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학사전-ㅈ부-8
정유(丁酉)
六十甲子의 34번째.
① 年 : 장닭.
② 月 : 풍요의 절기.
③ 日 : 庚정재10 辛편재20, 신약은 금전의 집착. 신강이면 부축적.
④ 時 : 기다리던 희망의 열리는 기시.
정유신장(丁酉神將)
십이신장의 하나.
호는 일비장군이고 이름은 문경이라 한다.
닭 머리에 사람 몸에 16자 키의 신장인데 성정은 아주 고약하고 해서 안 될 일도 마구 해버리는데 술과 고기를 즐겨 먹고 땅에서는 잘 싸우나 물에서는 싸우지 않는다.
소휘궁에서 살며 6명의 귀신과 66.660명의 신병을 거느려 성루를 부수고 적진을 뺏으며 적장의 목을 베는 사령관으로 기를 뺏고 졸개들은 북쪽 적백 땅으로 쫓아버린다.
정유(丁酉) 일(日)
합리성(合理性)의 丁火가 편재(偏財)인 辛金을 본 형태이다.
편재(偏財)가 작용을 하여 공간(空間)을 통제하는 능력이 강력하게 작용하게 된다.
그리고 자신의 주관력으로 자신의 생각대로 추진하고 강력하게 통제를 하기 때문에 남에게 의견을 묻거나 타인의 의견을 수렴하는 태도는 나타나지 않는다.
자신의 생각대로 추진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남의 의견을 접수할 마음이 없기 때문에 조언을 구하지도 않는다. 왜냐면 조언을 받게 되면 버릴 수도 없고 접수를 할 수도 없기 때문에, 독재적(獨裁的)인 형태로 주관적(主觀的)인 해결을 하게 된다.
丁酉는 일에 대해서 통제(統制)하고 조작(操作)하는 것을 좋아한다.
丁酉는 이성적(理性的) 이며 객관적으로 많은 대상을 상대로 통제하고 관리하는 것을 좋아한다.
이러한 적성은 감독(監督)의 특성으로 작용되어 남에게 지시하고 명령하는 능력으로 발휘를 하게 된다.
丁酉의 관심(關心)은 현실적(現實的)인 세상을 지배하는 것이며 추상적(抽象的)이고 막연한 것에 대해서는 관심을 두지 않는다.
영적(靈的)인 이야기에 대해 믿지 않는 정도는 아니라도 자신과는 무관한 일이므로 간여하지 않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므로 흥미를 두지 않는다.
丁酉는 사회에서 적응하는 성분으로 직장생활은 쉽지 않으니 자신의 사업을 하는 것이 그래도 나은 것으로 본다.
구태여 직장생활을 하게 된다면 관리직(管理職)에 대해서 적성이 가능하기는 하지만 그래도 권하진 못할 구조이다.
정인(正印)
육친의 하나로 또한 인수라 함. 정인은 외형적 직관형이다.
1) 장점
모든 것을 합리적으로 받아들이는 마음이다. 어머니의 마음이다.
수동적으로 변화함에 적응하는 마음이다.
조용히 자연과 더불어 생활하고픈 마음이다.
자기 재주를 앞세워 명예나 부를 축적하지 않는 마음이다.
마음에서 울어나는 직감력을 중시 여겨 행동한다.
모두를 의심하지 않고 순수한 마음이다.
좋은 환경과 스승을 만나면 무한한 잠재력을 끌어내어 훌륭한 성직자가 될 수 있다.
순수하고 선량하며 꾸준히 없고 사항 판단이 신속하다.
2) 단점
누구나 잘 믿기 때문에 사기나 속임수에 당한다.
사교에 깊이 빠질 수 있다.
직관에 따라 행동하다가 판단의 착오가 있다.
많으면 방일해 지고 윗사람에게 의지하여 마마보이가 된다.
잠재력을 발휘하지 못하다.
어려움에 처하면 혼자 일어나기 힘들다.
생의 의욕이 없고 나태해 질 수 있다.
좋고 나쁨이 분명하지 못하다.
결단력이 부족하다.
의사표현을 스스로 하지 못하고 남에게 의존한다.
적극성이 부족하여 주어진 기회를 자주 놓친다.
3) 성격
온후 자애 인색 보수적 인정 무사안일 나태 온후 자애.
4) 육친
남자는 어머니(動) 인정. 여자는 아버지(不) 주택.
5) 직업
학자 문인 교육 문화사업 연구 언론 변호사 등.
6) 년운
부동산변동 신축 개축 진학 보증 금전문제 등.
정일(丁日)
일진의 천간에 丁자가 드는 날.
丁丑日. 丁卯日. 丁巳日. 丁未日. 丁酉日. 丁亥日
정임반야(丁壬半夜)
시주를 정하는 일상기시 하나.
정임반야(丁壬半夜) 경자시(庚子時)로 丁壬日에는 庚子時부터 시작한다.
정임지년(丁壬之年)
월주를 정하는 년상기월법 하나.
정임지년(丁壬之年) 임인두(壬寅頭) 丁壬年에는 壬寅月부터 시작한다.
정임합(丁壬合)
1) 간합(干合)이라 한다.
丁과 壬의 合化는 木이 된다.
丁壬 合化 木을 인수지합(仁壽之合)이라 한다.
2) 丁壬 合化 木.
감정에 치우치기 쉽고 남자는 여색을 밝히고 여자는 정숙하지 못하여 음란하며 남녀 공히 만혼을 한다.
나이 차가 많은 상대와 결혼하거나 한쪽이 결혼에 실패한 사람과 결혼한다.
丁日 壬合은 소심하고 질투심이 강하다.
壬日 丁合은 성질이 편굴하고 신의가 없다.
정재(正財)
육친의 하나로,
일간이 剋하는 五行으로 陰陽이 다른 것.
1) 장점
정재는 외형적 감각형이다.
처리가 빠르고 명확하다.
계산이 정확하고 분명하다.
현실의 적응이 빠르다.
경제에 정직하다.
재물 모으기에 성실하다.
금전에 신용이 있다.
경제능률이 탁월하다.
물질자체에 집착이 강하다.
현실주의자.
현실의 최우선을 물질에 두고 있는 마음이다.
2) 단점
현실적 물질이 지나쳐 탐욕이 많다.
재물에 눈이 어두워 인간미가 떨어진다.
현실에 치우치다보니 욕심이 도에 넘칠 수 있다.
자린고비수전노가 될 수 있다.
지나치면 거지가 된다.
지나치면 허약하다.
3) 성격
근면 성실 신용 저축 의구심 유산 봉급 인색 집념.
4) 육친
남자 정부인. 여자 부친 여자는 시모.
5) 직업
재정 금융 상공업 투기불가.
6) 년운
사업 매매 금전 처첩 여자 문서 등의 문제.
정재격(正財格)
격국의 하나로 日干이 月支를 극하고 음양이 다른 것,
정정(正定)
불교 팔정도의 하나.
「바른집중」 일심으로 몰두하여 박으로 분산되지 않는 것이다,
밖으로 새어나감이 없을 때 이르러 곧 해탈할 수 있으며 마음이 편할 수 있는 것이다.
곧 삼가는데서 평온함이 있고, 평온함에서 지혜가 피어난다.
정정진(正精進)
불교 팔정도의 하나.
「바른노력」 올바르게 노력하라는 뜻이다.
「끊임없이 노력하여 물러섬이 없이 마음을 닦는 것」.
첫째. 이미 존재하는 나쁜 것을 없애기 위해 노력한다.
둘째. 아직 존재하지 않는 악은 생기지 않도록 노력한다.
세째. 아직 존재하지 않은 선은 생기도록 노력한다.
넷째. 이미 존재하는 선은 더욱 더 증대하도록 노력한다.
정진(精進)
1) 불교 육바라밀의 하나.
비리야바라밀이라 한다.
부지런히 노력하여 게으름을 없애는 것이다.
부처님은 열반에 임했을 때, 태어난 것은 반드시 없어지느니 게으르지 말라 나는 부지런함으로 말미암아 정각에 이르렀니라 하셨다.
2) 정진(精進, virya)이란 흔들리지 않는 부동심(不動心)의 실천이며 불퇴전(不退轉)의 노력이다.
중생의 정진은 본질적으로 자신의 이익을 위한 것이지만, 보살의 정진은 이타적 정신에서 비롯된 것이다.
중생과 보살의 정진의 목표는 궁극적으로 깨달음을 얻는데 있다.
정축(丁丑)
六十甲子의 14번째.
① 年 : 붉은 소.
② 月 : 따뜻한 겨울.
③ 日 : 癸편관9 辛편재3 己식신18, 교육적 사업의. 복지업. 공직자.
④ 時 : 애정을 나누는 시기 같음
정축(丁丑) 일(日)
합리성(合理性)의 丁火가 식신(食神)인 己土와 편관(偏官)인 癸水, 편재(偏財)인 辛金을 만난 형태이다.
본기(本氣)를 살펴보게 되면 丙辰과 많이 닮아있는 형태가 된다.
식신(食神)을 만나서 합리적으로 연구를 하게 되는데, 여기에 편관(偏官)이 있어서 연구를 하면서도 조심하는 마음이 발생한다.
다시 편재(偏財)가 있는 것은 스스로 통제하고자 하는 마음으로 일어나게 되어 통제를 하면서도 두려움이 내재되어 조건에 따라서 반응이 달라지는 형태로 나타난다.
丁丑은 도덕(道德)을 가르치는 교사(敎師)와 같은 분위기가 된다.
丁火의 합리적인 성분과 식신(食神)의 정인(正印)적인 己土로 인해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그러므로 남들에게 올바르게 살아가는 기준을 제시하는 것에 매력을 느끼게 되고, 丁丑은 미래지향(未來指向)성도 강하다.
다만 과거에 대해서 생각을 하더라도, 편관(偏官)은 癸水가 되니 편관(傷官)성분의 작용으로 인해서 과거의 법칙에 대해 생각할 적에는 오락적인 마음이 나타나게 된다.
이것은 고인(古人)의 가르침을 희극화(戱劇化)해서 사람들에게 가르치는 형태가 된다.
과거의 법을 미래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데, 기본적으로 따스한 말이어야 하는 것은 丁火의 본질이고, 고전이어야 하는 것은 정관(正官)의 본질이며, 정신적인 것을 저장하는 것은 偏官이며, 癸水를 己土가 관리하는 형태가 되기도 한다. 그래서 기억력도 뛰어나지만 해석력도 뛰어나다고 판단을 한다.
丁丑은 주어진 일을 성실하게 수행하는 심리구조를 갖고 있다.
자신의 역할에 대해서 매우 적극적으로 노력을 하기 때문에 윗사람으로부터 좋은 평판을 받는다.
또한, 이성적이면서도 남을 아끼는 마음이 내재되어 있어서 남의 어려움을 내일처럼 생각하고 최선을 다 해서 보살피고자 한다.
이러한 것은 장래에 德으로 돌아올 것이다. 그리고 남들에게도 그렇게 하기를 권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작용이 더욱 커져서 많은 사람들에게 골고루 작용이 되기를 희망한다.
丁丑은 내성적이어서 대인관계에서 말을 먼저 하기보다는 실천을 먼저 한다.
다만 자극을 많이 받으면 반발력이 발생하는 것은 억압하면 폭발하는 열(熱)의 성분이기도 하다. 그래서 丁火는 조용할 때부터 조심하는 것이 좋으며 말이 없다고 해서 생각도 없는 것으로 간주하게 되면 나중에 가서야 후회를 하게 된다.
바탕이 내성적이기 때문에 선두에서 지휘를 하는 것은 적성에 맞지 않으므로 혁명가(革命家)와 같은 직책은 감당을 하기 어렵다.
다만 누군가 이끌어 주면서 역할을 배당하게 된다면 이때에는 최선을 다해서 자신의 역할에 충실하게 된다.
丁丑은 역사(歷史)나 文化에 관심을 많이 두고, 연구한 것을 발표하게 되는데, 이것은 己土가 食神이기 때문이다.
정축신장(丁丑神將)
십이신장의 하나.
호는 일혁장군이고 이름은 일허라 한다.
소머리에 사람 몸의 신장인데 성정은 향내를 풍기는 것을 좋아하고 키는 18자에 천한궁에서 살며 논밭에 물을 대는 수리권을 맡은 사령으로 물에서 싸우길 좋아하고 6명의 귀신부하와 88.880명의 신병을 거느려 적을 무찌른다.
적 청 두색의 주석제 방울을 가지고 있다.
정초일(定礎日)
집이나 건물을 지을 때 주추를 놓는데 좋은 날이다.
甲子 乙丑 丙寅 己巳 庚午 辛未 甲戌 乙亥 戊寅 己卯 辛巳 壬午 癸未
甲申 丁亥 戊子 己丑 庚寅 癸巳 乙未 丁酉 戊戌 己亥 庚子 壬寅 癸卯
丙午 戊申 己酉 壬子 癸丑 甲寅 乙卯 丙辰 丁巳 己未 庚申 辛酉 黃道
天德 月德
정토
서쪽으로 10만억 불국토를 지나 있다는 부처님이 살고 있는 청정한 국토로, 모든 번뇌가 소멸되어 괴로움이 없고 지극한 즐거움만 있다고 함.
송대 이후 연명연수 스님은 마음 안에 정토가 있다는 유심정토설 주장했다.
정토신령
무속용어의 하나.
나라에서 제를 지내는 국토신령을 말하며, 정위토신으로 부르고, 여 신령은 후토신령이라 한다.
정통풍수지리학회(사단법인)
http://www.poongsoojiri.co.kr
1. 목적
법인은 우리의 전통학문인 풍수지리를 연구함으로써 풍수지리를 보다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학문적 유산으로 계승 발전시켜 많은 사람들이 자연지리현상을 생활 속에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보급하여 우리겨레와 인류의 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2.사업
법인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의 사업을 행한다.
1) 풍수지리학에 근거한 국토의 균형발전을 위한 연구사업
2) 풍수지리의 학문적 연구를 통하여 풍수지리의 현대화 및 대중화사업
3) 풍수지리 특강 및 세미나 개최를 통한 교육사업
4) 각종 학술회의와 국제교류의 개최
5) 풍수지리사상에 근거한 민족정기회복을 위한 실천활동
6) 풍수유적답사를 통한 역사관광자료의 개발
7) 회원의 공동복리증진 및 친목도모를 위한 사업
3. 회원
법인의 회원은 준회원, 정회원, 연구회원, 후원회원으로 구분한다.
1) 준회원은 본 법인의 취지에 찬동하는 자로서 소정의 입회원서를 제출하고 가입한다.
2) 정회원은 준회원으로서 정기답사 3회 이상 참석한 자 중에서 희망자에 한해 운영위원회의 승인을 받고 소정의 입회비를 납부한 자로 한다.
3) 연구회원은 관련학문을 깊이 연구하는 정회원 중에서 이사회의 동의를 얻어 이사장이 임명한다.
4) 후원회원은 법인의 취지에 찬동하고 일정액 이상의 후원회비를 납부하는 개인 및 단체로서 본인의 신청을 받아 이사장이 임명한다.
4. 임원(2012년)
1) 이사회
박정해 정경연 강인철 김대우 윤청 윤종윤 이규홍 김윤중 이동파 이종태 강정희.
2) 임원
이사장 박정해. 명예이사장 정경연. 명예회장 윤청. 회장 강인철.
수석부회장 이종태 신지윤 강수창. 부회장 이종채 김대인 강정희 김동수 정선용.
정해(丁亥)
六十甲子의 24번째.
① 年 : 황금 돼지
② 月 : 다뜻한 겨울.
③ 日 : 戊상관7 甲인수7 壬정관 합인성16, 불안정, 갈등, 긴장초조.
④ 時 : 소등하는 시기와 같음.
정해신장(丁亥神將)
십이신장의 하나.
호는 일도장군이며 이름은 정경이라 한다.
돼지머리에 사람 몸에 14자의 키를 가진 신장이다.
성정은 쌀밥과 술을 좋아하고 마땅한 일엔 너그럽게 청을 들어주되 옳지 못하면 급히 뿌리친다.
진천황군에서 사는데 그를 따르는 자는 기쁨이 따르게 하고 거역하는 자는 죽여 없앤다.
6명의 귀신과 44.440명의 신병을 빨강과 노랑의 방울로 지휘하여 다스린다.
정해(丁亥) 일(日)
합리성(合理性)의 丁火가 정관(正官)인 壬水와 정인(正印)인 甲木을 만난 형태이다.
기본적으로 정관이 정관을 만났기 때문에 매우 원칙적이고 합리적인 성향이 무척강한 형태로 심리가 작용하게 된다.
여기에 甲木의 正印이 있으므로 직관력(直觀力)도 포함이 된다.
합리적인 성분에 직관력까지 포함이 되어 있어서 눈치도 빠르다. 이러한 성분은 상당히 보수적(保守的)인 경향을 띠게 되므로 미래지향적인 면은 약하고 과거의 기억에 비중을 두는 형태이다.
이러한 성분의 작용으로 사회적(社會的)으로는 교육자(敎育者)나 공무원(公務員)의 역할이 가장 잘 어울리는 것으로 보게 되며 매우 안정적인 방향으로 진행을 하는 형태가 된다. 丁亥는 객관적(客觀的)인 면이 무척 강하고 여기에 대해서 다른 망념(妄念)이 없기 때문에 순수하게 있는 그대로를 준수하게 된다. 그러므로 어떤 안내자(案內者)나 통제(統制)자를 만나느냐에 따라서 주어진 능력을 가동하는 수준이 달라진다.
그야말로 훌륭한 주인을 만나게 되면 크게 성공하고 공명(功名)을 얻을 수가 있지만 변변치 못한 사람을 만나게 되더라도 감히 배반을 하고 떠나기가 어려워서 희망이 없는 줄 알면서도 그대로 충성을 하게 되므로 성공하기가 어렵다.
더구나 흉악한 주인을 섬기게 된다면 범죄와 연루되어서 희망이 없는 나날을 보낼 수도 있으므로, 丁亥는 그야말로 주인을 만날 나름이라고 해석을 한다.
丁亥는 이성적(理性的)으로 상황을 수용하며 환경의 변화에도 순응(順應)을 잘 하는데, 혹시라도 자신이 뭔가 잘못해서 실수라도 하지 않을까 하여 근심이 많고 이러한 것들을 편안하게 생각하지 못하므로 늘 머릿속에다 담아 두는 형태이기도 하다.
그리고 주변으로부터 피해(被害)를 당하기도 쉬운데, 이것은 상황의 판단을 비판적으로 하기보다는 수용적으로 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부작용이라고 본다.
丁亥는 스스로 능동적(能動的)으로 움직이는 것은 잘 하지 못하고, 주변에서 움직여 줘야만 자신도 따라서 움직이게 된다.
능동적으로 움직이기에는 두려움이 많아서 감히 시도조차 하지 못한다.
또한 丁亥는 사람들의 단체적인 일에 관심을 많이 두고 흥미도 있으며 크게 공평(公平)한 심성을 소유하고 있기 때문에 감히 자신의 이익을 도모하지 못한다.
丁亥는 논리적인 형태에 마음이 부합되고 그러한 것은 공공의 질서를 중시하는 것에도 확장이 되어 예의(禮儀)도 밝으며, 일상적인 규칙에 대해서도 당연히 준수해야 한다고 생각을 하기 때문에 감히 위반을 하지 못한다.
그리고 다수의 사람들이 결정을 한 것에 대해서는 불만 없이 준수를 해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사사로이 자신의 뜻에 맞지 않는다고 해서 불평하거나 거부하지 않는다.
정혈법(定穴法)
혈(穴)이란, 풍수지리에서 생기(生氣)가 집중하는 지점이다.
혈(穴)과 경혈(經穴)은 서로 대응될 수 있는데, 주자(朱子)는 [산릉의장 山陵議 狀]에서, 이른바 정혈의 법이란 침구(針灸)에 비유할 수 있는 것으로, 스스로 일정한 혈의 위치를 가지는 것이기 때문에 추호의 차이도 있어서는 안 된다.고 지적하였다.
경혈은 사람의 경락에 존재하는 공혈(孔穴)을 뜻하며, 생리적․병리적 반응이 현저하게 나타나는 곳이다.
침구는 이 경혈의 부위에 실시하게 되므로 이 위치를 잘 알아 장부(臟腑)의 병을 치료한다.
풍수지리에서도 혈(穴)을 제대로 잡아야 생기의 조응을 받게 되며, 진혈(眞穴)을 잡지 못하였을 경우, 생룡(生龍)은 사룡(死龍)이 되며, 길국(吉局)은 흉국(凶局)이 되므로 혈법(穴法)을 정하기가 어렵다.
정혈법(定穴法)
풍수(風水) 혈세(穴勢)의 하나.
정혈법(定穴法)은 정확한 혈처(穴處)를 정(定)하는 법(法)을 말한다.
양택(陽宅)의 경우는 주(主) 건물(建物)이 들어설 자리다.
음택(陰宅)의 경우는 시신(屍身)을 매장(埋葬)할 광을 파는 자리다.
심혈법(尋穴法)은 멀리서 바라보고 혈(穴)이 있을만한 위치(位置)를 찾는 이론(理論)으로 심혈(尋穴)을 해서 그곳을 찾아들어 갔으면 이제 생기(生氣)가 뭉쳐있는 정확(正確)한 혈(穴)을 찾아야 한다.
입수도두(入首倒頭), 선익(蟬翼), 순전(脣氈), 혈운(穴暈) 등이 분명하고 혈토(穴土)가 나오는 혈(穴)을 정확(正確)하게 정(定)하지 않으면 안 된다.
용진처(龍盡處)의 혈지(穴地)를 찾았다 할지라도 혈토(穴土)가 나오는 혈심(穴深)이 아니면 모든 것이 허사가 되고 만다.
실제로 모든 혈(穴)의 결지(結地) 조건이 갖추어진 곳에서도 불과 몇 자 사이로 혈심(穴深)에서 어긋나 오점(誤點)한 경우가 많이 있다.
혈(穴)은 사방(四方)이 여덟자 정도 밖에 되지 않는 작은 땅이다.
태조산(太祖山)을 출발(出發)하여 수백 수십리를 행룡(行龍)한 용(龍)이라도 생기(生氣)가 뭉쳐있는 혈(穴)은 불과 지름이 3m미만인 원(圓)에 불과하다.
옛 사람들은, 삼년심룡십년점혈(三年尋龍十年點穴)이라고 하였다.
정혈법(定穴法)은 주변의 산세(山勢)와 수세(水勢)를 살펴 점혈(點穴)의 정확(正確)한 위치(位置)를 정(定)하는 방법론이다.
1) 첫째, 주룡(主龍)이 기세(氣勢)있게 변화하면서 살기를 모두 털어 낸 곳에서만 가능하다.
지기가 순수한 생기로만 가득하다는 증거다.
2) 두 번째, 생기(生氣)가 멈추고 혈판(穴坂)에 가두어지려면 물이 유정하게 감싸주고 있어야 한다.
3) 세 번째, 혈(穴)의 생기(生氣)가 바람에 흩어지지 않으려면 청룡백호(靑龍白虎)를 비롯한 주변 山들이 이중 삼중으로 감싸고 있어야 한다.
4) 네 번째, 혈(穴) 앞의 명당(明堂)은 평탄(平坦)하고 원만해서 보국(保局)이 안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 같은 조건을 갖춘 곳을 태(胎) 정(正) 순(順) 강(强) 고(高) 저(低)라 한다.
1. 태(胎)
外形的으로 땅이 두툼하게 살이 찐 듯 풍만한 곳이다.
마치 임산부가 어린아이를 밴 모습으로 이는 생기가 충만하다는 뜻이다.
좋은 생기만 뭉쳐있으므로 땅이 부드럽고 감촉이 좋다.
이를 풍비원만(豊肥圓滿)하고 견고유연(堅固柔軟)해야 한다. 라고 표현했다.
2. 정(正)
땅이 반듯한 곳에서 혈(穴)을 맺는다.
혈판(穴坂)이 기울거나 거꾸러지면 생기가 안정되지 못하므로 혈을 맺을 수 없다.
뿐만 아니라 주변 산수(山水)와 균형이 맞는 곳에서 혈(穴)은 있다.
보국(保局)이 균형이 이루어지지 않아 불안정(不安定)한 곳에서는 穴을 맺지 못한다.
단정한 땅에서 혈(穴)을 찾아야 한다.
3. 순(順)
주변 산수(山水) 모두가 순하게 감싸 안아주는 땅에 혈(穴)은 있다.
산과 물은 보는 위치(位置)에 따라 각기 다르게 보인다.
穴에서 보면 주변 山들이 반듯하게 감싸주는 것처럼 보이지만, 여기서 불과 몇m만 떨어지면 무정하게 보일 수도 있다.
혈(穴)은 주변의 용혈사수(龍穴砂水)가 무정하게 배반(背反)하지 않고 유정하게 감싸주는 곳에 위치한다. 따라서 주변 산(山)들이 유정하게 보이는 곳에서 혈(穴)을 찾아야 한다.
4. 강(强)
혈(穴)이 있는 곳은 생기(生氣)가 견고(堅固)하게 뭉쳐 있으므로 땅이 단단하다.
혈지(穴地)의 흙들이 산만하게 흩어지지 않고 하나의 덩어리로 되어 있다.
완전히 정제된 흙들은 작은 입자로 되어 있다.
생기(生氣)가 강(强)하게 뭉쳐있지 않으면 이들은 모두 흩어지고 말 것이다.
기(氣)가 한곳에 뭉쳐있는 혈(穴)의 흙은 그 결속력은 무척 강해 단단하다. 그러나 좋은 생기가 가득하므로 부드럽다.
때문에 단단하면서도 부드럽게 감촉이 좋은 땅에서 혈(穴)을 찾아야 한다.
5. 고(高)
혈(穴)은 수(水)의 침범을 받는 곳에서는 맺지 않는다.
물이 침범할 수 없는 적당한 높이에 혈(穴)을 맺는다. 따라서 너무 얕은 땅은 피하고 주변 산세(山勢)와 조화되는 적당한 높이의 땅에서 혈(穴)을 찾아야 한다.
6. 저(低)
혈(穴)은 풍(風)의 침해를 받는 곳에서는 맺지 않는다.
생기(生氣)가 흩어지기 때문이다.
바람을 피할 수 있는 주변 산(山)보다 적당히 낮은 땅에 혈(穴)을 맺는다.
산은 높고 골짜기가 깊은 산고곡심(山高谷深)곳에서는 혈(穴)을 찾지 않는다.
또 홀로 돌출(突出)되어 바람을 많이 받는 돌로취풍(突露吹風)한 곳도 피해야 한다.
장풍(藏風)이 잘되도록 적당히 낮은 안정된 땅에서 穴을 찾아야 한다.
이와 같은 조건이 갖추어진 혈지(穴地)에서 혈(穴)을 찾아 재혈(裁穴)하는 방법(方法)을 정혈법(定穴法)이라 한다.
정혈(精血)하는 방법(方法)에는 천심십도법(天心十道法) 요감법(饒感法) 향배법(向背法) 장산식수법(張山食水法) 인혈법(人穴法) 지장법(指掌法) 금수법(禽獸法) 취길피흉법(取吉避凶法), 사살법(四殺法)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