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행사

부처님 오신날 법요식

유프랭크지안 2017. 6. 1. 18:15

부처님 오신날 법요식 

1. 봉축 행사 준비물 

1) 연등(종이등(색등 백등). 비닐등. 주름등. 컵등)

2) 등표(생자. 망자)

3) 등초(양초. 건전지)

4) 아치(도로. 절 입구)

5) 아치(육교)

6) 현수막

7) 현수막 게시대(배너게시대)

8) 안내문 배너

9) 연등걸이(전선. 전구. 철사)

10) 부처님 오신날 봉축 동참 초대장

11) 만국기

12) 행사 리본

13) 어깨띠

14) 펜시 마스코트

15) 펜시 보턴

16) 청사초롱

17) 관욕대

18) 관욕 물 주걱

19) 탄생불(아기부처)

20) 육법 공양물

21) 헌화 꽃

22) 행사 팜프랫

23) 사회대

24) 법상

25) 상단 공양물

26) 대중 공양물

27) 야외 천막과 자리

법요식순 

증명법주: 00 큰스님

법주: 00 스님

집전: 00 스님

사회: 00 법사 

1) 명종

2) 도량결계

3) 집회가(합창단)

4) 개회

5) 육법공양

6) 삼보에 귀의합니다(합창단)

7) 삼귀의례

8) 독경(반야심경)

9) 찬불가(찬양합니다)

10) 불탄절 노래(합창단)

11) 헌화

12) 봉축사

13) 축사

14) 봉축가(음성공양)

15) 청법가

16) 입정

17) 봉축법어

18) 합창단(이 공양을 받으소서)

19) 예참

20) 합창단(보현행원)

21) 축원

22) 발원문

23) 합창단(부처님께 기원합니다)

24) 여래염송

25) 봉축가(음성공양)

26) 사홍서원

27) 관불의식 정근(사부대중)

28) 폐회

법요식 진행 

1) 명종 (5)

집전스님이 범종이나 법당 내 소종을 친다. (5) 

2) 도량결계

집전스님이 법당 앞에서 도량결계를 한다. 

정구업진언

[수리수리 마하수리 수수리 사바하] (3)

오방내외안위제신진언

[나무 사만다 몯다남 옴 도로도로 지미 사바하] (3)

개경게

무상심심미묘법 백천만겁난조우

아금문견득수지 원해여래진실의

개법장진언

[옴 아라남 아라다] (3)

나무대불정여래 밀인수증요의 제보살만행 수능엄신주

[다냐타 옴 아나레 비사제 비라 바아라 다리 반다반다니 바아라 바니반 호훔 다로옹박 사바하] (3)

나무동방 해탈주세계 허공공덕 청정미진 등목단정 공덕상광명화 파두마 유리광 보체상 최상향 공양흘 종종장엄정계 무량무변 일월광명 원력장엄 변화장엄 법계 출생 무장애왕

[여래아라하 삼먁삼불타] (3)

계수서방안락찰 접인중생대도사 아금발원원왕생

유원자비애섭수 원제천룡팔부중 위아옹호불리신

어제난처무제난 여시대원능성취 

3) 집회가(합창단) 

4) 개회

사회 : 귀의삼보하옵니다.

사부대중 모두 일어나 지극한 마음으로 합장해 주십시오.

지금부터 불기256048일 부처님 오신날 00() 청정지 도량에서 대법주 00큰스님의 증명하에 봉축법회를 시작하겠습니다. 

5) 육법공양

사회 : 다음은 사부대중이 지극 정성으로 마련한 여섯 가지의 공양을 올리는 순서 입니다.

여섯 가지라 함은 향공양, 등공양, 차공양, 과일공양, 꽃공양, 쌀공양으로 이를 이르러 육법공양이라 합니다.

(육법공양을 올리는 사람은 각 공양을 품에 품듯이 앉고 법당 문 입구에 나란히 서서 자기순서를 기다린다.)  

사회 : 첫 번째 향 공양은 000(보살 거사)가 올리겠습니다.

() 공양.(천천히 상단에 놓여질 때까지 읽는다.)

해탈의 향을 지극한 정성으로 예경하여 올립니다.

계향의 참다운 향기 하늘까지 피어올라 삼천대천 세계까지 맑게 퍼져가옵소서.

시주의 경건한 정성 향로에 서리어서 사르는 이 순간 온 우주에 널리 퍼져 성스러운 이 향기로 이 세상을 맑게 하옵고, 중생들의 악업이 소멸되어 해탈의 선정에 어서 올라 지이다. 

사회 : 다같이 따라해 주십시오.(사회자가 짧게 끊어 선창한다)

오직 바라옵건대 여러 부처님이시여 이 공양을 받으소서. 

사회 : 두 번째 등 공양은 000(보살 거사)가 올리겠습니다.

() 공양.(천천히 상단에 놓여질 때까지 읽는다.)

반야의 등을 지극한 정성으로 예경하여 올립니다.

등불이 자신을 녹이면서 어둠을 밝혀주듯이 부처님의 지혜광명 시방세계 무명중생 두루 밝혀 지혜의 마음의 등불 저절로 얻어 지이다.

제가 이제 스스로 등잔이 되어 온 누리를 두루 밝게 비추오니 중생들의 어두운 마음에 빛이 되어 악업은 멸하고 복덕이 무량하여 반야의 대 지혜에 어서 올라 지이다 

사회 : 다같이 따라해 주십시오.(사회자가 짧게 끊어 선창한다)

오직 바라옵건대 여러 부처님이시여 이 공양을 받으소서. 

사회 : 세 번째 다 공양은 000(보살 거사)가 올리겠습니다.

() 공양.(천천히 상단에 놓여질 때까지 읽는다.)

일심정례하옵고 지극한 정성으로 감로차를 올립니다.

백 가지 차 잎과 꽃술을 모아 높은 산 석간수를 옥사발에 달였으니 어둠이 부서지고 꿈에서 깨어나 혼돈과 미혹을 씻어 내어 조주의 깨침을 알게 되어 지이다.

시방세계 부처님과 청정한 미묘법과 해탈하신 승가에 감로의 청정한 차를 공양하오니 이 공덕 무량하여 선정의 맑은 차에 지혜광명 드리우사 일체중생 모두 함께 성불하여 지이다. 

사회 : 다같이 따라해 주십시오.(사회자가 짧게 끊어 선창한다)

오직 바라옵건대 여러 부처님이시여 이 공양을 받으소서.  

사회 : 네 번째 과 공양은 000(보살 거사)가 올리겠습니다.

() 공양.(천천히 상단에 놓여질 때까지 읽는다.)

보리의 과일을 지극한 정성으로 예경하여 올립니다.

어려운 고난 속에서도 향기롭고 맛있는 열매를 맺은 과일 나무처럼 위없이 존귀하신 부처님이시여.

저희가 지은 공덕 바라는 마음 없이 모든 이웃에게 회향하나이다.

이러한 인연으로 부처님 부사의한 덕과 지혜로써 일체중생 보리도를 이루게 하여 지이다. 

사회 : 다같이 따라해 주십시오.(사회자가 짧게 끊어 선창한다)

오직 바라옵건대 여러 부처님이시여 이 공양을 받으소서. 

사회 : 다섯 번째 꽃공양은 000(보살 거사)가 올리겠습니다.

() 공양.(천천히 상단에 놓여질 때까지 읽는다.)

만행의 꽃을 지극한 정성으로 예경하여 올립니다.

이 세상 만물 가운데 가장 아름답고 향기로운 꽃처럼 저희도 각각 다른 성품 다른 모습을 지니나 거룩하신 부처님의 제자로서 만해의 선덕을 이루어 불국정토에 아름다운 꽃을 피워 장엄하게 하여 지이다. 

사회 : 다같이 따라해 주십시오.(사회자가 짧게 끊어 선창한다)

오직 바라옵건대 여러 부처님이시여 이 공양을 받으소서. 

사회 : 여섯 번째 쌀공양은 000(보살 거사)가 올리겠습니다.

() 공양.(천천히 상단에 놓여질 때까지 읽는다.)

지극한 정성으로 선열의 쌀을 예경하여 올립니다.

한 방울의 물에도 천지의 은혜가 스며 있고 한 톨의 곡식에도 일체중생의 무한한 공덕이 담겨져 있습니다.

이제 부처님 전에 백미로서 정성껏 공양을 올리오니 이 공덕 시방세계 회향되어 선열의 큰 바다 이루어 지이다. 

사회 : 다같이 따라해 주십시오.(사회자가 짧게 끊어 선창한다)

오직 바라옵건대 여러 부처님이시여 이 공양을 받으소서. 

6) 귀의찬가 (합창단. 삼보에 귀의합니다)

사회 : 다음은 삼보에 귀의하는 귀의 찬가를 합창단이 부르겠습니다. 

7) 삼귀의례(三歸依禮)

사회 : 삼귀의례는 다같이 노래로 모시겠습니다. 

8) 독경(讀經) 반야심경

사회 : 다음은 반야심경을 집전스님의 선창으로 다같이 독송하시겠습니다.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 관자재보살행심반야바라밀다시조견오온개공도일체고액사리자색불이공공불이색색즉시공공즉시색수상행식역부여시사리자시제법공상불생불멸불구부정불증불감시고공중무색무수상행식무안이비설신의무색성향미촉법무안계내지무의식계무무명역무무명진내지무노사역무노사진무고집멸도무지역무득이무소득고보리살타의반야바라밀다고심무가애무가애고무유공포원리전도몽상구경열반삼세제불의반야바라밀다고득아뇩다라삼막삼보리고지반야바라밀다시대신주시대명주시무상주시무등등주능제일체고진실불허고설반야바라밀다주즉설주왈

[아제아제바라아제바라승아제모지사바하] (3) 

9) 찬불가

사회 : 찬불가를 다같이 찬탄하는 마음으로 부르겠습니다. 

10) 불탄절 노래

사회 : 합창단이 불탄절의 노래를 부르겠습니다. 

11) 헌화

사회 : 부처님께 헌화입니다.

00 법주스님께서 부처님전에 헌화를 하시겠습니다. (헌화)

신도대표로 000(법사. 보살. 거사)님의 헌화입니다. (헌화) 

12) 봉축사

사회 : 사부대중 모두 자리에 앉아주시기 바랍니다.

다음은 봉축법회의 법주이신 00 주지스님께서 봉축사를 하시겠습니다.

봉축사 (예문)

대자대비한 부처님이 우리 곁에 오신 것을 진심으로 봉축하오며 님에게 귀의하옵니다.

부처님 오신날 봉축법요식에 동참하신 사부대중 여러분 반갑습니다.

우리 모두 부처님의 오심을 일심으로 기쁘게 생각하며 부처님의 청정지 도량에서 더불어 함께 화합하여 불국정토 이룸을 다짐하는 자리가 될 것입니다.

자비로우신 부처님의 품은 보람의 둥지요,

이상의 둥지이며, 서로의 교감의 둥지입니다.

사부대중 여러분!

부처님의 법음의 광명이 사부대중 모두와 그 가족과 이웃, 사회와 온 누리에 충만하실 것입니다.

거룩하신 부처님의 한량없으신 복덕과 지혜의 무궁한 가피를 내리실 것입니다.

날마다 좋은날 되십시오. 다같이 성불합시다. 

13) 축사

사회 : 이어서 축사가 있겠습니다.

축사는(축사자의 직함) 000님의 축사가 있겠습니다.

(식전 축사 대상을 찾아 축사를 부탁하여 동의를 구한다.)  

14) 봉축가 (음성공양)

사회 : 부처님이 이 세상에 오심을 찬탄하는 음성공양을 000님께서 삼보전에 올리겠습니다. 

15) 청법가

사회 : 부처님 오신날 00큰스님의 봉축법어를 청하는 청법가를 다같이 하시겠습니다.

(큰스님 상좌의 안내로 법좌에 오르심) 

16) 입정

사회 : 몸과 마음을 가다듬는 입정 시간입니다.

집전스님 축비1~ 입정~3분 경과 후 죽비1, 입정 바로.

사부대중은 일어나 집전스님의 목탁에 맞추어 큰스님에게 삼배를 드리고 자리에 조용히 앉아 주시기 바랍니다. 

17) 봉축법문 

법문(예 지안스님)

이것이 무엇인가? (양초하나를 들어) 이것에 생명이 있는가?

다시 묻노니 이것에 생명이 있는가? 생명이 없는가?

이것에 생명이 있는가? (양초에 불을 붙여서)

생명이 있다 없다 함은, 생과 멸의 공존을 이루지 않으면 생명이 없는 것이고, 생과 멸이 공존하면 생명이 있는 것이다.

양초에는 생명이 없으나 이 양초에 불을 붙이는 순간 양초에는 생명이 있는 것이다.

양초에 불을 붙이면 생이 되고 그 순간부터 멸, 즉 죽어 가는 것이다.

자기 몸을 불사르며 어두운 곳을 밝혀주는 희생의 삶을 살아가는 것이다.

이 양초 하나가 이러한데 우리 인간은 어떠한가. 자기를 불 살러 자기와 이웃의 어 두움에 빛이 되었는가. 아니면 불태우기 싫어 스스로 어둠에 묻혀서 지내지는 아니한지를 생각해 보았는가.

오늘 우리는 세상의 빛이 되고 무명에 쌓여있는 중생의 어두운 삼세를 환히 비추어 주신 님이 오신 날이다.

부처님은 우리에게 스스로 불을 밝히라 하셨다.

내가 양초가 되어 불을 밝혀서 나와 내 주위에 빛이 되어야 가정에 어두움이 없어져 사랑하는 부모형제 처자식이

빛날 것이다.

부처님은 중생을 인도하는 길잡이 등불이라 하셨다.

이를 법등명 자등명이라 함이다.

생하면 언젠가 멸하게 되는 법 즉, 태어남은 언제 가는 죽는 다는 진리이다.

이 생과 멸의 중간 과정에 찌들고 궁상맞게 살 것인가 멋지고 행복하게 살 것인가.

! 라는 개념을 버리고 우리! 라는 개념으로 더불어 함께 부처님 둥지에서 신바람 나는 불국정토 이루어 보세. 

18) 예불가 (합창단)

사회 : 예불에 앞서 합창단원의 예불가와 이 공양을 받으소서의 합창이 있겠습니다. 

19) 예참

사회 : 모두 일어나 지극한 마음으로 집전스님의 인도에 따라 예경을 드리겠습니다. 

아금청정수 변위감로다

봉헌삼보전 원수애납수 (합장반절)

지심귀명례 삼계도사 사생자부 시아본사 석가모니불 ()

지심귀명례 도솔내의상 시아본사 석가모니불 ()

지심귀명례 비람강생상 시아본사 석가모니불 ()

지심귀명례 사문유관상 시아본사 석가모니불 ()

지심귀명례 유성출가상 시아본사 석가모니불 ()

지심귀명례 설산수도상 시아본사 석가모니불 ()

지심귀명례 수하항마상 시아본사 석가모니불 ()

지심귀명례 녹원전법상 시아본사 석가모니불 ()

지심귀명례 쌍림열반상 시아본사 석가모니불 ()

지심귀명례 시방삼세 제망찰해 상주일체 불타야중

지심귀명례 시방삼세 제망찰해 상주일체 달마야중

지심귀명례 시방삼세 제망찰해 상주일체 승가야중

유원 무진삼보 대자대비 수아정례 명훈가피력

원공법계제중생 자타일시 성불도 (반절)  

20) 보현행원 노래 (합창단)

사회 : 합창단의 보현행원의 합창이 있겠습니다. 

21) 축원

사회 : 00스님의 부처님전 축원이 있겠습니다.

축원문()

위 더 없으시고 아래 더 없으신 나무 석가모니 부처님!

일체 모든 중생들을 천안으로 지켜주시고 천 손으로 이끌어 주심을 오늘 당신의 탄생일을 맞이하여 감사하고 고마워하며 찬탄하옵니다.

대자비 부처님!

대한민국 온 누리에 부처님의 광명이 충만하여 평화로운 국가, 건전한 사회, 행복한 가정이 되도록 지켜 주옵시고 나아가 사부대중 모두 더불어 함께 신바람 나는 불국정토 이루게 하옵소서.

나무 석가모니불

나무 석가모니불

나무 시아본사 석가모니불 

22) 발원문

사회 : 발원문은 00님의 선창으로 사부대중 모두는 따라해 주시기 바랍니다.

발원문()

우주에 충만하사 아니 계신 곳 없으시고 만유에 평등하사 두루 살펴주시는 대자비의 부처님이시여!

자비의 문을 열어 구원의 실상을 밝혀 주옵소서.

오늘 부처님이 오신 날을 맞아 지극한 마음으로 귀의 발원합니다.

이제 부처님의 가르치심을 만나 불법의 참뜻을 믿고 닦아 바른 마음과 바른 행동과 바른 말로 살아가고자 발원하옵나니, 바라옵건대 이 발원이 부처님의 가피를 입어 뜻대로 되게 하옵소서. 그리하여 세계와 국가가 평화롭고, 사회와 가정이 화목하며, 질서는 유지되고, 중생의 지혜와 복덕은 더욱 구족하여 다시는 윤회의 악보를 받지 않게 하옵소서. 이르는 곳마다 정토요. 하는 일마다 원만하며, 만나는 사람들은 모두가 자비롭고, 처음과 같이 한결같아 일체장애를 벗어나 마음은 안온하고, 신체는 강건하며, 정진심은 날로 더 하고, 퇴굴심은 날로 줄어들어 세계와 중생을 위하여 더욱더 큰 일을 하게 하옵소서.

원하옵건대 부처님의 자비광명이 법계에 충만하여 주시옵소서.

나무 석가모니불

나무 석가모니불

나무 시아본사 석가모니불. 

23) 부처님께 기원합니다 (합창단)

사회 : 다음은 합창단의 부처님께기원합니다 의 합창이 있겠습니다. 

24) 여래 염송

사회 : 다음은 여래에 드리는 염송입니다.

선창은 00님이 하시고 후창은 불자 여러분이 다함께 큰 목소리로 하여 주시 기 바랍니다.

(선창자는 사회대에 나와서 한다) 

<여래염송>

선창 : 위없이 높고 깊어 미묘하온 법. 백천만겁 지난들 어이 만나리 내 이제 듣고 보고 받아 지니니 여래의 진실한 뜻 알아 지이다.

저희들이 삼악도를 길이 여의고,

후창 : 탐진치 삼독심을 끊으오리다.

선창 : 어느 때나 삼보이름 항상 듣고서

후창 : 계정혜 삼학도를 닦으오리다.

선창 : 부처님을 따라서 항상 배우며

후창 : 위없는 보리심에 머무오리다.

선창 : 어김없이 안양국에 바로 태어나

후창 : 아미타 부처님을 친견하리다.

선창 : 미진 세계 불국토에 몸을 나투어

후창 : 모든 중생 남김없이 건지오리다.

: 삼계의 스승이신 세존이시여, 여래의 법 생명으로 살게 하소서.

사생의 자부이신 세존이시여! 겁 토록 저희들을 인도하소서.

나무마하반야바라밀

나무마하반야바라밀

나무마하반야바라밀  

25) 봉축가 (음성공양)

사회 : 다음은 오늘 부처님 오신날을 찬양하는 000님의 음성공양이 있겠습니다.

   합창이나 독창으로 부처님 을 찬탄하는 노래를 올린다 

26) 사홍서원

사회 : 사홍서원을 다같이 노래로 모시겠습니다. 

27) 관욕식 정근 (사부대중)

사회 : 아기 부처님의 목욕을 시켜드리는 관욕의식입니다.

먼저 스님, 법사님, 신도님 순위로 진행하시며 정근을 하시겠습니다.

(석가모니불 정근)

나무 삼계도사 사생자부 시아본사 석가모니불.

석가모니불~석가모니불(관욕이 끝날 때까지)

천상천하무여불

시방세계역무비

세간소유아진견

일체무유여불자 

28) 폐회

사회 : 끝으로 산회가를 다같이 부르면서, 불기 256048일 부처님 오신날 000() 봉축 법요식을 마치겠습니다.

다같이 성불합시다. 

불교의 각종 행사 의식 30종류를 집합한 봉행요집  ↓














'불교행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중 우란분절  (0) 2017.08.10
출가절 법회  (0) 2017.06.02
불교의 행사 의식  (0) 2017.0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