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학사전-ㅅ부-28
시다림(尸茶林)
1) 사람이 죽어 다비하기까지 정중한 의식을 하게 되는데 이런 의식을 시다림이라고 한다.
이 시다림이란 말은 부처님 당시 사람이 죽으면 사다림이라는 숲에 버리는 관습이 있었는데 석존께서 그 시다림에 가서 죽은 사람들을 위해 무상법문을 한 데서 비롯되었다.
2) 원래는 왕사성 북문 밖의 숲으로 시체를 버리던 곳.
우리나라에선 죽은 자를 위해 장사 지내기 전에 설법하고 염불하는 의식.
죽은 이를 위해 장례 전에서 행하는 의식이다.
우리나라에서는 망자를 위하여 설법하는 것을 말한다.
사람이 죽으면 영단과 오방번을 설치한 뒤 오방례를 올린다. 그리고 무상계를 일러주고 입관하기 전에 삭발, 목욕의식을 행해준다.
금강경, 반야심경 등을 독경하고 아미타불이나 지장보살을 염송한다.
다림은 죽은 사람을 위해서 설법하거나 염불하는 간단한 불교의식이다.
원래 시다림은 범어 시카바나에서 유래한다.
한림(寒林)이란 뜻이다.
시다림은 인도 마가다국의 북쪽 숲을 이르는 말이었다.
이 숲은 성중의 사람들이 시신을 내다 버리는 장소였다.
이른바 조장(鳥葬)의 풍속이었던 것이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는 뜻이 바뀌어 죽은 사람을 위해 염불하거나 설법하는 것을 시다림이라 이르게 됐다. 이런 법문을 시다림 법문이라 부른다.
시다림을 하는 스님을 시다림 법사라고 한다.
기본적으로 시다림은 정해진 룰이 없다.
대개 금강경 반야심경의 경전을 독송한다.
또한 나무아미타불이나 나무지장보살을 염불한다.
다비장으로 운구할 때까지 영혼천도를 기원하는 게 시다림이다.
시랑지옥
승냥이와 이리가 사는 지옥. 굶주린 승냥이 떼들이 죄수들을 습격한다.
아비규환의 비명소리가 난무한다.
시도 때도 없이 죄수들을 뜯어먹는다.
시련
절 입구에서 영가나 부처와 보살을 맞이하는 의식을 말하며 부처와 보살을 맞이하는 의식을 상단시련, 호법신중을 맞이하는 의식을 중단 시련, 천도 받을 영가를 맞이하는 시련 의식을 하단 시련이라 하는데 오늘날의 시련 의식은 주로 영가 천도재 때 행하는 하단 시련의 경우가 많다.
시련의식은 절 입구에 마련된 시련단에서 시련 대상을 맞이한 다음 부처와 보살을 모신 절 안으로 모셔 들이는데 의식의 목적이 있다.
시무외인(施無畏印) 여원인(與願印)
1) 이포외인(離怖畏印) 이라고도 함.
서 계신 부처님이 주로 취함.
다섯 손가락을 가지런히 위로 뻗고 손바닥을 밖으로 하여 어깨 높이까지 올린 모양이다.
2) 여원인은 일체 중생의 소원을 만족시키는 것을 상징하는 수인으로 한쪽 손의 다섯 손가락을 펴서 밖으로 향하여 아래쪽으로 드리우는 형상이다.
만일 손을 안쪽으로 향하여 드리우면 촉지인이 된다.
다른 한 손의 시무외인은 부처님이 중생들의 두려움을 없애는 수인으로 팔을 들고 다섯 손가락을 펴서 손바닥을 밖으로 향하는 모습이다.
3) 시여인, 시원인, 여인이라고도 함.
서 계신 부처님이 주로 취함. 손의 모습은 손바닥을 밖으로 하고 다섯 손가락을 펴서 밑으로 향하고 손 전체를 늘어뜨리는 모양 임(시무외인과 반대 모습)
시방현전상주승물 (十方現前常住僧物)
죽은 스님의 물건을 말한다. 이는 현재 거기 살고 있는 스님만이 나누어 가질 수 있다.
시봉
1) 스승으로 받들어 모시는 승려나 지위가 높은 승려를 가까이 모시고 시중드는 일.
2) 제자. 존경하는 이를 받들어 모신다는 말로 불교에서 시봉의 대상은 부처님과 덕 높으신 스님, 스승이 된다.
큰스님 곁에는 항상 시봉하는 시자스님이 있어 스님을 모시고 있는데 대중 속에서도 사미스님들이 어른 스님을 시봉함에 있어서 반드시 지켜야할 예절규범이 있다.
즉 화상이나 아사리 대하기를 부처님 대하듯 하여야 하고, 어른 스님의방에 들어 갈 때는 먼저 손가락을 세 번 부드럽게 두드려 허락을 기다려야 하며, 허락이 있어 방으로 들어갈 경우에는 곧 스님 쪽을 향하여 합장하고 반배의 예를 올린 후 부처님과 스승을 대하듯 예배를 올린다.
스님께 예배함에 있어서도 스님이 좌선 중이거나 경행 중일 경우, 공양하실 때, 경전을 설하실 때, 양치질 할 때, 목욕 할 때, 누워 계실 때와 스님이 문을 닫았을 때 문밖에서는 절하지 않으며 손가락을 세 번 퉁겨서 노크를 하되 대답이 없으면 물러가야 한다.
또 스님을 모실 때에는 스님과 정면으로 마주 서서는 안 되며 스님보다 높은 자리에서도 안 되며, 불법을 물으려 할 때는 의복을 정돈하고 예배한 후에 합장하고 꿇어앉을 것이며, 스님이 말씀하시는 것은 정신 차려 듣고 잘 생각하여야 하며, 스님이 말씀을 끝내기 전에 말하면 안 된다.
또 스님이 앉으라 하시기 전에는 앉지 않으며 묻지 않으면 말하지 않고, 예배 올리려 할 때에도 스님이 그만 두어라 하시면 그만 둔다. 이와 같은 예절 규범은 삼보께 시봉을 드는데 기본이 되는 자세로 출가, 재가의 사부대중 모두가 지켜야 할 예절이 된다.
시비(是非)
옳고 그름. 잘잘 못. 가리다. 따지다.
시식(施食)
1) 죽은 친속을 위해 천도(薦度)하는 재(齋)를 올린 끝이나 4명일(明日)때에 선망부모(先亡父母) 또는 일체 고혼(孤魂)에게 법식(法食)을 주면서 법문을 일러주고 경전을 읽으며 염불하는 등의 의식을 행하는 법식(法式)을 시식이라 한다.
2) 영가의 천도를 위하여 고혼의 영가를 대상으로 법식(法食)을 주면서 법문을 전해주며, 독경, 염불 등의 의식을 행하는 것을 말한다.
시식의 종류에는 관음시식, 상용시식, 화엄시식, 구병시식 등이 있으며 이 시식을 행할 때는 법력 있는 법사스님의 집전으로 행해지는데 먼저 음식물을 준비하고 부처님의 위신력으로 영가를 청하여 부르는 청혼과 창혼, 영가에게 자리를 권하며 차와 음식을 권하는 의식, 독경과 염불로써 법문을 들려주는 의식 등의 절차로 진행되며 시식 전에는 반드시 부처님께 드리는 헌공 의식이 끝난 후에 시식을 행해야한다.
기제사나 49재를 올릴 때 관욕과 불공의식이 끝난 후, 각종 중요법회가 끝날 때에도 시식을 한다.
시왕가망(十王家亡)
무속용어의 하나.
망제가 죽어서 십대왕 한테 간 망제를 이르는 말이다.
시왕탱화
명부에서 죄의 경중을 판결하는 10명의 왕(진광대왕, 초강대왕, 송제대왕, 5관대왕, 염라대왕, 변성대왕, 태산대왕, 평등대왕, 도시대왕, 오도전륜대왕)과 그 시왕이 관할하는 지옥의 장면을 자세히 그린 10폭의 탱화로 주로 명부전이나 시왕전에 모셔진다.
시자
덕망이나 지위가 높은 스님을 가까이서 모시고 시중드는 스님.
웃어른을 모시는 직책으로, 주로 큰스님을 모시게 된다.
시주(時柱)
사주의 네 기둥의 하나.
년주 월주 일주 시주.
시주(時柱) 정하는 법
時란 경도상 태양의 직사방위(直射方位태양의위치)로서 태양의 인력을 각도로서 나타낸 것이다.
시주는 출생한 시간으로 地支를 취하고 天干은 日干에 의하여 일상기시법(日上起時法)으로 취하여 日柱의 干支를 정한다.
日上起時法 일신기시법은,
甲己 半夜 甲子時 갑기 반야 갑자시.
乙庚 半夜 丙子時 을경 반야 병자시.
丙辛 半夜 戊子時 병신 반야 무자시.
丁壬 半夜 庚子時 정임 반야 경자시.
戊癸 半夜 壬子時 무계 반야 임자시.
時 | 부터(초初) | 정(正) | 전까지(말(末) |
子 | 23:00 | 00:000 | 01:00 |
丑 | 01:00 | 02:00 | 03:00 |
寅 | 03:00 | 04:00 | 05:00 |
卯 | 05:00 | 06:00 | 07:00 |
辰 | 07:00 | 08:00 | 09:00 |
巳 | 09:00 | 10:00 | 11:00 |
午 | 11:00 | 12:00 | 13:00 |
未 | 13:00 | 14:00 | 15:00 |
申 | 15:00 | 16:00 | 17:00 |
酉 | 17:00 | 18:00 | 19:00 |
戌 | 19:00 | 20:00 | 21:00 |
亥 | 21:00 | 22:00 | 23:00 |
<시간정표>
戊癸 | 丁壬 | 丙辛 | 乙庚 | 甲己 | 시간 | 시 |
壬子 | 庚子 | 戊子 | 丙子 | 甲子 | 23-01 | 子 |
癸丑 | 辛丑 | 己丑 | 丁丑 | 乙丑 | 01-03 | 丑 |
甲寅 | 壬寅 | 庚寅 | 戊寅 | 丙寅 | 03-05 | 寅 |
乙卯 | 癸卯 | 辛卯 | 己卯 | 丁卯 | 05-07 | 卯 |
丙辰 | 甲辰 | 壬辰 | 庚辰 | 戊辰 | 07-09 | 辰 |
丁巳 | 乙巳 | 癸巳 | 辛巳 | 己巳 | 09-11 | 巳 |
戊午 | 丙午 | 甲午 | 壬午 | 庚午 | 11-13 | 午 |
己未 | 丁未 | 乙未 | 癸未 | 辛未 | 13-15 | 未 |
庚申 | 戊申 | 丙申 | 甲申 | 壬申 | 15-17 | 申 |
辛酉 | 己酉 | 丁酉 | 乙酉 | 癸酉 | 17-19 | 酉 |
壬戌 | 庚戌 | 戊戌 | 丙戌 | 甲戌 | 19-21 | 戌 |
癸亥 | 辛亥 | 己亥 | 丁亥 | 乙亥 | 21-23 | 亥 |
1. 표준시(標準時) 경도가 다른 곳에서 각각 다른 시각(時刻)을 사용하는 것은 매우 불편한 일이다.
예를 들면 대전(127.5°E)에서 12시 일 때 부산 (129.3°E)은 12시 6분12초이다.
이와 같이 한 나라 안에서도 장소에 따라 다른 시각(時刻)을 사용한다면 매우 불편할 것이다.
한국에서는 경도 135°E(일본아카시)를 표준으로 시각(時刻)을 정하는데 이 지점에서 자오선을 기준으로 경도(經度) 0°인 표준시에서 9시간이 지난 시각이 한국의 標準時이다.
그러므로 경도(經度) 127.5°E인 대전 지방에서 볼 때 시계는 태양보다 30분 빨리 가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시계가 正午時인 12時를 가리킨다면(正午는 태양이 그 지방에서 正南에 위치할 때를 가리킨다)시계상의 시간이 12時일 뿐 다른 모든 지방이 실제적으로 12時가 되는 것은 아니다.
각 지방마다 경도가 다르기 때문에 태양의 위치를 알려면 연도마다 표준시의 변경 사항을 알아야 한다. 그리하여 한국 도시 표준시를 알아서 시각을 정확히 계산하여야 한다.
한국의 표준시는 다음과 같이 변경되었다. (양력)
1) 1910년 8월 29일 이전은 태양시 기준.
2) 1910년 8월29일 12시부터 135°E 기준.
3) 1954년 3월21일 0시부터 127.5°E 기준.
4) 1961년 8월10일 0시부터 135°E 기준 (현재까지).
2. 시축(時縮 썸머타임 Summer Time), 시축이란 시계를 태양보다 한 시간 먼저 가도록 변경한 시간을 말한다.
썸머타임에 해당하는 시간에 출생한 사람은 본래의 태양시로 환산하여 정확한 출생시를 계산해야 한다.
썸머타임을 사용할 때는 인위적으로 1시간을 앞당겨 놓았으니 만약 오전 10시에 출생한 사람은 오전 9시로 사용하여야 正時라 할 수 있다.
時에서 부터 | 時 까지 |
1948年 4月 23日 子時부터 | 1948年 8月 10日 亥時까지 |
1949年 3月 3日 子時부터 | 1949年 8月 2日 亥時까지 |
1950年 2月 14日 子時부터 | 1950年 8月 12日 亥時까지 |
1951年 4月 1日 子時부터 | 1951年 8月 8日 亥時까지 |
1955年 3月 14日 子時부터 | 1955年 8月 6日 亥時까지 |
1956年 4月 11日 子時부터 | 1956年 8月 25日 亥時까지 |
1957年 4月 6日 子時부터 | 1957年 8月 28日 亥時까지 |
1958年 3月 16日 子時부터 | 1958年 8月 8日 亥時까지 |
1959年 3月 27日 子時부터 | 1959年 8月 17日 亥時까지 |
1960年 4月 6日 子時부터 | 1960年 7月 27日 亥時까지 |
1987年 4月 13日 02→ 03 부터 | 1987年 8月 19日 03→ 02부터 |
1988年 3月 23日 02→ 03 부터 | 1988年 8月 29日 03→ 02 부터 |
이 썸머타임 사용 기간을 만세력에 표시하여 이 썸머타임 기간 내에 출생한 사람은 썸머타임 시간을 사용하여야 올바른 時柱를 구할 수 있다.
썸머타임 외에도 한국은 1961년 양력 8월 10일 0시부터 동경 135°E를 기준으로 한 표준시를 현재까지 사용하고 있는데 한때는 동경127.5°E를 기준으로 사용한 기간이 있다.
127.5°E를 기준으로 정한 기간도 참고하여 時를 취하여야 올바른 時柱를 구할 수 있다.
이유는 한국은 일본 동경 시간에 비하여 약 30분이 늦고 중국 북경에 비하면 약 30분이 앞선 시간이다.
<동경 135°5‘ E 사용>
에서 부터(음력) | 에 까지(음력) |
1910(庚戌) 7月25日 子時初부터 | 1954(甲午) 2月17日 子時初까지 |
1961(辛丑) 6月29日 子時初부터 | 1998年 현재까지 사용 중 |
<동경 127.5°E 사용>
에서 부터(음력) | 에 까지(음력) |
1954(甲午) 2月17日 子時初부터 | 1961(辛丑) 6月29日 子時初까지 |
시지(時支)
사주 時柱의 지지.
시진(時辰)
時柱의 다른 말.
시천(時天)
시 천 수 | 시 천 예 | 시 천 인 | 시 천 고 | 시 천 역 | 시 천 복 | 시 천 문 | 시 천 간 | 시 천 파 | 시 천 권 | 시 천 액 | 시 천 귀 | 천성 생일 |
亥 | 戌 | 酉 | 申 | 未 | 午 | 巳 | 辰 | 卯 | 寅 | 丑 | 子 | 자(子) |
戌 | 酉 | 申 | 未 | 午 | 巳 | 辰 | 卯 | 寅 | 丑 | 子 | 亥 | 축(丑) |
酉 | 申 | 未 | 午 | 巳 | 辰 | 卯 | 寅 | 丑 | 子 | 亥 | 戌 | 인(寅) |
申 | 未 | 午 | 巳 | 辰 | 卯 | 寅 | 丑 | 子 | 亥 | 戌 | 酉 | 묘(卯) |
未 | 午 | 巳 | 辰 | 卯 | 寅 | 丑 | 子 | 亥 | 戌 | 酉 | 申 | 진(辰) |
午 | 巳 | 辰 | 卯 | 寅 | 丑 | 子 | 亥 | 戌 | 酉 | 申 | 未 | 사(巳) |
巳 | 辰 | 卯 | 寅 | 丑 | 子 | 亥 | 戌 | 酉 | 申 | 未 | 午 | 오(午) |
辰 | 卯 | 寅 | 丑 | 子 | 亥 | 戌 | 酉 | 申 | 未 | 午 | 巳 | 미(未) |
卯 | 寅 | 丑 | 子 | 亥 | 戌 | 酉 | 申 | 未 | 午 | 巳 | 辰 | 신(申) |
寅 | 丑 | 子 | 亥 | 戌 | 酉 | 申 | 未 | 午 | 巳 | 辰 | 卯 | 유(酉) |
丑 | 子 | 亥 | 戌 | 酉 | 申 | 未 | 午 | 巳 | 辰 | 卯 | 寅 | 술(戌) |
子 | 亥 | 戌 | 酉 | 申 | 未 | 午 | 巳 | 辰 | 卯 | 寅 | 丑 | 해(亥) |
시천간(時天奸)
시에 천간성이 들어 한번 이루고 한번은 패하는 것이다.
말의 재주가 특출하고 지혜가 출중하여 재리에 밝을 것이다.
타향에서는 불리하고 고향에서 성공할 것이다.
관직에는 승산이 없으니 큰 기대는 하지 않는 것이 좋다.
상거래 유통으로 크게 부를 축적할 것이다.
시천고(時天孤)
시에 천고성이 들어 말년에 외롭고 고독할 수 있다.
어디에 기대거나 의지하는 마음을 버려라 고독한 팔자이다.
영민하고 재주가 뛰어나나 일 뜻대로 진행되지 않는다.
은인의 해를 주니 도로무공격의 팔자이다.
외록고 고독하나 잘 헤쳐 나가면 크게 이룰 것이다.
시천권(時天權)
시에 천권성이 들어 사람의 됨됨은 매우 준수하다.
능력과 재주를 조금만 사용해도 많은 사람을 능히 구제할 것이다.
무인에 등과하면 만 군사를 지휘할 것이다.
만일 사업을 하면 대상을 꿈꾸어도 크게 무리는 아니다.
사소한 분쟁이나 시비에 말려들면 큰 어려움에 처할 것이다.
시천귀(時天貴)
시에 천귀성이 들어 평생을 무난하게 편안히 지내는 운이다.
강하고 유한 능력의 소유자로 변화가 무쌍하다.
의식주에 걱정이 없이 지내는 팔자이다.
초년에는 약간의 고난이 있으나 무난하게 넘어간다.
주색에 빠지지 않는 한 큰 어려움은 없는 팔자이다.
시천문(時天文)
시에 천문성이 들어 호걸지상이다.
귀인이 사방으로 널려있어 의식이 풍족할 것이다.
지혜와 학문이 밝아 만인의 사표가 될 것이다.
뜨거운 물과 불을 조심하지 않으면 큰 화를 면하기 어렵다.
관직에 종사하지 않고 상업에 종사하면 처자가 불리하다.
시천복(時天福)
시에 천복성이 들어 평생을 부호로 지내는 격이다.
원하고 바라는 것을 모두 얻어 취하니 더 바랄 것이 없다.
입신양명으로 일신상의 큰 영화이다.
명예와 부를 모두 갖추었으나 건강이 염려된다.
귀하고 영특한 자식을 두어 이 또한 큰복이다.
시천수(時天壽)
시에 천수성이 들어 수명은 가히 백수 할 것이다.
의식이 풍족하고 가내가 두루 화평할 것이다.
심신이 편안하고 가내가 화평하고 만인에게 베푼다.
부부의 정은 두텁지 않으나 평판하다.
신선이 따로 없구나 이것이 신선놀음이다.
시천액(時天厄)
시에 천액성이 들어 사방팔방으로 매우 분주하게 보낸다.
일마다 장애와 마가 끼이니 성급히 추진 말고 신중을 기하라.
오랜 지속적인 일보다 속전속결하는 일을 하는 것이 좋다.
남의 말을 믿지 말고 자기 의사대로 행하는 것이 좋다.
허망 된 생각을 하지 말고 현실에 적응해야 한다.
시천역(時天驛)
시에 천역성이 들어 사방팔방으로 분주하게 보내는 운이다.
강산을 두루 다니면 온갖 고난을 낙으로 삼는다.
마음의 고난을 항상 갖고 있으니 빨리 떨쳐버려야 한다.
육친이 무덕하고 처자 또한 인연이 적다.
천하를 두루 편답하며 사업으로 재리를 축적한다.
시천예(時天藝)
시에 천예성이 들어 항상 심신의 부담이 클 것이다.
한곳에 오래도록 정착을 하지 못하고 주거를 자주 옴 긴다.
예기예능의 재주고 관문에 들면 후대 큰 영화가 온다.
후광은 없으나 자수성가 적소성대 할 것이다.
늦게 얻은 명예는 자손 대대로 이어갈 것이다.
시천인(時天刃)
시에 천인성이 들어 한때는 어렵고 고통스러운 일이 있을 것이다.
능력과 재주가 있으니 그 때를 만나지 못하니 한스럽다.
유리 강산하며 하늘과 땅을 집을 삼고 지낼 것이다.
선덕을 베풀면 액이 사라지고 하늘이 도와 줄 것이다.
액이 서서히 사라지고 점점 서광이 비쳐질 것이다.
시천파(時天破)
시에 천파성이 들어 영리하고 총명함과는 거리가 멀다.
기반을 닦지 않고 크게 벌리니 심력만 낭비하는 것이다.
사십 후반에는 적소성대하여 큰 이익을 볼 것이다.
말년에야 부귀영화가 도래할 것이다.
시련과 고난이 나중에는 큰 열매를 맺을 기반이 된다.
시축(詩軸)
일명 서머타임 (summer time). 여름에 긴 낮 시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표준시간보다 시각을 앞당기는 시간.
시험(試驗) 합격(合格) 부적(符籍)
식(識)
불교 12연기법의 하나.
이러한 행에 의해 형성된 잠재된 힘으로 육근을 통해 받아들인 모든 인식을 판단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즉 분별하는 인식 작용을 말한다.
식(食)
육친(六親)의 식신(食神)과 상관(傷官)을 묶어 식(食)이라 말함.
식(息)
風水의 하나.
태산(胎山)이 아래로 흐르면서 생기(生氣)가 잠시 묶여 있는 곳이다.
형기론(形氣論)은 주산(主山)에서 혈(穴)까지 이어지는 내룡(內龍)의 형상(形象)으로, 부모(父母)→태(胎)→식(息)→잉(孕)→육(育)의 세 번째를 이르는 말이다.
식록(食祿)
음식과 녹봉.
식상병(食傷病)
병약 용신에서 육친의 병중 하나. 식상의 병은 자식의 병이다.
식신(食神)
식(食)
我生者子孫 아생자자손. 내가 生해주는 五行으로 陰陽이 같은 것.
신(食神) : 내향적 감정형.
1) 장점
사물에 대하여 깊이 파고든다. 자신의 자존심을 가장 소중히 여긴다.
자아완성에 대한 집착이 강하다.
한 가지 일에 끝을 보고 끝내는 마음이 있다.
자신의 감정을 억제하여 밖으로 잘 나타내지 않는다.
한번 믿으면 베풀고 나눔의 마음이다.
목전의 이익보다는 꿈을 달성하려는 집념이 강하다.
자기의 자식을 후배 양성에 심혈을 기울인다.
자기의 잠재력을 최대한 끄집어내어 활용한다.
2) 단점
자신의 주장이 타당하다고 끝까지 고집한다.
부정적인 면이 강함.
남을 리드하고 끌어가는 힘이 약하다.
남들과의 융화가 잘 되지 않는다.
불의와 타협하지 않는다.
의지력이 약하면 자포자기를 한다.
앞뒤 옆을 의식하지 않는 외골수가 되기 쉽다.
사회의 적응력이 부족하다.
사업가로 출세하기는 부적합한 성격이다.
3) 성격
총명 명랑 관대 덕망 풍류 재능 도량이 넓음. 연구능력 낙천적
4) 육친
자식(乾命動) (坤命不動).
5) 직업
육영 교육 학계 예술 종교 요식 유흥 서비스업.
6) 年運
건강 재산 주색 이성문제. 남자는 직장과 자식 문제. 여자는 남편과 자식 문제.
식신격(食神格)
격국에서 비겁이 많아 신왕 때의 하나.
식신이 유정할 때.
식신방(食神方)
이사방위의 하나.
재수가 좋고 사업이 흥왕하는 곳.
식신생재격(食神生財格)
격국에서 비겁이 많아 신왕 때의 하나.
식신이 재성을 생조 할 때.
식신제살격(食神制殺格)
격국에서 관살이 많아 신약 때의 하나.
인성이 없고 상관이 유력할 때.
식지(食指)
1) 식지食指)가 긴상.
식지는 일명 검지라고 하며, 명예 자부심 독립심 지배욕 노력을 의미한다.
이 검지가 다른 손가락에 비하여 긴 사람은 자신이 강하고 생활력이 왕성하고 항상심이 풍부하며 발전력이 있는 사람이다. 그러나 자칫하면 제 잘난 맛에 크게 횡폭하게 되기 쉽다.
심장이 크며 강하나 기형 심장이기도 하다.
2) 식지의 근원이 낮은 상.
검지의 근원의 위치가 낮은 사람은 검지가 지닌 특성인 명예 자부심 독립심 지배욕 노력 등을 의미를 반감하는 상이며 이런 상의 사람은 될 수 있으면 독립적인 사업을 피하고 회사나 공직인 및 안정된 직장생활이 좋다.
식차마나(式叉摩那) Siksamana
학법녀(學法女), 학계녀(學戒女), 정학녀(正學女)등으로 번역하는데 비구니가 되기 위한 전단계로 18세이상 20세 미만의 출가한 여자 불자이다.
이 동안에 탐(貪), 진(瞋), 치(痴), 만(慢)의 4근본(四根本)과 六法을 수련시켜 비구니가 될 수 있는가를 시험하며 또 임신의 여부도 시험한다.
식차마니(式叉摩尼)
1) 18세-20세 사이의 여성 출가자(정학녀), 6법계를 지님.
2) 미성년으로 출가(出家)한 처녀가 성년이 되어 정식 비구니가 되기 위해 2년 동안 육법계(六法戒)를 지키며 수행을 할 때, 그동안의 비구니를 이르는 말.
신(辛)
천간의 8번째. 오행 陰金. 西方. 秋節. 白色. 義. 肺. 大腸. 코. 메운맛. 부정적.
장년기. 비린내. 4.9數. ㅅㅈㅊ.
1) 庚은 고치는 것이고 辛은 새롭게 하는 것이다. 만물이 이루어짐에 교대하고 고쳐져서 새롭게 됨을 말한다.
만물이 모두 엄숙하게 고치고 변경되어서 열매가 빼어나고 새롭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2) 한자로 매울 신, 독할 신, 새로울 신. 무기류, 농기구류, 주방용품 ,다이아몬드 같다.
庚金이 자연석이라면 辛金은 가공석이다. 멋쟁이. 여성적이다.
타인의 관심을 집중시킨다.
자극 요법이 통한다. 억압을 한다.
혹독하다. 냉혹한 마음이 있다.
화려하게 표현하고 싶어 한다.
집요하게 파고든다. 기억을 각인한다.
첫사랑의 기억과 같다.
검. 경 계통이 좋다.
과하면 불량배 특성이 있으며 약하면 갈등이 심하다.
칠전팔기는 辛金의 기질이다.
집요하게 물고 늘어진다.
丙火는 辛金을 두려워한다.
툭툭 털어 버리는 것이 부족하다.
대단한 결정체다. 남이 알아주기를 바란다.
결심은 꼭 성취시킨다. 자아도취에 빠질 수 있다.
辛金을 매장시키려면 자꾸 추켜세워 주면 쓰러진다.
두려움이 없다.
신(申)
地支의 9번째. 오행 陽金. 西方. 秋節. 白色. 義. 肺. 大腸. 코. 메운맛. 부정적.
장년기. 비린내. 4.9數. ㅅㅈㅊ. 7월.
큰 바위 암반 7월 초가을 원숭이를 의미한다.
지장간은 戊己土7+壬水7+庚金16 이다.
申은 펼신(伸)과 같으며 伸은 끌어당기는 것이고 크는 것이니 쇠퇴하고 늙은 것을 촉진시켜 더욱 노쇠하게 하는 것이다.
申은 몸(身신)이니 만물이 모두 몸체를 이루는 것이다.
“어정칠월”이라는 속담이 있다.
마무리하려는 준비 단계와 같다.
결실의 전 단계이다. 가을은 사색(思索)의 계절 이다.
가을은 명상의 계절이다. 애매 모호하다.
신강(身强)
日柱의 干이 강할 때.
月日支 세력이 인성이나 비겁이면 최강이며, 月支와 세력이 인성이나 비겁이고 日支가 관성이나 식상 재성이면 중강이 되고, 月日支가 인성이나 비겁이고 주위 세력이 관성 식상 재성이 많으면 강이 되며, 月支가 관성 및 식상 재성이나 日支와 주위 세력인성과 비겁이면 위강으로 강으로 본다.
신고격(辛苦格)
성명 수리 54 수.
신고불화(辛苦不和) 신고하며 불화하게 되었으니.
고독우고(孤獨憂苦) 고독하며 근심이 많고 고생하게 된다.
패가망신(敗家亡身) 패가망신 수가 있으니.
불구폐병(不具廢病) 불구가 되며 폐질까지 있게 된다.
의지가 약하여 모든 일이 불화와 고통 속에서 헤매며 외로움과 근심이 많으며 패가망신 할 수이고 심하면 불구나 질병으로 고생하고 가정 문제도 복잡하여 부부간과 자식을 이별하게 되며 단명한 좋지 못한 수이다.
신금(辛金)
天干의 본질(本質). 辛金은 金의 질(質)로 본다.
그래서 광물질(鑛物質)의 성분을 닮았는데 이러한 성분의 광물질을 연마하고 제련하면 훌륭한 연장이 되기도 한다.
도검(刀劍)을 이러한 결과물로 본다. 또한 금질(金質)이 단단하게 뭉치면 강력한 힘을 발휘하게 되기도 한다.
보통 말하는 음금(陰金)을 보석(寶石)이라고 하는 것은 타당한 말이다.
단지 보석만을 귀하고 값진 것으로 이해를 하는 것이 문제이다.
즉 보석이라는 것을 물질적인 금인 광물질로 이해를 하는 것이 타당하다.
滴天髓에,
신금연약 온윤이청 외토지첩 요수지영 능부사직 능구생령 열즉희모 한즉희정
辛金軟弱 溫潤而淸 畏土之疊 樂水之盈 能扶社稷 能救生靈 熱則喜母 寒則喜丁.
辛金은 연약한 성분이나 온기로 따뜻하게 해주면 맑아진다.
土가 쌓여서 덮어버리면 두려워하나 물이 많은 것은 오히려 좋아하네.
임금을 도와서 사직을 능히 구하고, 위태로운 지경에 처한 백성도 구하네.
더울 적에는 어머니를 기뻐하고, 추운 날이면 丁火를 반긴다.
신금(辛金) 일주(日柱)
辛金 별칭은 경쟁심(競爭心)이다.
세상을 살아가는 과정에서는 선량하기만 해서는 먹고살기 힘이 든다.
어쩌면 힘이 든다고 하기보다는 굶어 죽는다고 생각을 하는 것이 더 타당할 수도 있겠다. 그것은 약육강식(弱肉强食)의 경쟁사회에서는 더욱 심화되는 것이며, 농경사회(農耕社會)에서는 오히려 덜하다고도 하겠다.
지금은 치밀한 구상으로 상대방보다 앞서지 않으면 생존(生存)의 기반이 위태롭다고 생각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그만큼 현실은 초경쟁적(超競爭的)인 사회로 진입을 하고 있는 것이다.
辛金은 생존경쟁(生存競爭)력이 강하다. 그러므로 누구라도 자신과 대항을 하려고 하면 결코 양보하지 않으려는 마음이 내재되어 있어서 만만치 않은 자세를 취한다. 그래서 잘못 건드리게 되면 후회막급(後悔莫及)이 되기도 한다.
조심해서 다루지 않으면 곤란한 것이 겁재이기 때문이다.
다만 이것이 부정적으로 작용하게 되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이기기만 하면 된다는 방향으로 흐를 수도 있다는 점이다.
이렇게 부정적으로 나타나는 경우에는 조심해야 할 것이며, 이로 인해서 큰 화를 불러올 수도 있다는 것을 명심한다면 겁재의 부정적인 면은 해소가 가능하다.
신년(辛年)
太歲의 天干에 辛字가 드는 해.
辛丑年. 辛卯年. 辛巳年. 辛未年. 辛酉年. 辛亥年.
신년(申年)
太歲의 地支에 申字가 드는 해. 원숭이띠 해.
甲申年. 丙申年. 戊申年. 庚申年. 壬申年.
신농(神農)
신농(神農)은 중국 삼황의 하나로 흔히 염제(炎帝) 신농으로 불린다.
황제 헌원씨 이전에 한족에게 농사짓는 방법을 알려주었으며, 5200년전 중국 섬서성 강수에서 자라 지명을 따서 강씨(姜氏)를 득성하게 되었다고 한다.
강태공도 염제 신농씨의 후손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진주 강씨의 원조이다.
한국에서는 신라 시대 이후로 농신(農神)으로서의 신농씨과 후직씨(后稷氏)에 대한 제사를 지냈음이 기록되어 있으며, 조선시대에는 선농단을 세워 매년 임금이 직접 밭을 간 후 제사를 지내기도 하였다.
신도비(神道碑)
풍수(風水)의 하나.
옛날 종이품 이상의 벼슬을 한 사람이나 학식이 높았던 사람들의 무덤 근처 길가에 세우던 비(碑)를 말한다.
신령기자 굿
이 굿은 무당이 오로지 자기를 위해 행하는 굿으로, 허주 굿. 내림 굿. 진적 굿 등이 있다.
신명(神明)
무속용어의 하나.
무당에게 신이 가장 왕성할 때에 이른 것을 신명이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