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학백과사전-ㅂ부

역학사전-ㅂ-12

유프랭크지안 2017. 10. 21. 14:36

ㅂ부-12

부상(扶桑)

동쪽 바다 속 해가 뜨는 곳에서 자라는 상상의 나무.

부상(富相)

부자의 상. 코가 절통(截筒)과 같이 둥글고 곧고 달아맨 쓸개 같고 허리는 둥글고 등은 두텁고 콧대가 마르고 좌우의 관골이 두두룩하고 지각(턱)부위가 모지고 둥그스럼 하여 옥은 듯하고 앉은 자세와 걸음이 단정한 것 등은 모두 부귀하는 상이다.

또는 형제가 후중하고 신이 안정되고 기가 맑고 눈썹이 넓고 귀가 두텁고 허리가 반듯하고 피부가 미끄럽고 얼굴 윤곽이 방정하면 부자의 상이다.

또는 앉은 자세가 흔들리지 않고 몸을 움직일 때는 민첩하고 귀가 크고 살이 풍만하고 배가 아래로 늘어진 듯하고 등이 넓고 눈은 단봉과 같고 목소리는 종이 울리는 것 같으면 모두 부격(富格)으로 특히 재물이 왕성하다.

부옥빈인격(富屋賓人格)

겁재가 있어도 무력할 때. 또는 財多身弱格 재다신약격

부운(浮雲)

風水의 하나.

목성(木星)이 연이어 일어나고, 형태(形態)가 엉성해 발양의 기운이 있는 것을 부운(浮雲)이라 말한다.

부위부강(夫爲婦綱)

삼강(三綱)의 하나.

부위부강 : 아내는 남편을 섬기는 것이 근본이다.

부위자강(父爲子綱)

삼강(三綱)의 하나.

부위자강 : 아들은 아버지를 섬기는 것이 근본이다.

부작(符作)이란.

부작이 복을 빌고 재앙을 쫓는 다는 주술이란 단순개념 뒤에는 엄청난 시간의 시대적 배경과 인간을 싸고 있는 주변환경 및 우주와의 관계 그리고 이에서 비롯되는 하늘의 섭리와 인간 염원의 무서운 힘, 그런 것들이 고대사와 연결되어 오늘에 이어져 오고 있다.

부작이 효험을 나타내려면 마음가짐이 전제돼야 하는데 복을 빌고 재앙을 물리치려는 간절한 기구 뒤에는 신의 은혜를 입기 위한 적덕(積德)과 경건한 성실성이 요구되며 미신이 아닌 민간신앙이 될 수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부작을 지닌 자는 반복해서 경을 외우고 주문을 읊조리는데 이 염원이 정수리의 가마를 통해 영파(靈波)로 발사되고 이에 따라 신의 도움을 받게 된다고 하며 속히 효력을 얻기 위해 [옴칙급급여율령 唵勅急急如律令]을 외운다.

부작(符作)

부작에는. 나뭇잎, 죽순, 나무껍질, 가죽, 댓쪽, 나무쪽, 헌겊, 종이 등 평면 재료에 그리거나 찍은 것을 부적(符籍)이라 하고, 뼈, 조개, 잇발, 발톱, 뿔, 털, 깃털, 씨앗, 귀금속 등을 그대로 또는 일정한 모양으로 만든 입체물 모두를 포함하여 부작(符作)이라 한다.

부작주술(符作呪術)

1) 원형 상징물의 주술

호랑이 발톱, 송곳니, 조개, 알 껍질 등이 있다.

자패라는 조개껍질은 안산 다산의 의미가 있으며 이는 여자의 성기를 닮았다 하여 지니고 있으면 재수 있는 일이 생긴다.

달걀 껍질을 꼬쟁이에 꿰어 출입문 위에 꽂아 두면 아들을 낳을 수 있다고 하는데 이는 사내아이의 불알과 알 껍질을 동일시하는 유감주술이며 꿰어 걸어두는 것은 얻음의 기원인 것이다.

우물가 하수구 양쪽에 토란을 심는데 이는 우물은 여근(女根)으로 토란은 사내아이의 불알을 닮아 사내아이를 임신한다는 의미.

장독대 옆에 석류를 심는 것도 자식을 구하고 안산과 부부화합을 기원하는 뜻. 석류를 벽에 걸어두어도 같은 효과가 있다고 한다.

2) 가공도구의 주술

돌도끼, 화살촉, 돌칼, 뼈바늘, 작살 등은 벽사(辟邪)의 효과가 있다.

이를 지니면 사기를 쫓고 아이를 못 낳는 여자도 임신을 할 수 있다.

무기(武器)가 악귀를 쫓는 부작이 될 수 있고, 바늘이 사이가 나쁜 또는 그런 조짐이 보이는 부부간의 사이를 꿰매주는 화합의 부작으로 쓰이고, 소의 코뚜레를 이사한 집이 터가 세어 하는 일이 잘 안될 때 방문 위에 걸어두면 사나운 토지신을 다스린다.

엽전을 부인이 끈에 꿰어차고 다니면 남아를 낳을 수 있어 남전부(男錢符)라 한다.

풍수지리에서 무덤 속에 신의 방향에 따라 쥐, 뱁, 지네, 쇠, 그릇, 십자석, 주사, 도끼, 칼, 거울, 오색흙, 도마뱀 등을 넣는데 이는 자손들이 부귀영화를 대대로 누리는 효험이 있다고 한다.

3) 목적물의 주술

나무나 돌, 뼈, 칠보(七寶)를 이용하여 동물이나 사람 모양의 신상을 지니기 좋게 소형으로 조각하고 벽사와 길상을 상징하는 복숭아, 석류, 호로병, 꽃 등 또는 도끼. 방울, 버선모양을 입체로 만들어 지닌다.

4) 장신구 부작주술: 한복 마고자 단추는 호박(琥珀)으로 만드는데 이는 호랑이의 혼백이 깃든 옥이란 뜻으로 악귀를 쫓는 주술이다.

구리반지를 끼면 허리가 아프지 않고, 옥 반지를 끼면 몸이 가볍다고 한다.

부작(符作)의 종류(種類)

부작의 종류를 크게 분류하면, 기복부 벽사부 호신부로 구분한다.

1. 기복부(器腹部)

복을 비는 부작으로 행복해 지려는 인간의 욕망을 주술에 의탁 염력의 징표이다.

1) 조개(紫貝자패) 부작

모양이 여자의 성기를 닮았다 하여 이를 지니면 안산이나 다산을 의미하고 재수 있는 일들이 생긴다고 함.

2) 석류(石榴) 부작

옥으로 석류모양을 조각하여 지니면 안산, 구아(救兒), 부부화합을 의미. 옛날 노리개 석류잠(여성의 비녀 꼭지에 은이나 금으로 석류 꽃송이를 새긴 것). 석류 실물을 벽에 걸거나 단사(丹砂)로 그려 지닌다.

불교 탱화에는 어린애를 품고 석류를 쥐고 있는 귀자모신이 있는데 이 야차녀(夜叉女)는 천명의 아이를 낳아 양육하였다 하여 구아. 인산 부부화합을 바라는 기원이고 이 여신은 성질이 흉악하여 남의 자식을 죽여서 먹었기 때문에 석가가 그의 막내 자식을 숨겼더니 슬퍼하므로 훈계하여 자식을 돌려보내고 부처에게 귀의 시켰다고 함.

3) 속곳 부작

여자의 속곳과 단속곳을 걸어두면 가운과 자손이 번성하다고 함.

4) 여우자궁 부작

여우의 생식기로 술집 접대부 기생 등이 가지고 있으면 남자 복이 터져 남자들이 많이 생긴다고 함.

또 노름꾼이 지니고 도박을 하면 재운이 생긴다고 함.

5) 달걀 부작

달걀 껍질 위아래로 구멍을 뚫어 속을 빨아먹고 여기에 꼬챙이를 꿰어 출입문 위에 걸어 아들을 빌면 소원성취한다 함.

이는 남아의 불알과 동일시하는 유감주술에 시작된 것이며 알 신앙과 직결된다.

6) 호랑이 코 부작

임신부가 출입하는 문 위에 걸어두면 씩씩하고 신분이 높아질 사내아이를 낳는다고 함.

7) 수탉 꽁지 털 부작

수탉 꽁지의 깃털 3개를 임신부 몰래 요 속에 넣어 두면 아들을 낳을 수 있다고 함.

8) 도끼 부작

은, 구리, 쇠로 자그만하게 도끼모양을 3개 만들고 이를 끈이나 수판의 살대에 꿰어 주머니에 넣고 허리에 차면 나라의 큰 인재가 될 아들을 얻는다고 함.

9) 작침(鵲枕) 부작

까치가 떠난 오래된 집을 털어서 얻은 콩알만한 이 돌을 몸에 지니면 마음에 둔 사람에게 사랑이 발동한다고 함.

10) 들 쇠 부작

농 반다지 등에 손잡이로 매다는 들쇠를 모형으로 작게 만들어 지니면 음양의 화합으로 부부 가족의 화목과 오복을 누릴 수 있다고 함.

11) 바늘 부작

벽력침이라고 하며 사기를 쫓는 주물로 쓰였는데 남편의 외박이나 사이가 좋지 못할 때 눈에 뜨이지 않는 옷 안에 넣어둔다.

실은 흰실 또는 빨간 실을 사용한다.

12) 원석(圓石) 부작

흙 돌 쇠 등을 원형으로 만들어 그 안에 모양을 그리거나 새겨 놓은 것으로 가족의 번성과 자손창성 부귀공명을 바라는 부작이다.

기와 용마루 기와장. 토담마감 기와 등에 둥글고 그림모양이 이것이다.

요즘 각국의 동전이 부작에 해당한다.

2. 벽사부(辟邪符)

사악한 악귀를 물리쳐 재앙을 불제(祓除)하려는 부작이다.

짐 안에 흰개미와 흰 닭을 기르면 악귀가 들어오지 못한다는 우리의 풍속도 이를 벽사 동물로 보기 때문이며 흰꿩, 흰개미, 흰사슴, 흰코끼리 등이 상서로움을 상징하는 것은 흑백을 음양으로 구분 흰색을 광명으로 보기 때문이다.

1) 호랑이 발톱

도깨비 얼굴 모양을 은, 구리, 주석 등으로 만들고 호랑이 발톱을 대칭으로 켜서 송곳니 모양으로 끼워 몸에 지니면 악귀가 무서워 달아난다고 함.

호랑이는 발톱 외에 잇빨, 뼈, 수염, 털, 가죽 등도 같은 벽사의 역할을 한다.

2) 사슴뿔 털

사슴뿔 조각을 몸에 지니거나 뿔을 집안에 걸어두면 잡귀를 물리친다고 함.

사슴 털은 칠성님의 가호와 벼슬길을 빌고 이를 방해하는 악귀를 쫓는 벽사부이다.

3) 복숭아나무 부작

귀신들이 살고 있는 길고 긴 큰 굴이 있는데 문 앞에 큰 복숭아 무가 있고 입구를 두 신이 지키고 있었기에 수백의 귀신들이 두려워하고 복종하므로 복숭아나무에 신의 모습을 그리거나 조각해서 대문에 걸어 두면 잡귀가 감히 집안에 들어 올 수 없을 것이라 황제가 이 부작을 만들었다고 한다.

칼 모양으로 만들어 걸어 두면 병귀를 쫓는다고 한다.

복숭아나무는 서쪽을 상징하고 禁에 속한다.

4) 5행목 부작

木 동쪽을 관장하는 대추나무(조목부棗木符)

火 남쪽을 관장하는 느티나무(괴목(槐木)

金 서쪽을 관장하는 대추나무

水 북쪽을 관장하는 버드나무(류(柳木)

이 들을 오장목이라 하여 집의 방향에 각각 걸어두면 악한 사귀들이 침범하지 못한다고 함.

5) 코뚜레 부작

터주(지신地神)가 새로 이사 온 사람에게 심술을 부려하는 일이 제대로 안되고, 좋지 못한 일이 계속 생긴다고 믿어 질 때 출입문 위에 걸어두는데 힘센 황소에게 걸었던 것일수록 효과가 크다고 함.

6) 쑥 부작

쑥을 가지고 제웅을 만들어 5월5일 단오날에 출입문 위에 걸어두면 모든 사귀를 물리친다고 함. 쑥 묶음을 그대로 걸어도 둔다.

7) 채삭(綵索) 벽병 부작

5월5일 단오절에 채삭이라하여 주머니 속에 오색비단실이나 오색비단 조각을 넣어 지닌다.

이를 지니면 병귀를 쫓고 오래 산다 하여 벽병 또는 장명루(長命縷) 오색루(五色縷)라 한다.

3. 호신부(護身符)

신불(神佛)의 가호로 악귀로부터 자신을 보호받는다는 내용의 주술물인데 선신(善神)의 모습을 옥돌이나 나무, 쇠붙이로 지니기 좋게 소형으로 만들어 작은 주머니 속에 넣어서 항상 몸에 간직하고 이와 함께 경문이나 주문을 외우면 효과가 더욱 있다고 한다.

1) 동자상(童子像)

동자상이 부조되어 잇는 것을 보면 호로병을 들고 있어 악귀로부터 이부작을 지닌 주인을 수호하는 것으로 조선조 별전 중 이런류의 부조로 된 부작이 있어 여기에 단사를 칠해 종이네 찍어서 부적을 만들어 지니며 지금도 많이 쓰이고 있다.

문수동자상은 호법 동이요 삼보를 수호하기 위해 능히 수행인을 옹호하고 영지를 수호하는 신동이며, 금강동자는 어린이의 병을 없애거나 순산을 돕는 수호신이다.

2) 호신불(護身佛)

금 은 동 주석 구리 옥 등으로 아주 작게 불상을 만들어 한지에 싸서 작은 주머니에 넣어 지니거나 부적 종이에 싸서 지니 기도한다.

불경을 외우고 항상 선행하도록 힘쓰며 덕을 쌓으면 언제 어디서나 불법의 호위가 뒤따르고 연달아 좋은 일들이 생긴다고 한다.

3) 십이지신상(十二支神像)

육정육갑신이라고 하며 음과 양으로 나누어 불리며 수호신 방위신이며 장수차림의 수도인신이다.

만들어 지니면 모든 악귀가 침범하지 못한다고 함.

4) 액막이 부작

조롱부작과 같은 것으로 호리병과 말 모양을 작게 만들어 삼재든 아이가 동짓날부터 대보름 전날 밤까지 차고 있다가 제웅치러 다니는 아이들에게 주는 부작이다.

주머니 끈이나 허리끈에 차며 밤톨 크기에 붉은 칠을 하거나 청실홍실을 매기도 한다.

호리병 속에는 도술을 부리는 약물이 들어있고 말은 악귀로부터 달아나는데 쓰인다고 한다.

부적(符籍)

나뭇잎, 죽순, 나무껍질, 가죽, 댓쪽, 나무쪽, 헌겊, 종이 등 평면재료에 그리거나 찍은 것을 부적(符籍)이라 함.

부적색(符籍色)

부적의 색체는 빨강 색으로 이는 불과 빛의 색으로 불은 모든 것을 태워 버리고, 빛은 어두움의 음기를 밝게 하여 양기를 일으키는 이유이다.

옛날에는 빨강 안료를 사용했으니 현재는 단사를 사용한다.

단사의 학명은 [황화제2수은]으로 불에 가열하면 수은과 유황으로 분리되고 다시 꺼구로 혼합하면 단사가 된다.

이때 수은을 음기의 사리, 유황을 양기의 사리라 한다.

그러므로 단사는 陰과 陽의 기운이 조화되고 정련된 상태이며, 무교의 경전을 인체라 볼 때 남녀의 정기가 최고조로 달아올라 새로운 생명의 씨앗이 뿌려지는 불덩이 같은 절정의 색깔에 붙여진 이름.

부정하고 잡스러운 것이 근접하면 모두 타버리는 신성한 정기의 덩어리로 보는 것이며 가장 정결한 불빛이요 핏빛이라 할 것이다.

이것이 불노불사의 장생약의 본 모습이며, 재앙을 가져오는 시악한 귀신들을 물리치는 광명주사(光明咮砂)이다.

일명 경명 주사라 함.

부적제작법

1. 준비물

1) 재료 준비물로는 경명주사(단사) 또는 영사 먹물, 괴황지(부적종이) 또 한지. 붓, 기름(계피기름 참기름 또는 설탕물이나 아교)

2) 기도 준비물로는 깨끗한 상, 촛대 2개, 양초 2가락, 향로 1개, 향 약간, 청수 1그릇, 접시 4개, 부적책 경문책, 흙돌 약간(명산 능 장군묘의 흙과 돌).

2. 제작시간

1) 일자. 사용할 사람의 길일을 택함.

2) 시간. 자시.

3. 제작요령

깨끗이 목욕을 한다.

준비물을 차려 놓는다.

청수를 뜨고 촛불을 켜고 향 3개를 피운다.

제작 전 기도를 올리고 상 앞에 반가좌로 앉아서 조용히 미음을 가다듬는 좌선을 3분 정도하고 부적을 작성한다.

4. 제작 전 기도문

계향 정향 혜향 해탈지견향 광명운대 주변법계 공양시방 무량제천신중.

지심귀명례 금강보살 명왕중(1배)

지심귀명례 하계당처 일체호법 선신등중(1배)

옹호성중혜감명 사주인사일념지 애민중생여적자 시고아금공경례(반배)

[옴 오륜이 사바하] (9번).

아이금강 삼등방편 신승금강 반월풍륜 단상구방 남자광명 소여무명 소적지신 역칙천상 공중지하 소유일체 작제작난 불선심자 가래호궤 청아소실 가지법음 사제포악 패역지심 어불법중 함기신심 옹호도량 역호기주 강복소제.

[옴 소마니 소마니 훔 하리한나 하리한나 훔 하리한나 바나야 훔 아나야 혹 바아밤 훔 바탁] (9번).

5. 제작 후 기도문.

신묘장구대다라니 나모라 다나다라 야야 나막알약 바로기제 새바라야 모지 사다바야 마하 사다바야 마하가로 니가야 옴 살바 바예수 다라나 가라야 다사명 나막 가리다바 이맘 알야 바로기제 새바라야 다바니라간타 나막 하리나야 마발타 이사미 살발타 수다남 수반 아예염 살바 보다남 바바마라 미수 다감 다냐타 옴 아로계 아로가 마지로가 지가란제 혜혜하례 마하모지 사다바 사마라 사마라 하리나야 구로구로 갈마 사다야 사다야 도로도로 미연제 마하미연제 다라다라 다린나례 새바라 자라자라 마라 미마라 아마라 몰제 예혜혜 로계 새바라 라아 미사미 나사야 나베 사미사미나사야 모하자라 미사미 나사야 호로호로 마라호로 하례 바나마나바 사라사라 시리시리 소로소로 못쟈못쟈 모다야 모다야 매다리야 니라간타 가마사 날사남 바라 하리나야 마낙 사바하 싯다야 사바하 마하 싯다야 사바하 싯다유예 새바라야 사바하 니라간타야 사바하 바라하 목카 싱하 목카야 사바하 바나마 하따야 사바하 자가라 욕다야 사바하 상카 섭나네 모다나야 사바하 마하라 구타 다라야 사바하 바마사간타 니사시체다 가릿나 이나야 사바하 냐가라 잘마 이바 사나야 사바하

[나모라 다나다라 야야 나막알약 바로기제 새바라야 사바하]. (3번)

※ 다음은 부적 사용자에 해당되는 경문을 선택하여 읽고 끝으로 반야심경을 독송한다.

1) 재앙소멸 : 관세음 신주경. 안택신주경. 도액경. 제왕경.

2) 삼재소멸 : 삼지불수경. 삼재경. 도액경.

3) 가택안전 : 명당경. 적호경. 용호축사경. 안택신주경.

4) 자손수명 : 동자속명경. 구호신명경. 동자연명경.

5) 부부자손 : 육모적살경. 안택신주경.

6) 건강질병 : 온황신주경. 천용경. 제왕경. 용호축사경.

7) 동토부정 : 오작경. 동토단목지신경. 부정경.

8) 고사 : 안택경. 조왕경. 신왕경. 용왕삼매경.

9) 귀신요마 : 축사경. 육모적살경. 항마진언. 간귀경.

10) 업장소멸 : 수생경. 관세음보살모다라니경. 금강경.

11) 사후조상 : 아미타경. 해원경. 지장경.

12) 육축 : 우마장생경.

관자재보살 행심반야바라밀다시 조견오온개공도일체고액사리자 색불이공 공불이색색즉시공 공즉시색 수상행식역부여시사리자 시제법공상 불생불멸 불구부정불증불감시고 공중무색무수상행식 무안이비설신의 무색성향미촉법 무안계내지무의식계 무무명역무무명진내지무노사 역무노사진무고집멸도 무지역무득이무소득고 보리살타의반야바라밀다고 심무가애무가애고 무유공포원이전도몽상 구경열반삼세제불 의반야바라밀다 고득아뇩다라삼막삼보리 고지반야바라밀다 시대신주시대명주 시무상주시무등등주 능제일체고진실불허 고설반야바라밀다주즉설주왈

[아제아제바라아제바라승아제모지사바하] (3번)

부전(副殿)스님

불당을 맡아 시봉하는 소임을 말하며, 예식 불공 등의 의식집전 스님.

부정가망(不幀家亡)

무속용어의 하나. 그림이나 사진이 없는 집 안내에 죽은 사람

부정격(不定格)

성명 수리 4 수.

근근성공(勤勤成功) 부지런하고 부지런하여 성공을 하나.

一時敗亡 한순간에 패망하게 된다.

우중행인(雨中行人) 비가 오는데 길을 가는 형상이니. 去去泰山 가도가도 태산뿐이다.

오랜 가뭄에 비가 내리지 않아 초목이 자라지 못한 것처럼 근근히 노력하여 끝내 성공하지 못한다. 잠시 성공이 있다 하여도 동서남북 분주하기만 하고 고난과 고통으로 실패하고 패가망신하며 육친의 덕이 없고 부부간에 생이별 또는 사별하며 불구 단명으로 객사하는 수다.

부정부적

부족격(不足格)

성명 수리 56 수.

제사퇴보(諸事退步) 모든 일이 퇴보하게 되었으니. 불성지격(不成之格) 되는 일이 없는 격이다.

일모서산(日暮西山) 날이 서산에 저물어 가는데. 망망귀객(忙忙歸客) 바쁘게 돌아가는 나그네와 같다.

부족한 점이 많아 담이 적고 마음조차 약하므로 일마다 거의 실패하며 이루는 것이 없다.

따라서 부모처자를 생별 또는 사별하고 불구 형벌로 객사 단명하게 되므로 가정 운이나 사회 운이 좋지 못하다.

부처궁(夫妻宮) 기색(氣色)

어미와 간문에 청색을 띠면 처첩에게 질병이 있거나 기타의 액이 이른다.

부처궁에 적색을 띠면 부부간에 구설이 있고 또는 아내가 난산으로 크게 고통을 받는다.

부처궁에 백색을 띠면 아내를 사별한다.

부처궁에 흑색을 띠면 아내 및 자녀의 슬픔이 있고 또는 재산을 파하거나 일신상에 큰 상처를 입는다.

부처궁에 황명한 빛이 나타나면 아내에게 기쁜 일이 생긴다.

부처님 名呼(명호)

1) 여래, 진리를 몸으로 나타내신 분이란 뜻.

2) 응공, 세상의 존경과 공양을 받을 만한 분이란 뜻.

3) 정변지, 올바른 깨달음을 얻으신 분이란 뜻.

4) 명행족, 지혜와 행동이 완전하신 분이란 뜻.

5) 선서, 훌륭한 일을 완성하고 가신 분이란 뜻.

6) 세간해, 세상일을 완전히 깨달으신 분이란 뜻.

7) 무상사, 인간 중에서 더없이 높으신 분이란 뜻.

8) 조어장부, 사람을 다스리는데 위대한 능력을 가지신 분이란 뜻.

9) 천인사, 하늘과 인간의 스승이 되시는 분이란 뜻.

10) 불세존, 세상에서 가장 높으신 스승이란 뜻.

부처님이란.

일체의 진리를 깨달으신 성자라는 뜻이다.

북(北)

북쪽. 오행의 水(壬癸子亥)의 方向.


'역학백과사전-ㅂ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학사전-ㅂ-14  (0) 2017.10.28
역학사전-ㅂ-13  (0) 2017.10.21
역학사전-ㅂ-11  (0) 2017.10.21
역학사전-ㅂ-10  (0) 2017.10.21
역학사전-ㅂ-9  (0) 2017.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