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학사전-ㄱ부-6 ㄱ부-6 격국(格局) 1) 사주의 성명 즉 사주의 이름이라 한다. 2) 사주에 용신을 정하였으니 그 사주를 무엇이라고 불러야 하는데 무엇이라 부를까. 이름을 부쳐야 한다는 원칙은 없으나 없는 것보다는 있으면 세련되고 우아해 보인다. 편의상 붙일 따름이지 사주 감평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역학백과사전-ㄱ부 2017.06.20
역학사전-ㄱ부-5 ㄱ부-5 걸 안주 무속용어의 하나. 골고루 차린 푸짐한 안주를 말한다. 검미(劍眉) 1) 모양. 눈썹은 수풀과 같은 모양이며 끝이 뾰족한 모양이다. 2) 설명. 검미의 눈썹은 부귀와 권세가 있으며 임금을 도우며 경영하는 일에는 뜻밖에 일들이 잘되고 자손이 많으며 오래도록 편안하게 살게 된.. 역학백과사전-ㄱ부 2017.06.20
역학사전-ㄱ부-4 ㄱ부-4 강금(鋼金) 음양오행의 庚과 申을 강철 같다하여 강금이라 함. 강당(講堂) 혹은 강원(講院). 위나라에서는 경론을 연구 학습하는 곳을 가리킴. 곧 재래식 불교학교. 이곳에서 수업하는 승려를 학인이라 함. 강룡(强龍) 풍수(風水) 생왕룡(生旺龍)의 하나. 강룡(强龍)은 龍의 기세(氣勢.. 역학백과사전-ㄱ부 2017.06.20
역학사전-ㄱ부-3 ㄱ부-3 감정선(感情線) 기호(記號) 감정선의 끝이 짧은 금으로 끊어져 있는 (ㄱ.ㄴ), 끊은(가.나)상은 애인과 이별을 나타낸다. 또 감정선의 도중에 나타나는 사각형의 기호(다)는 애인 등과 애정의 차이로 큰 곤란한 문제가 일어나는 것을 의미하고 있고 그리고 마지막에 가서는 최악의 두 .. 역학백과사전-ㄱ부 2017.06.20
역학사전-ㄱ부-2 ㄱ부-2 간화선(看話禪) 간화선은 화두(話頭)를 들고 수행하는 참선법이다. 看은 본다는 것이요, 화(話)는 공안(公案)이다. 공안을 보고 참선하는 수행법인 셈이다. ① 간화선은 중국의 임제종(臨濟宗)에서 발원되었다. 대혜종고선사에 의해 크게 일어났다. 그는 조동종(曹洞宗)의 묵조선(.. 역학백과사전-ㄱ부 2017.06.20
역학사전-ㄱ부-1 ㄱ부-1 가견유대(可見有對) 불교용어의 하나. 가견유대(可見有對)는 유견유대색(有見有對色)의 다른 말이다. 가급인족(家級人足) 집집마다 衣食이 넉넉하고 사람마다 부족함이 없이 풍족함을 말한다. 가내안유(家內安遊) 가내가 태평하여 근심 걱정 없이 잘 지내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 역학백과사전-ㄱ부 2017.0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