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이운성-09 묘 9. 묘 墓 늙고 병들어서 죽으면 무덤에 묻히는 것이 당연하다. 무덤은 인생의 종착역이다. 더 이상 살수도 갈 수도 없는 영원한 종말이 무덤이다. 옛날엔 죽기는커녕 병들지도 않았는데 환갑이 넘으면 산채로 묻는 고려장을 했다. 무덤에 들어간 노인은 마지막으로 받은 밥상을 놓고 죽음.. 사주공부 2017.06.11
십이운성-08 사 8. 사 死 병이 지나치면 죽음에 이른다. 죽음을 앞둔 마지막 인생이다. 죽어 가는 것은 육신일 뿐 정신은 아니다. 정신은 아직도 살아있고 또 멀쩡하다. 육신이 병들고 생산을 못하면 정신이 대신해서 빵을 생산하고 인생을 관리해 갈 수밖에 없다. 사는 모든 것을 정신에게만 의지한다. 걷.. 사주공부 2017.06.11
십이운성-07 병 7. 병 病 노쇠에 접어든 초로의 쇠가 세월 따라 점점 심해지고 지나치면 병이 생긴다. 병은 오장육부의 기능이 정상을 유지 못하는 비정상 상태로서 늙음이 깊어진 중로의 현상이다. 병의 원인은 크게 두 가지가 있다. 정기가 쇠퇴해서 허약하고 무기력한데서 오는 허증과 정기를 파괴하.. 사주공부 2017.06.11
십이운성-06 쇠 6. 쇠 衰 천하 제왕도 세월을 막을 수는 없다. 세월이 가노라면 어느새 백발이 나타나고 늙어진다. 왕성했던 전성기가 한고비를 지나서 서서히 기울고 쇠퇴하기 시작하는 초로를 쇠라고 한다. 기운이 쇠퇴하면 천하를 다스리는 왕업을 감당할 수 없는지라 스스로 물러난다. 그러나 아직은.. 사주공부 2017.06.11
십이운성-05 제왕 5. 제왕 帝旺 과거에 급제해서 벼슬할 수 있는 자격만을 가지고 있는 건록이 벼슬길에 올라서 오랫동안 경험을 쌓다보면 세상 물정에 통달하리만큼 능소능대해진다. 그 무르익은 인생을 제왕이라고 한다. 제왕은 산전수전을 다 겪어 만사에 능통하다. 물건만 좋을 뿐 아니라 흥정도 만능.. 사주공부 2017.06.11
십이운성-04 건록 4. 건록 建祿 겉은 성숙하고 속은 미숙했던 반숙의 관대가 안팎으로 완성되어 정신과 육신이 다 같이 완전무결한 상태로 무르익은 명실상부한 성인을 건록이라 한다. 옛날로 말하면 결혼해서 어른이 되었을 뿐 아니라 공부하는 학업이 성숙해서 마침내 과거에 급제까지 한 완전무결한 선.. 사주공부 2017.06.11
십이운성-03 관대 3. 관대 冠帶 나이가 들고 성년이 되면 장가가고 시집가는 관혼의 예식을 올린다. 성인이 되어 성혼하는 시기를 관대라고 한다. 사람은 결혼을 하면서 어른이 된다. 옛날 같으면 상투를 튼다. 어른이 되면 어른 행세를 하고 어른 대접을 받으려는 것이 당연하다. 그러나 관대는 나이와 육.. 사주공부 2017.06.11
십이운성-02 목욕 2. 목욕 沐浴 어머니 젖꼭지를 물고 살던 장생이 밥을 먹으면 젖꼭지를 떠난다. 제 손으로 밥을 먹고 제멋대로 자라난다. 후견인의 손을 떠나서 인생이란 넓고 큰 광야와 바다로 처음으로 한 걸음을 내딛는 것이다. 그는 세상에 대해선 전혀 백지다. 그는 보고 듣는 것이 모두 새롭듯이 어.. 사주공부 2017.06.04
십이운성-01 장생 십이운성 12운성의 활용은 주로 일본의 역학자들이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한국의 역학자들은 사주의 참고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12운성을 육신과 육친궁에 붙여 그 부분의 왕쇠를 보는 방법의 원리는 포태법으로 자연순리의 이치를 사람의 출생 시부터 죽을 때까지의 과정에 비유한 것이.. 사주공부 2017.06.04
격국법 格局 격국법 격국이란 ? 사주의 성명 즉 사주의 이름이라 한다. 사주에 용신을 정하였으니 그 사주를 무엇이라고 불러야 하는데 무엇이라 부를까? 이름을 부쳐야 한다는 원칙은 없으나 없는 것보다는 있으면 세련되고 우아해 보인다. 또한 역학자로 품위가 돋보인다. 편의상 붙일 따름이.. 사주공부 2017.0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