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원의 구조
1. 일주문
사찰 입구의 첫 문으로 건축 모습이 양쪽에 기둥이 하나씩으로 되어 붙여진 이름으로 현판에는 그 사찰이 위치한 산의 이름과 사찰의 이름이 표시되어 있다.
예 「가야산해인사」「영취산통도사」, 혹은 「불이문」이라 한다.
불교의 일심 즉 모든 진리는 하나로 돌아가는 것이며 모든 정신적 물질적 존재는 일심의 작용에 의하여 나타난다는 불교의 근본 진리를 상징한다 하여 일주문이라 하고 또는 세계와 인간, 정신과 물질, 부처와 중생, 너와 나 등 우주에 존재하는 모든 것이 일심동체로써 두 개로 분리된 존재가 아니라 하여 불이문 이라 한다.
세 속의 온갖 시비와 대립의 번뇌를 버리고 일주문에 들어서면 청정 자유 화합의 성스러운 사찰의 경내가 시작된다.
2. 천왕문
사천왕문이라 하며 사천왕문은 삼계(욕계 색계 무색계)에 속해 있는 욕계의 육욕천 중 제일천인 사왕천의 지배자로 수미의 4주를 수호하는 신으로 호세천이라하며 수미산 중터 4층급을 주처로하는 네분의 신상을 모신 곳이다.
1) 동 : 지국천왕으로 국토를 보호하고 선한 이에게 복을 악한 자에게 벌을 주며 청색을 띠고 손에는 비파를 들고 있다.
2) 남 : 증장천왕으로 사람의 선근을 증장시키고 만물을 소생시키는 덕을 베풀며 적색을 띠고 손에는 보검을 들고 있다.
3) 서 : 광목천왕으로 천안으로 세상을 관찰하며 옹호하고 악인에게 고통을 주어 구도심을 일으키며 백색을 띠고 손에는 용과 여의주를 들고 있다.
4) 북 : 다문천왕: 사람들의 복덕과 명성을 사방에 선양하고 격려하며 어둠 속을 방황하는 중생을 구제하며 흑색을 띠고 손에는 탑을 들고 있다.
동 : 지극천왕 남 : 증장천왕
서 : 광목천왕 북 : 다문천왕
3. 금강문
왼쪽에는 사자를 탄 지혜의 상징자이신 문수보살과 밀적 금강신을 모셨고, 오른쪽에는 코끼리를 탄 실천행의 상징자이신 보현보살과 나라연 금강신이 모셔 있다.
금강신은 부처님의 신비한 삼세 행적을 마음깊이 새겨 간직하고 손에 금강저를 든 모습으로 용맹과 위엄을 나타내어 불법을 수호하는 신으로서 금강역사 혹은 금강신장이라고 한다.
전신을 벗은 채 허리에 옷을 걸치고 용맹스러운 모습을 하고 있다.
4. 탑
탑은 범어로 스투파 음역인 탑파의 약칭으로 방분 원총이라 의역한다.
부처님과 스님들의 사리, 유골, 유품을 안치한다.
탑은 신앙의 대상으로서 부처님과 스님들의 덕을 기리는 성스러운 분묘 혹은 공덕을 쌓는 청정 한곳을 뜻한다.
석가모니 부처님이 열반 후 다비를 하여 나온 사리를 여덟 나라에 나누어 탑을 세우고 생전의 부처님처럼 모셨는데 이것을 근본 팔탑이라 한다.
100년 후 인도를 통일하고 제국을 세운 마우리야 왕조의 아쇼카왕이 이 팔탑을 해체하여 사리를 다시 8만4천으로 나누어 전국에 8만4천 개의 사리탑을 세웠다.
불탑은 사용된 자료에 따라 목탑, 석탑, 전탑, 모조석탑, 금동탑, 청동탑, 철 탑 등으로 구분한다.
5. 사찰의 전(殿) 각(閣)
1) 전(殿) : 부처님이나 보살님, 아라한이나 조사님을 모신 곳.
대웅전, 대웅보전. 영산전. 팔상전. 대적광전(비로전 대광명전) . 극락보전(아미타전). 약사전. 용화전(미륵전). 천불전(불조전)
원통전(관음전). 명부전(지장전). 은진전(나한전). 조사전(국사전)
2) 각(閣) : 일명 토속 신이나 불교에서 포응한 신을 모신 곳.
산신각. 삼성각. 칠성각. 용왕각 등
6. 사찰의 전(殿)의 종류
본존불 : 석가모니불
협시불 : 가섭존자 - 아난존자 / 문수보살 - 보현보살 / 아미타불 - 약사여래불
불탱화 : 영산회상도 ~ 삼여래탱화
본존불 : 비로자나불
협시불 : 노사나불 - 석가모니불 / 문수보살 - 보현보살
불탱화 : 삼신탱화 - 화엄탱화
본존불 : 석가모니불
협시불 : 가섭 - 아난 - 16나한
불탱화 : 석가삼존 탱화 - 16나한도
본존불 : 아미타불
협시불 : 관세음보살 - 대세지보살 / 관세음보살 - 지장보살
불탱화 : 극락회상도 / 아미타탱화 / 극락구품도
본존불 : 약사여래불
협시불 : 약왕보살 / 약상보살
불탱화 : 약사유리광회상도
본존불 : 미륵불 / 미륵보살
협시불 : 일광보살 / 월광보살
불탱화 : 용화회상도 / 미륵탱화
본존불 : 관세음보살
협시불 : 삼존탱화
불탱화 : 십일면 천수천안 탱화
본존불 : 지장보살
협시불 : 도명존자 - 무독귀왕
불탱화 : 십왕도탱화
7. 사찰 불구
속가의 사물놀이에서의 사물은 북 칭 꽹과리 장구를 말한다.
불교에서의 사물은 「범종 법고 목어 운판」의 네 가지를 가리켜 사물이라 한다.
8. 불교의 사물
1) 범종 : 범종은 지옥 중생들의 고통을 소멸하고 일체중생의 깨침을 위해서 아침저녁 예불시에 치며 불의의 사고로 대중을 모을 때나 큰스님의 열반을 알릴 때도 범종을 친다.
아침 : 28번을 친다.
이 숫자는 부처님의 1대 제자 마하가섭으로부터 중원초조 달마대사까지 28대가 되어 나온 수라고 본다.
혹은 육계6천 색계18천 무색계4천의 수를 따져 나온 수라고 하는데 일리는 있으나 이는 타당성이 없다.
저녁 : 33번을 친다. 이 숫자는 33천의 도리천을 의미하기도하고, 천상의 28계와 지옥 아귀 축생 아수라 인간을 합하여 33의 수라고도 한다.
2) 법고 : 가죽을 덮어쓴 축생의 고통을 쉬게 하는 법구이다.
부처님의 설법이 북소리 같이 삼천대천 세계에 널리 퍼지라는 염원이 깃들어 있다.
3) 목어 : 물에 사는 중생들과 수중의 고혼을 위하는 법구이다.
나무로 고기모양을 깎아 속을 파고 조석예불 때 친다.
물고기가 눈을 감는 일이 없으므로 우리 중생들이 물고기를 닮아 부지런히 정진하라는 경책의 의미가 깊다.
이 목어가 줄여진 것이 목탁이다.
목탁을 자세히 보면 고기 모양을 하고 있다.
4) 운판 : 허공계에 사는 중생과 날개 달린 짐승의 해달을 염원하여 치는 법구 이다.
청동으로 구름처럼 주조한 법구로 조석 예불시에 치며 또는 공양 시간을 알릴 때도 사용한다.
9. 불교의 사물 외에 사용되는 불구
사물 외에 법당에서 사용하는 일체의 기구와 그릇을 불구라고 하는데 목탁 요령 죽비 향로 촛대 다기 등이 있다.
1) 목탁 : 목어의 축소라고 할 수 있 의며 깨우침의 의미가 있으며 신호용으로 즉 대중을 모으거나 염불 독경 의식의 박자에 쓰인다.
2) 요령 : 소형 종이라 할 수 있으며 본래는 밀교의 법구였는데 차츰 널리 퍼져 불공 제사 및 제례의식에 사용되고 있으며 남방 불교에서는 찾아 볼 수 없고 북방 불교에서만 쓰이고 있다.
요령도 목탁처럼 박자 운율을 맞추는 법구이다.
요령을 잡고 염불하는 스님을 법주스님이라 하고, 목탁을 잡고 염불하는 스님을 바라지 스님이라 한다.
법주스님이 의식의 리더이다.
3) 죽비 : 통나무의 가운데를 갈라 만든 법구로서 좌선 공양 참회 시에 행동 거지를 알리는 신호를 할 때 사용되므로 선방에서 주로 입선 방선을 알리고 경책에도 사용한다.
주로 입승이 죽비를 잡는데 입승스 님은 강원이나 선방에서 규율을 잡고 대중을 통솔하는 직책이다.
4) 촛대 : 초를 올리는 불구로 초는 자기 몸을 불태워 어둠을 밝게 함으로 희생과 지헤의 언약의 상징이다.
5) 향로 : 향을 올리는 불구로 향은 모든 악취를 소멸하게 하고 심신을 쇄락케 한다하여 몸과 마음을 청정하게 하는 계율을 상징한다.
6) 다기 : 맑은 청수를 올리는 그릇이다.
북방불교(중국 한국 일본)에서만 사용하는 불구로서 차는 모든 번뇌의 열을 시키고 심신을 편안케하여 몸과 마음을 안정케 하는 청정과 선정을 상징하기도 한다.
중국에는 물이 좋지 않아 차를 달여 올려서 차 그릇이라 하여 다기라 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샘물이 생수로 사용하기 때문에 물을 그대로 올려도 좋으나 수돗물을 사용할 시에는 차를 달여 올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7) 과기 : 과일이나 과자를 담아서 올리는 그릇을 말한다.
8) 발우 : 발다라의 음역을 발우, 의역하여 응량기라 한다.
부처님과 제자들이 사용하던 공양그릇으로서 모든 수행자들이 사용하게 되었다.
처음에는 걸식과 공양시에 사용하는 발우가 한 개였는데 중국과 한국으로 전해 오면서 네 개가되었다.
발우에는 쇠로 부어 만든 철발우, 옹기로 만든 와발우, 나무를 파서 만든 목발우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