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공부

종교의 구성

유프랭크지안 2017. 5. 24. 17:16

종교의 구성

1. 종교(宗敎)

1)  신이나 절대자를 인정하여 일정한 양식아래 그것을 믿고 숭배하고 받듦으로써 마음의 평안과 행복을 얻고자 하는 정신 문화의 한 체계이다.

종교의 뜻을 풀이하자면, 으뜸 종()가르칠 교()를 사용한다.

세상의 으뜸 가르침이라는 뜻이다.

2)  종교(宗敎)는 특정한 믿음을 공유하는 이들로 이루어진 신앙공동체와 그들이 가진 신앙 체계를 말한다.

종교인들은 주로 신을 비롯한 초월적인 대상의 존재 또는 세계에 대한 궁극의 진실,  사람은 어떠한 도덕을 지키며 살아가야 하는지에 대해 각자의 믿음을 갖고 있다.

3)  종교와 관련하여 그 종교에 귀의하여 우러나오는 경건한 마음은 종교심(宗敎心) 신심(信心) 신앙(信仰) 불심(佛心)이라 하며, 종교적 신앙에 따르는 마음가짐은 종교의식(宗敎意識)이라 한다.

기독교에서는 전례 또는 예전이라고 부르는 종교 의례(宗敎儀禮)는 종교에서 신앙의 대상을 예배하기 위한 여러 예식(Ceremonial: 의식에서의 성직자와 청중의 상징적인 행동과 시각적청각적인 상징순서(Order: 고정된 순서) 의식(Ritual: 말이나 노래같은 음성을 표현되는 문서화된 의식과 기도문)을 가리키며 종교의식(宗敎儀式)이라고도 한다.

4)  세계의 종교

인류의 종교적 발전은 평행하게 시대를 따라 흘러왔다.

아직도 고등문화 속에 남아 있는 자연민족의 신앙은 그 후에 일어난 보다 높은 종교의 막연한 근저가 되었다.

마적 외포(魔的畏怖),  무격적(巫覡的)인 신빙(神憑),  마적 열광과 황홀한 춤과 원시적 신비, 그리고 주술적이고 신성한 행사 등의 감정을 비롯하여 거기에서 일어나는 정령신앙(精靈信仰)이나 죽은 사람에 대한 의례(儀禮),  영혼 숭배와 토테미즘(totemism)  요술사와 주술사복술 점술청정(淸淨)과 부정(不淨),  유치한 행위나 신성한 행위원시적 금욕공희(供犧)의 신비주물숭배(呪物崇拜) 등의 표상, 그리고 자연주술과 모든 자연의 주적 영화(呪的靈化) 등의 표상은 종교 이전의 것들이다.

이런 것들로부터 서서히 나타난 것에는 숭고한 신성신들의 숭배제사제도의례와 신전과 제사신성한 집단과 풍습 등의 표상이 있고이런 표상에 속한 것으로서 신화우주에 관한 계도적(系圖的)인 의례의 우화(寓話),  신화적인 원시적 사변(思辨) 등이 보여주는 넓은 상상의 활동세계가 전개된다.

이런 모든 요소는 서로 매우 다르나 전혀 개별적으로 연락 없이 집합한 것이 아니라 언제나 서로 관련하고 집결하여 하나의 그물을 이룩하고 있기도 하여어떤 기후나 토지에도 놀랄 만큼 서로 비슷한 모습을 보인다.

이런 유사성이 참으로 그 근본에는 통일적이고 합일적인 인간심리 일반의 기능이 있음을 쉽게 이해하게 한다.

자연적 신앙의 뒤를 이어 선종교(先宗敎)라고 부를 수 있는 보다 높은 것으로의 전이 과정이 있다.

이 전이는 서양 및 그것을 규정하는 그리스 문화에 나타났다.

기원전 800년부터 500년에 이르는 중요한 기간에 신학이 신화학(神話學)으로부터, 그리고 로고스(logos)가 신화(mythos)로부터 해방되었다.

그리고 신들에 관한 지식을 뜻했던 신학은 점차로 신에 관한 지식이 되는 동시에 형이상학의 최고점이 되기도 했다.

신앙은 신을 마적 외포의 영역으로부터 해방시켜 물리학과 신비사상의 요소를 결합시킨 우주론이 되었다.

예컨대 피타고라스, 헤라클레이토스크세노파네스,  아낙사고라스 등의 물리학은 모두 우주론적인 신학이었다.

이 신학은 점점 신화적인 요소를 극복 내지 배제하고 나아가서는 신들의 세계를 신적인 것의 이념(Theion)에 종합하려고 했다.

이것이 바로 절대자와 신성(神性)의 이념이 되었다.

따라서 신들은 그리스 비극작가(悲劇作家)들에게는 세계와 습관을 지배하는 통일적인 힘이었으며본래 다신교적(多神敎的)인 생각에서만 의의를 갖고 있던 신이란 표현은 절대적 신성이란 이념을 가리키게 되었다.

이것과 동시대적인 평행은 극동의 문화인 속에 있다.

피타고라스가 교단(敎團)을 창시한 것이 기원전 약 530년이었는데중국의 공자는 약 470년에 죽었고 공자와 동시대의 선배에 노자(老子)가 있었다.

중국의 고대사 시대는 이들보다 이전에 3세기가 지나고 있었다.

동양의 발전이 서양의 그것과 다른 독자성과 개별성을 보여주나 그 차이는 동일한 종속(種屬) 내의 차이에 지나지 않는다. 중국에서도 얕은 신화적 단계의 극복이나 종교의 확연한 도덕화나 절대자에로의 정진(精進)이 있었다.

공자가 합리주의로 흐른 데 비해서 노자는 '도덕'으로 기울어졌다.

서양 그리스의 아리스토텔레스의 합리주의적 유신론이 공자의 이론에 필적하고 헤라클레이토스의 로고스가 노자의 도() 사상과 맞먹는다.

노자나 공자는 다 헤라클레이토스나 플라톤에서 인정되는 내적 신비의 빛을 말했다.

이스라엘도 이 세기에 여호와의 자연신화를 깨고 유일신을 찾았다.

엘리야(Elijah)로부터 제이 이사야(Isaiah)와 에스겔(Ezekiel)에 이르는 동안 종족적 종교로부터 개인적인 주관적 종교에로의 전이(轉移)가 있었다.

또한 페르시아 조로아스터(zoroaster)의 종교개혁 준비와 그 성과는 기원전 약 800년부터 큐로스왕 시대에 이르는 기간에 악마신앙과 다신교의 안개를 걷고 예언자적 신신앙(神信仰)과 도덕적 상반의 별견(瞥見)과 역사의 조만간의 종말에 관한 순수한 종교가 출현했다.

이 시대에 평행해서 고대인도는 혼돈된 공희(供犧)에서 바루나(Varuna) 신앙을 성립시켰다.

더욱이 우파니샤드 경전의 내용은 그리스 신학의 그것과 다름이 없었다.

불타(佛陀) 시대에 일어난일체의 잡다(雜多)는 감각의 가상(假象)이며 무지(無知)에 지나지 않지만진지(眞智)는 운동변화성질(性質) 없이 시공(時空) 이외에 '2자가 없는 유일자(唯一者)' 위에 나타난다는 사변(思辨)은 크세노파네스나 파르메니데스나 제논의 그것과 일치한다.

이것들은 모두 종교적 직관에 의한 신비적 몰아(神秘的沒我)의 특유한 체험을 말하는 것이다.

인도의 바라문(婆羅門) 세계에서 그 사변(思辨)과 함께 실천적 종교생활이 발전하였다.

높은 관념의 발전보다 높은 종교에 한걸음 다가섰다.

구제(救濟)해방(解放)해탈(解脫)의 깊은 종교적 삼매(三昧)와 금욕적 실천과 생활태도에서의 세간(世間)과 자연적 존재양식을 멸시하는 경향이 생겼다.  

2.  종교(宗敎)의 목적(目的)

지악수선(止惡修善) : 악한자를 착하게 하고

전미개오(轉迷開悟) : 어리석은 자를 지혜롭게 하며

혁범성승(革凡成聖) : 범부는 성현되게 하고

이고득락(離苦得樂) : 고통이 있는 자로 하여금 즐거움을 얻게 하는 것이다. 

3. 종교(宗敎)의 분류

유신교와 무신교가 있다.

아브라함 계통의 종교 : 기독교(그리스도교, Christianity) 유대교(Judaism) 이슬람교(Islarm)

인도의 종교 : 힌두교(Hinduism)  불교. 시크교. 자이니교

동아시아 종교 : 샤머니즘. 유교. 도교. 신토(신도). 천도교. 까오다이교. 일관도

이란의 종교 : 이란에서 비롯한 것으로  배화교. 야즈다니즘.

아프리카계 아메리카의 종교.

부족 종교(Tribal Religion).

신흥 종교. 

4. 유신교란

창조의 신을 믿는 즉 신이 세계와 인생의 운명을 좌우한다고 신앙하는 교이다. 

5. 무신교란

창조의 신을 부정하고 어떤 원리나 법칙을 따라 성주괴공(成住壞空)한다고 믿는 종교이다. 

6. 유신교

유일신을 믿는 일신교(一神敎:기독교 회교)

많은 신을 믿는 다신교(多神敎:힌두교)

온갖 것을다 신으로 믿는 범신교(汎神敎)및 교차신교(交叉神敎)가 있다. 

7. 무신교

불교 유교 도교가 있다.

불교 : 종교(宗敎)

유교 : 인륜교(人倫敎)

도교 : 신선교(神仙敎)

이들은 서로 배타하지 않고 융화함으로 유불선 삼도라고 한다. 

8. 헌법 사항

우리나라 헌법 제201.2항에 다음과 같이 명시되어 있다.

모든 국민은 종교의 자유를 가진다.

국교는 인정되지 않으며 종교와 정치는 분류된다.  

9. 종교를 믿으면 얻는 이익

사랑 믿음 자비 소망이 생기며 자유와 해탈의 무애한 힘이 생긴다. 

10. 종교 구성의 형태 요소

교주, 교리, 교단으로 형성되어 있다. 

11. 불교

부처님의 가르침을 믿고 실천하는 종교이다.

첫째 : 인과응보(因果應報)를 믿고

둘째 : 인연의 소중함을 깨닫고

셋째 : 인과 연이 모두 한 마음에서 지어진 것을 알고

넷째 : 언제나 가장 훌륭한 일을 하여 고통받는 중생을 구제하는 것이다. 

12. 불교의 구성

교주() : 석가모니 부처님

교리() : ..논의 삼장

교단() : 비구 비구니의 승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불교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도와 수행  (0) 2017.05.26
예절과 공양  (0) 2017.05.25
사원의 구조  (0) 2017.05.24
부처님의 일대기  (0) 2017.05.24
불교 성물 부위 명칭  (0) 2017.0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