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학백과사전-ㅌ부

역학사전-ㅌ-4

유프랭크지안 2017. 8. 11. 00:49

ㅌ부-4

태양승전(太陽昇殿)

風水 사격론(砂格論)의 하나.

지지(地支)자로 동서남북(東西南北) 네 곳 모두에 단정하고 기세 있는 태양금성체(太陽金星體)의 산이 있으면 극귀(極貴)하고 국부(國富)가 난다.

자오묘유(子午卯酉).

태양신 수리아

태양신 수리아는 남서쪽을 지켜주는 방위신이다. 원래 고대에는 태양신 숭배가 최초의 종교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당연히 태양신이 주신(主神)이 되었다.

생명의 빛을 내려주는 태양이야말로 그 자체로서 놀라운 경이와 기적이었다. 그러다가 신들의 계보와 혈통이 중시되면서 서서히 역할신으로 내려앉는다.

그리스 신화의 태양신 헬리오스와 아폴론처럼 메이저 신격(神格)에서 크게 벗어나진 않는다.

수리아는 빛나는 금발에 세 개의 눈과 네 개의 다리를 가진 신으로 그려진다.

일곱 개의 머리를 가진 황금전차를 타고 다닌다. 수리아의 마차는 상상초월의 크기를 자랑한다.

비슈누 푸라나에 따르면 마차길이는 9천요자나에 너비는 4만 5천 요자나에 달한다.

1요자나는 15킬로미터다.

아프사라스 간다르바 야차거인족 등이 수리아와 함께 태양의 황금전차를 몬다.

태양인(太陽人)

태양인은 폐가 크고 간은 작으며 가슴 윗부분이 발달한 체형을 말한다.

목덜미가 굵고 실하며, 머리가 크고 허리 아랫부분이 약하며, 엉덩이가 작고 다리가 위축되어 서있는 자세가 안정되어 보이지 않으며, 다른 사람과 사교하는 데 소통을 잘하는 장점이 있고, 과단성이 있어 사회적 관계에 유능하다.

태양인은 소변량이 많고 잘 나오면 건강하고, 입에서 침이나 거품이 자주 나오면 병이 된다.

담백한 음식이나 간을 보하고 음을 만들어 주는 식품이 좋은데 지방질이 적은 해물류나 채소류가 좋다.

태양인(太陽人) 약선

저돌적이고 남성적이며 선동적인 태양인은 폐대간소(肺大肝小)로서 폐의 기능은 강하고 간의 기능은 약하다. 즉 밖으로 발산하고 위로 오르는 기운이 강하므로 기를 안으로 흡수하고 내려줄 수 있는 기운이 약하다. 그래서 음식물을 잘 먹지 못하고 구토하는 발산하는 증세가 있거나 아무 이유 없이 다리의 힘이 빠지는 증세가 나타나며 여성의 경우에는 불임증이 많다.

보양식은 담백하고 기를 내려주는 소박한 붕어이다.

해산물로는 간을 보해 주는 조개, 해삼, 새우, 굴, 전복, 소라, 문어 등이다.

과일로는 시원한 성질의 포도, 감, 머루, 다래, 앵두 등이다. 야채는 순채나물, 솔잎이 좋고, 곡류는 메밀이 좋다.

대체로 태양인의 음식들은 시원한 성질이 많다.

소양인의 음식과 중복되는 음식이 많으며 소양인의 음식 중에 맑고 시원한 성질이 태양인에게 맞는 음식이다. 그러나 기름진 음식이나 고열량의 음식 자극적인 음식은 피해야 한다.

태위택(兌爲澤)

성명 역괘 22 괘.

푸른 옥이 상자에 가득하니 금빛 나는 뜰에서 꽃의 향기가 가득하며 어릴 때부터 앞길이 유망하게 된다.

태위택(兌爲澤) 年運

兌(태)는 기쁨, 소녀를 뜻하는 것으로 발전을 상징한다.

사람이 모이고 기쁨이 많은 때 서비스업이나 음식업 전문 여성에게 특히 길한 운이다.

희망이 빛나고 즐거움을 표시하는 때이나 일에 매듭이 없고 밑도 끝도 없는 실상이며 외간상은 충만하나 내면으로는 괴로움이 있다.

지금 당신은 무익한 일로 전력을 소비하고 있으니 마음은 초조하기도 하고 불안하기도 한다.

이 卦를 얻은 사람은 작은 일에도 매우 재미를 본다. 그리고 말로서 재물을 모으는 일, 주식 판매원 외무사원 방송인 가수 언론인 등에 종사하는 사람은 대길 운.

태을수(太乙數)

하늘의 별성을 수리로 하여 길흉화복을 알아내는 것. 서양의 별자리.

태을성(太乙星)

신령한 별의 이름. 하늘 북쪽에 있어 병란(兵亂). 재화(災禍) 생사를 맡아 다스린다 함.

태을점(太乙占)

태을성의 이동하는 위치에 따라 길흉을 점치는 일.

태음(太陰)

① 달(月)을 이르는 말.

② 사상(四象)의 하나. 음기(陰氣)만 있고, 양기(陽氣)는 조금도 없는 상태.

태음력(太陰曆)

달의 만월에서 만월까지의 29.53059일을 기초로 하여 만든 曆法 1년을 12월로 하고 작은 달은 29일, 큰 달은 30일로 함. (음력)

태음살

매사 용기가 없어 의기소침해지고 여난이 들어 패가망신하며 손재가 빈번해 진다.

생년

태음인(太陰人)

사상의학에서 넷으로 나눈 사람의 체질 가운데 하나.

폐가 작고 간이 크며 꾸준하고 참을성이 있는 반면 욕심이 많은 체질임.

상체가 약하고 하체가 튼튼하며 체격이 큰 편임. 소음인, 소양인, 태양인.

태음인(太陰人)

태음인은 간이 크고 폐가 작으며, 허리 부위가 잘 발달되어 서있는 자세가 굳건한 반면에 목덜미 기세가 약하다.

키가 큰 것이 보통이고 작은 사람은 드물며, 대개는 살이 쪘고 체격이 건실하며 간혹 수척한 사람도 있지만 골격만은 건실하다.

성격은 꾸준하고 침착하며 무슨 일이든 시작한 일, 맡은 일을 이루어 성취하는 장점이 있다.

태음인은 땀구멍이 잘 통하여 땀이 잘 나오면 건강하지만 호흡기와 순환기 기능이 약해서 심장병, 고혈압, 중풍, 천식 등에 걸리기 쉽다.

고단백질의 식품이 좋고, 채소류․ 해물류가 좋으나, 지방질이 많은 식품은 좋지 않고 자극성 있는 조미료나 닭고기, 개고기는 해롭다.

태음인(太陰人) 약선

느긋하고 참을성이 많고 무엇이든 잘 먹는 태음인은 간대폐소(肝大肺小)로서 간의 기능을 강하고 폐의 기능이 약하다.

즉 음식물을 흡수하는 기능이 강한 반면 발산하는 기능은 약하다. 그래서 식욕이 왕성하고 비만한 사람이 많으며 비만, 고혈압, 당뇨병, 동맥경화, 심장질환 등의 성인병이 많이 생긴다.

태음인의 음식은 폐를 보해 주는 음식을 먹는 것이 건강을 지키는 비결이다.

음식은 기름지고 열량이 높은 음식보다는 고단백의 저열량의 음식을 먹는 것이 좋다.

대표적인 보양식은 담백하고 고단백의 음식인 소고기이며, 장어, 우유, 버터, 치즈 등도 좋다.

어류, 해산물로는 담백한 대구, 미역, 김, 다시마, 파래 등이 좋다.

야채는 무, 도라지, 연근, 마, 토란, 버섯, 더덕, 당근 등이 있다.

곡류는 밀, 율무, 콩, 두부, 들깨 등이 있다. 과실류에는 배, 잣, 호도, 은행 등이 좋다. 그러나 과식을 하거나 너무 기름진 음식을 먹는 것을 피하는 것이 좋다.

태음입묘(太陰入廟)

風水 사격론(砂格論)의 하나.

천간(天干)자로 동서남북(東西南北) 네 곳에 청아하고 아름다운 반달 같은 태음금성체(太陰金星體)의 산이 있으면 여자가 귀하게 되어 왕비에 이르고 남자의 경우는 임금의 사위인 부마(駙馬)가 된다.

갑경병임(甲庚丙壬).

태자 귀

세상에서 말하는 태자귀는 어린아이 귀신으로 주로 낙태나 아사로 한을 지고 죽은 아이의 원귀를 가리킨다.

이것이 태자라는 이름을 붙이게 된 것은, 옛날 중국 진의 태자 신생(太子) 춘추시대 진 헌공이 려희를 사랑해 그 아들 계제를 세우고 태자 신생을 내쳤는데, 려희가 신생을 모함해 죽게 했고 신생은 원귀가 되어서 려희를 미치게 했다고 한다.

어린아이의 유혼체백(遊魂滯魄), 혼(魂)은 날아가고 백(魄)만 엉긴 상태)으로 사람에게 붙어서, 사람의 길흉과 먼 곳의 일을 무당의 질문에 따라 응해 알려준다고 합니다.

이 어린아이의 유혼체백이 돌아다니면서 집집마다 방문해, "제자가 되어 드릴까요"하고 가느다란 목소리로 말하는데, 이때 그 집 부인이 "그렇게 하라."하고 응답하면 이 아이귀신은 곧 붙어서 떠나지 않게 되고, 그 부인은 태자귀가 붙은 무당이 된다.

이 경우, 다른 아이귀신이 집을 방문해 몇 번을 불러 물어도, 집안 부인이 응답하여 허락하지 않으면 결코 붙는 일이 없다.

이익(李翊,1629~1690 현종때의 문신) 의 친척 부인 한 사람이 이 아이귀신의 물음에 장난삼아 대답했다가, 태자귀신이 붙어서 여러 가지 방법을 써서 쫓으려 해도 되지 않고 기어이 병이 심해져 죽었고 한다.

이럴 경우 굿을 하고 태자귀신을 모신 다음 무당이 되면 부인이 죽지 않지만 양반 가문에서는 무당이 되는 것을 용납하지 않다.

우리나라 무당 중에서 태자귀 무당이 단연 많고, 또 태자귀 무당의 점이 잘 맞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태조산(太祖山)

風水의 하나.

太祖山을 일명 취강산(聚講山)이라 하며. 태조산(太祖山)이란, 한 산맥(山脈)의 처음 출발지이자 일개 광역(廣域)을 대표하는 높고 큰 산이다.

마치 불이 타오르는 것처럼 뾰쪽뾰쪽한 바위산들이 하늘 높이 솟아있다.

太祖山 바위들은 서기가 빛나야 한다.

太祖山은 멀리서 보면 구름을 산허리에 걸치고 우뚝 솟아있어 수려하게 보인다. 그러나 가까이서 보면 험준한 기암괴석들이 살기등등하게 서있어 감히 접근하기 어렵다.

太祖山 중에서도 화체(火體) 염정성(廉貞星)이 가장 존귀한 존재다.

뾰쪽뾰쪽한 바위산들이 하늘을 뚫듯이 높이 솟아서 그 기세가 장중하고 신비하다. 이 같은 太祖山은 백두대간(白頭大幹)같은 대간룡(大幹龍)이 아니면 만들 수 없다.

太祖山을 이루는 봉우리 중에서 제일 높은 최고봉을 제성(帝星) 또는 용루(龍樓)라고 하며, 그 밖의 횡렬(橫列)로 서있는 첨봉(尖峰)들은 보전(寶殿)이라고 한다.

용루(龍樓)의 산허리 부분 중심맥(中心脈)에서 나와 行龍하는 龍이 대간룡이다.

1) 第一星

모든 龍은 太祖山에서 출발한다.

장엄하고 기세등등한 용루보전(龍樓寶殿)의 여러 石峰들은 제각기 수많은 용맥(龍脈)을 四方으로 내려 보낸다. 이때 龍脈의 出發點은 대부분 산중턱이다.

太祖山을 출발한 龍은 아래로 크게 낙맥(落脈)한 다음 다시 위로 기세있게 올라가 산봉우리 하나를 처음으로 기봉한다. 이를 第一星이라 한다.

龍이 제1절에서 기봉(起峰)하였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높이 치솟아 단정하면서 수려해야 좋은 것이다.

화체 염정(廉貞)인 太祖山이 第一星을 탐랑(貪狼) 거문(巨門) 무곡(武曲) 좌보(左輔) 우필(右弼) 등 길성(吉星)으로 변했다하여 박환성(剝換星)이라고도 한다.

第一星은 앞으로 여행할 행룡(行龍)의 기본정신을 표현 한 것으로 風水에서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第一星이 구성(九星)중 어디에 속하느냐에 따라 거기서 나가는 龍의 구성과 五行 정신이 결정된다.

第一星의 정신을 부여받고 먼 거리를 行龍한 龍이 穴을 맺고자 할 때는 第一星과 똑같은 형태의 주산(主山)인 소조산을 만든다. 그 구성과 五行에 따른 穴을 결지(結地)라 한다.

행룡(行龍) 도중에는 험한 氣를 정제하기 위해서 타 구성이나 타 오행 형태로 변할 수는 있지만 그 정신은 변하지 않는다.

主穴을 찾고자 할 때는 먼저 第一星과 똑같은 형태의 主山을 찾아야 한다.

만약 第一星이 탐랑 목이면 주산도 탐랑(貪狼) 목이어야 하며 穴도 탐랑(貪狼) 기운인 유두혈(乳頭穴)을 맺는다. 이때 소조산인 주산을 응성(應星)이라고 한다.

第一星과 穴을 서로 같은 정신으로 응하게 해주는 산이라는 뜻이다.

태조산(太祖山)

風水의 하나.

모든 산(山)줄기의 시작(始作)이며 산(山)의 조종(祖宗)이다.

혈(穴)을 만들기 위한 처음의 산(山)이다.

한반도(韓半島) 산(山)의 조종(祖宗)은 백두산(白頭山)이고, 중국(中國)의 조종(祖宗)은 곤륜산(崑崙山)이며, 일본(日本)은 조종(祖宗)은 후지산(富士山)이다.

태조(太祖) 중조(中祖) 소조(小祖)

우리나라의 태조산(太祖山)은 백두산(白頭山)이고, 마을에서 가장 크고 높은 산을 태조산(太祖山)이라 한다.

태조(太祖)에서 이어져 내려오는 많은 산들을 중조(中祖)라 한다.

혈(穴) 바로 뒤에있는 산을 소조산(小祖山)이라 하고 이를 모체주산(母體主山) 또는 현무(玄武)라 한다.

주산에서 맥(脈)이 하강하는 곳을 胎라 하여 부모의 혈맥을 받는 탯줄과 같다.

기가 다발 짓는 곳을 식(息)이라 하는 것은 어머니가 회태양식(懷胎養息)하는 것과 같다.

잘쑥하게 묶이어 속기(束氣)되는 곳을 굴(屈)이라 하여 기를 한곳으로 모아 혈심으로 보낸다.

현무(玄武)의 정상을 잉(孕)이라 하는 것은 태(胎)가 남녀(男女)의 선을 만드는 두면의 형태와 같다.

융합하여 혈을 이루는 것을 육(育)이라 함은 아이를 기르는 것과 같다.

태향태류(胎向胎流)

風水 향법(向法)의 하나.

四局 태궁(胎宮)의 天干字로 파구(破口)되고, 정국(正局)의 12포태(胞胎)의 태향(胎向)을 태향태류(胎向胎流)라 한다.

수(水)가 혈(穴) 우측(右側)에서 득수(得水)하여 명당(明堂)에 모인 다음 혈(穴) 앞으로 파구(破口)되는 당문파(當門破)이며, 좌선룡(左旋龍)이 원칙이다.

혈(穴) 우측(右側) 관대궁(冠帶宮)에서 득수(得水)한 물이 목욕수(沐浴水) 장생수(長生水) 양수(養水)의 기운을 가지고 혈(穴)앞에 모여 태향(胎向)에서 혈(穴)과 음양교합(陰陽交合) 후(後) 향(向) 앞 태궁(胎宮)으로 빠져나가므로 당문파(堂門破)이고, 당면출살법(當面出煞 法)이라 한다.

당문파(當門破)는 수(水)가 곧장 빠져나가면 안 되고 구불구불하게 천천히 흐르면서 파구(破口)가 완벽하게 관쇄(關鎖)되는 백보전란(百步轉欄)에 불견직거(不見直去)해야 한다.

용진혈적(龍眞穴的)에 태향태류(胎向胎流)는 주로 대부대귀(大富大貴)에 인정흥왕(人丁興旺)한다.

용약비혈(龍弱非穴)이 되거나 수범지지자(水犯地支字)이면 비패즉절(非敗卽絶)하므로 불가경용(不可輕用)이다.

좌수도우(左水倒右)하여 당면직거(當面直去)하면 견동토우(牽動土牛)라 하여 패산적빈(敗産赤貧)이 우려된다.

四局

破口

坐向

木局

庚酉

甲坐庚向. 卯坐酉向

火局

壬子

丙坐壬向. 午坐子向

金局

甲卯

庚坐甲向. 酉坐卯向

水局

丙午

壬坐丙向. 子坐午向

택뢰수(澤雷隨)

성명 역괘 24 수.

몸을 편히 하고 분수를 지키니 쾌락이 특별한 광채가 있으며 바람이 가볍게 붙고 비록 재앙이 온다하나 황소의 많은 털 중에서 하나가 빠진 형상으로 별로 나타나지 않게 된다.

택뢰수(澤雷隨) 年運

따르다의 뜻이다.

즉 우레의 활동력이 못 속에 잠복되어 있는 것이 수의 괘상이다.

우레는 여름에 한창 기승을 부리던 것이 계절이 바뀌어 가을이 다가 옴에 그때를 잃어 힘이 쇠약해져서 잠잠하고 있는 상태다. 따라서 자기의 활동 무대를 잃었으며 주체성을 잃었으니 차라리 남의 의견에 따를 수밖에 없는 실정임을 말해주는 卦다.

모든 일에 남의 앞장을 서지 말고 뒤쫓아 감이 좋다.

주거가 바뀌거나 고향을 떠나거나 또는 직장을 그만두는 일이 생기겠으나 그리한 움직임에 따라도 무방하다.

좀 더 좋은 일이 될 수도 있다.

남성적인 경우에는 매력적인 여성이 나타나서 마음을 들뜨게 만들 징조가 있다.

하던 일을 다시 생각하고 전심전력이 필요한 괘다.

택산함(澤山咸)

성명 역괘 27 수.

늙은 고목이 따뜻한 봄빛을 만나니 하는 일마다 순조로우며 창성하다.

그러나 생각지도 않게 한 순간에 눈과 찬 서리를 만나니 바람 앞에 맥없이 떨어지는 꽃과 같은 격이다.

택산함(澤山咸) 年運

위는 못 澤兌이요 아래는 山艮이다.

咸(함)은 유화를 의미하는 태괘가 위에 있고 剛剛(강강)을 상징하는 艮卦가 아래 있다.

이것을 인간에 비유하면 나이 어린 남자가 나이 어린 여자와 사랑의 포옹을 하고 있으니 다정다감하지 않을 수 없다.

무엇을 하여도 민감하고 육감이 잘 움직이며 남의 공감을 얻어 순조롭게 수행되는 상태여서 운세 좋아 보인다.

행하는 일들이 뜻대로 되지 않아 고민이 쌓이니 선배나 친구 윗사람에게 자문을 얻어 행동함이 좋다.

예술 계통에 종사하는 사람이면 이 운세가 가장 좋은 절호의 때이다.

취직 입학에도 좋다. 수입과 지출이 모두 많은 괘이니 좌중함이 필요다.

택수곤(澤水困)

성명 역괘 26 수.

자라나는 나무가 쇠도끼를 만나니 가지가 잘리고 잎이 말라죽게 되니 어렸을 때는 외롭고 고독하며 곤고한 상이 되어 끝까지 좋은 그릇을 만들고 이루지 못한다.

택수곤(澤水困) 年運

위는 못 澤兌이요 아래는 물 水坎이다.

困(곤)은 고난을 상징한다. 삼년간 지옥살이 한다는 비운의 시기 모든 일은 절망 오해와 중상으로 매 맞는 현상 목숨을 걸고 분투하라.

지금 모든 것이 뜻대로 되지 않고 마음과 몸이 번민과 피로로 지쳐있다. 지금은 너무나 불운이다.

고요한 마음으로 은인 좌중하여 때를 기다리라.

마음을 바르게 가지고 전도의 희망을 믿으며 부단한 자신의 수양과 실력양성에 노력하라.

머지않아 호운으로 전환할 것이다.

뒤에는 귀인에게 도움을 받아 출세할 기회가 올 것이다.

항상 말을 조심하고 자신을 반성하라.

택일(擇日)

혼인이나 이사 길을 떠날 때 등에 좋은 날을 가려 정함.

택일(擇一)

여럿 중에서 하나만 고름.





'역학백과사전-ㅌ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학사전-ㅌ-6  (0) 2017.08.11
역학사전-ㅌ-5  (0) 2017.08.11
역학사전-ㅌ-3  (0) 2017.07.15
역학사전-ㅌ-2  (0) 2017.07.01
역학사전-ㅌ-1  (0) 2017.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