은 1963년 12월 3일 대구시 남구 대봉동에서 손영진(孫榮振) 스님이 창종한 것으로 밀교계에 속한 한국불교의 한 종파이다.

대일여래를 본존불로, 혜통화상을 종조로, [대일경]을 소의경전으로 삼는다.

종지(宗旨)는 법신대일여래와 관세음보살께 귀명정례하여 육대(六大: 본체)․사만(四曼 실상)․삼밀(三密 작용)을 수행의 중심으로 한다.

본래 손해봉(孫海棒: 중흥조) 스님이 1948년 경상북도 포항에 참회도량을 세우고 포교를 시작한 것이 시원이 되어 1954년 4월 울산에 참회원을 만들고, 대한불교 참회당교도회라 명명한 후 유지하여 재단법인을 창설하였다.

1963년 12월 포교원으로 등록하였으며, 1969년 9월 대한불교 진언종 총본원으로 명칭을 변경시켰다.

수행방법으로 "옴마니반메훔"의 6자진언과 관자재보살 본심진언. 광명진언. 유제(維提)진언을 염송한다.






'역학백과사전-ㄷ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학사전-ㄷ-6  (0) 2017.08.08
역학사전-ㄷ-5  (0) 2017.08.08
역학사전-ㄷ-3  (0) 2017.07.16
역학사전-ㄷ-2  (0) 2017.07.12
역학사전-ㄷ-1  (0) 2017.0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