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학백과사전-ㅍ부

역학사전-ㅍ-2

유프랭크지안 2017. 7. 1. 23:45

-2

팔방(八方)

사방(四方)과 사우(四隅), 東 西 南 北北東, 北西, 東南, 東西의 여덟방위.

() () () () () () () ()의 여덟방위.

팔배. 장군팔배

무속용어.

황해도의 일부 무속인이 작도를 탈 때 입는 장군복을 말하며, 아래가 각색으로 여러 갈래로 되어 있다.

팔부 신중

불법을 수호하는 8가지 신.

1)

천계를 지키는 수호신

2)

물속을 지키며 바람과 비를 관장하는 신.

3) 야차

사람을 도와주는 신.

4) 건달바

약을 주는 병을 고쳐주는 신.

5) 아수라

조복을 받아 선신의 역할.

6) 가루라

새벽이나 태양을 인격화한 신화적인 새.

7) 긴나라

말의 머리로 표현되는 가무의 신.

8) 마후라가

사람의 몸에 뱀의 머리를 가진 음악의 신.

땅 속의 모든 요귀를 물리치는 힘이 있다.

팔산법(八山法)

風水 이법의 하나.

혈지(穴地)에서 나경을 정반정침하고 사격(砂格)이 있는 방위(方位)를 측정하면서 사격(砂格)이 길격형상(吉格 形象)인지 흉격형상(凶格形象)인지를 살펴 길흉화복(吉凶禍福)을 판단한다.

八山

方位 6

戌乾亥

未坤申

壬子癸

丙午丁

丑艮寅

辰巽巳

甲卯乙

庚酉辛

宮位

老父宮

老母宮

中男宮

中女宮

少男宮

長女宮

長男宮

少女宮

形象

吉格

壽高旺丁

富貴旺丁

婦女有德

富貴忠良

中房發旺

文章貴顯

中女秀美

丁財兩發

幼房盛昌

文章貴爵

才媛發貴

富貴旺丁

長房當權

必出文武

財貨豊富

凶格

夭壽乏孫

不發丁財

主婦失德

不發丁貴

中房不振

不發富貴

目疾眼盲

頻發病疾

家産不興

不發富貴

淫賤夭壽

人丁不旺

長房夭壽

淫蕩少女

必出足人

天馬

速發富貴

 

 

速發富貴

 

 

 

 

1) 길격형상은 산이 둥글고 풍만하게 살이 찐 것이면 부격(富格)이고 반듯하면서 깨끗하면 귀격(貴格)으로 길한 사격이다.

2) 흉격형상은 산이 깨지고 부서지고 기울고 무정하게 배반하고 지나치게 크고 높거나 지나치게 낮아 혈을 보호해주지 못하면 흉한 사격이다.

3) 수고왕정(壽高旺丁), 장수하고 자손이 번창한다.

4) 요수핍손(夭壽乏孫), 젊었을 때 요절하여 단명하고 자손이 없다.

5) 부귀왕정(富貴旺丁), 부귀를 다하고 자손이 번창한다.

6) 부녀유덕(婦女有德), 어머니나 아내가 덕이 있다.

7) 불발정재(不發丁財), 자손과 재산에 발전이 없다.

8) 주부실덕(主婦失德), 어머니와 아내가 덕이 없어 집안을 망친다.

9) 부귀충량(富貴忠良), 부귀를 다하고 마음이 충직하고 선량하여 존경을 받는다.

10) 중방발왕(中房發旺), 가운데 자손이 왕성하게 번창한다.

11) 문장귀현(文章貴顯), 문장으로 이름이 있어 귀()하게 된다.

12) 중녀수미(中女秀美), 중간 딸이 특히 똑똑하고 아름다워 귀하게 된다

13) 목질안맹(目疾眼盲), 눈에 병이 있거나 맹인 자손이 난다.

14) 정재양발(丁財兩發), 자손도 번창하고 재산도 번창한다.

15) 유방성창(幼房盛昌), 막내 자손이 크게 발전한다.

16) 빈발병질(頻發病疾), 질병 빈발하여 결국 집안의 재산이 다 나간다.

17) 문장귀작(文章貴爵), 문장으로 이름이 있어 귀와 벼슬을 한다.

18) 재원발귀(才媛發貴), 딸이 똑똑하여 귀하게 된다.

19) 음천요수(淫賤夭壽), 딸이 음란하고 천하게 되며 결국 일찍 단명 요절한다.

20) 장방당권(長房當權), 장남과 장손이 권위가 있어 집안을 부귀하게 이끌어간다.

21) 필출문무(必出文武), 반드시 문무에 걸쳐 위인이 나오고 재물 또한 풍부하다.

22) 음탕소녀(淫蕩少女), 막내딸이 음탕하여 천하게 된다.

23) 필출파족인(必出跛足人), 반드시 절름발이 자손이 나올 것이다.

팔상성도(八相成道)

1) 도솔내의상(兜率來儀相), 도솔천에서 중생을 구제하기 위해 오심(거둘 두).

2) 비람강생상(毘藍降生相), 룸비니동산에서 마야부인 몸을 통해 태어남

3) 사문유관상(四門遊觀相), 생노병사의 괴로움을 보고 출가를 결심.

4) 유성출가상(諭城出家相), 밤중 카필라밧투성을 떠나 출가수행자가 됨

5) 설산수도상(雪山修道相), 출가수행자로 히말라야 산 속에서 6년간 수도함.

6) 수하항마상(樹下降魔相). 보리수 아래서 마구니의 항복을 받고 우주와 인생의 최고 진리를 깨닫고 부처님이 됨.

7) 녹원전법상(鹿苑轉法相), 녹야원서 다섯 비구에게 최초의 설법을 함.

8) 쌍림열반상(雙林涅槃相), 쿠시니라의 두 그루 사라나무 아래서 입멸(열반).

팔십종호 (八十種好)

팔십수형호(八十隨形好)라고도 한다.

부처님의 몸에서 훌륭한 것 八十가지를 말한 것이다.

01. 손톱이 좁고 길고 엷고 구리 빛으로 윤택한 것.

02. 손가락 발가락이 둥글고 길어서 다른 사람보다 고운 것.

03. 손과 발이 제각기 같아서 별로 다름이 없는 것.

04. 손발이 圓滿하고 보드라워 다른 사람보다 훌륭한 것.

05. 힘줄과 핏대가 잘 서리어서 부드러운 것.

06. 두 복사뼈가 살 속에 숨어서 밖으로 나타나지 않는 것.

07. 걸음걸이가 곧고 반듯하여 거위와 같은 것.

08. 걸음 걷는 위의가 사자와 같은 것.

09. 걸음걸이가 안평하여 상자 밑 같은 것.

10. 걸음걸이가 위엄이 있어 일체에 震動하는 것.

11. 몸을 돌려보는 것이 코끼리처럼 오른쪽으로 돌려보는 것.

12. 팔 다리의 마디가 수승하고 圓滿하고 긴 것.

13. 뼈마디가 서로 얽힌 것이 쇠사슬 같은 것.

14. 무릎이 圓滿하고 곧고 아름다운 것.

15. 남근이 살 속에 숨어 있는 것이 말과 같음.

16. 몸과 팔다리가 윤택하고 미끄럽고 깨끗하고 부드러운 것.

17. 몸매가 바르고 곧아서 굽지 아니한 것.

18. 몸과 팔다리가 堅固하여 비뚤지 않은 것.

19. 몸매가 반듯하고 두루 만족한 것.

20. 몸매가 단정하며 검지 않고 기미가 없는 것.

21. 몸에 둥근 광명이 있어 사방으로 한 길씩 뻗치는 것.

22. 배가 반듯하고 가로무늬가 없는 것.

23. 배꼽이 깊숙하고 오른쪽으로 돌았으며 圓滿하고 한 것.

24. 배꼽이 두텁고 한 모양이 있어 두드러지나 오목하지 않는 것.

25. 살갗이 깨끗하고 용모가 바른 것.

26. 손바닥이 충실하고 단정하고 어지럽지 않는 것.

27. 손금이 길고 끊어지지 않고 분명하고 바른 것.

28. 입술이 붉고 윤택하며 빈바의 열매 같은 것.

29. 얼굴이 圓滿하여 크지도 작지도 않은 것.

30. 혀가 넓고 길고 붉고 엷어서 이마 전까지 닿는 것.

31. 말소리가 위엄 있게 떨치는 것이 사자의 영각과 같은 것.

32. 목소리가 훌륭하고 온갖 소리가 구족한 것.

33. 코가 높고 곧아서 콧구멍이 드러나지 않는 것.

34. 치아가 반듯하고 휘고 뿌리가 깊게 박한 것.

35. 송곳니가 깨끗하고 맑고 둥글고 끝이 날카로운 것.

36. 눈이 넓고 깨끗하며 눈동자가 검은 광명이 있는 것.

37. 눈이 길고 넓고 속눈썹이 차례가 있는 것.

38. 속눈썹이 가지런하여 소의 눈썹과 같은 것.

39. 속눈썹이 길고 검고 빛나고 보드라운 것.

40. 두 눈썹이 아름답고 가지런하여 검붉은 유리 빛이 나는 것.

41. 두 눈썹이 높고 명랑하여 반달과 같은 것.

42. 귀가 두텁고 길고 귓불이 늘어진 것.

43. 두 귀 모양이 아름답고 가지런한 것.

44. 얼굴이 단정하고 아름다워 보기 싫지 않은 것.

45. 이마가 넓고 圓滿하여 번듯하고 수승한 것.

46. 몸매가 수승하여 위아래가 가지런한 것.

47. 머리카락이 길고 검고 빽빽한 것.

48. 머리카락이 깨끗하고 부드럽고 윤택한 것

49. 머리카락이 고르고 가지런한 것.

50. 머리카락이 단단하여 부서져 떨어지지 않는 것.

51. 머리카락이 빛나고 매끄럽고 때가 끼지 않는 것.

52. 몸매가 튼튼하여 나라연천보다 훨씬 더한 것.

53. 몸집이 장대하고 단정하고 곧은 것.

54. 몸의 일곱 구멍이 맑고 깨끗하여 때가 끼지 않는 것.

55. 힘이 충실하여 같을 이가 없는 것.

56. 몸매가 엄숙하고 좋아서 보는 사람마다 즐거워하는 것.

57. 얼굴이 둥글고 넓고 깨끗한 것이 보름달 같은 것.

58. 얼굴빛이 화평하여 웃음을 띤 것.

59. 낯이 빛나고 때가 없는 것.

60. 몸과 팔다리가 항상 장엄 스럽고 깨끗한 것.

61. 털구멍에서 좋은 향기가 풍기는 것.

62. 입에서 아름다운 향기가 나는 것

63. 목이 아름답고 둥글고 평등한 것.

64. 몸의 솜털이 보드랍고 검푸른 빛으로 광택이 있는 것.

65. 법문 말씀하시는 소리가 圓滿하여 듣는 사람들의 성질에 따라 널리 맞게 하는 것.

66. 정수리가 높고 묘하여 볼 수 없는 것.

67. 손가락 발가락 새에 그물 겉은 엷은 막이 분명하고 바로잡혀 있다.

68. 걸어다닐 적에 발이 땅에 닿지 아니하여 네 치쯤 떠서 땅에 자국이 나타나지 않는 것.

69. 신통력으로 스스로 유지하고 다른 이의 호위함을 받지 않는 것.

70. 위덕이 멀리 떨쳐서 선한 이들은 듣기를 좋아하고 악마나 外道들은 두려워 굴복하는 것.

71. 목소리가 화평하고 맑아서 여러 사람의 마음을 즐겁게 하는 것.

72. 중생들의 근기를 알고 그 정도에 맞추어 법문을 말하는 것.

73. 한 음성으로 을 말하되 여러 종류들이 제각기 알게 하는 것.

74. 차례로 을 말하며 각기 제 자격에 맞도록 하는 것.

75. 중생들을 고르게 보아서 원수나 친한 이가 모두 평등한 것.

76. 하는 일에 대하여 먼저 관찰하고 뒤에 실행하여 제각기 마땅함을 얻는 것.

77. 온갖 상과 호를 구족하여 아무리 보아도 다함이 없는 것.

78. 머리의 뼈가 단단하여 여러 겁을 지내더라도 부서지지 않는 것.

79. 용모가 기특하고 묘하여 향상 젊은이와 같은 것.

80. 손 발 가슴에 상서로운 복덕상과 훌륭한 모양을 구족한 것.

팔십팔향법(八十八向法)

風水 향법(向法)의 하나.

팔십팔향법(八十八向法)은 당()나라 때 구빈(救貧 楊筠松)선생의 십사진신수법(十四進神水法)과 십퇴신법(十退神法)에 두고 있다.

구빈(救貧) 양균송(楊筠松) 선생께서 이 법칙으로 백성들을 가난으로부터 구제해 주었다하여 선생의 별호를 구빈(救貧)이라고 불렀다.

이후 후대 선사(先師)들이 본법을 계승 발전시켜 현재까지 가장 많이 쓰이는 풍수(風水) 이법(理法)이다.

향법(向法)은 풍수(風水)의 기본공식이다.

龍穴砂水의 형세적(形勢的) 관찰과 판단은 보는 사람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향법(向法)은 공식화되어 있기 때문에 누가 보아도 똑같은 길흉화복(吉凶禍福)으로 평가된다.

1. 팔십팔향법(八十八向法)의 기본원칙(基本原則).

1) 나경(羅經) 二十四方位十二雙山 배합(配合)으로 운용한다.

壬子, 癸丑, 艮寅, 甲卯, 乙辰, 巽巳, 丙午, 丁未, 坤申, 庚酉, 辛戌, 乾亥.

2) 파구(破口)를 중심으로 사국(四局)을 결정한다.

木局(丁未 坤申 庚酉), 火局(辛戌 乾亥 壬子), 金局(癸丑 艮寅 甲卯), 水 局(乙辰 巽巳 丙午)의 사국(四局)을 가지고 운용한다.

3) ()을 기준으로 국()을 정할 때는 삼합오행(三合五行)으로 한다.

을 기준으로 사국(四局)을 정하는 것을 향상작국(向上作局)이다.

亥卯未이며, 乾亥 甲卯 丁未일 때는 향상목국(向上木局)이다.

寅午戌이며, 艮寅 丙午 辛戌 向은 향상화국(向上火局)이다.

巳酉丑이며, 巽巳 庚酉 癸丑 向은 향상금국(向上金局)이다.

申子辰이며, 坤申 壬子 乙辰 向은 향상수국(向上水局)이다.

4) 得水과 음양교배(陰陽交配)하는 를 기준한다.

팔십팔향법(八十八向法)은 의수입향(依水立向)이 원칙이지만 모든 가 다 입향(立向)의 의지수(依支水)가 아니다.

을 감싸고돌아 과 마주보고 음양교배(陰陽交配)할 수 있는 만이 의지 .

左側에서 得水앞을 감싸고돌아 右側으로 파구(破口)되는 좌수도우(左水倒右)하는 이나, 右側에서 得水가 혈() 앞을 감싸고돌아 좌측(左側)

으로 파구(破口)되는 우수도좌(右水倒左)하는 수()를 보고 입향(立向)을 한다.

5) 좌선룡(左旋龍)에 우선수(右旋水), 우선룡(右旋龍)에 좌선수(左旋水)가 원칙이지만 지나친 제약을 받지 말아야한다.

을 결지(結地)하는 방법(方法)에 우선룡(右旋龍)에 좌선수(左旋水), 좌선룡(左旋龍)에 우선수(右旋水)가 원칙이다.

의 좌우선(左右旋)에 지나친 제약을 받지 말고 좌우(左右) 어떤 수()이든 확실하게 용혈(龍穴)을 감싸주는 의 향()과 음양교배(陰陽交配)할 수 있는 수()이다.

6) 내파(內破)가 우선이고, 외파(外破)는 차선이다.

()에 직접적(直接的)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수()는 혈()에서 제일 가까운 수()이다.

혈지(穴地)는 내파(內破)와 외파(外破)가 같은 방위(方位)에 있는 경우가 많으나 다른 경우도 있다. 이럴 때, 내파(內破)와 외파(外破)를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방위(方位)로 입향(立向)해야 한다.

불가능(不可能)할 경우에는 내파(內破)를 우선하고 외파(外破)는 차선이다.

7) 파구(破口)는혈() 앞을 지나는 수()가 최종적(最終的)으로 나가는 곳이다.

물은 산 따라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르는 것이 원칙이다.

비록 좌청룡 우백호가 낮아 보이지 않더라도 청룡 또는 백호가 물길 따라 있다고 생각해야 된다.

()가 흐른다는 것은 지세가 그와 같은 형태로 되어있다는 뜻이다.

좌청룡 우백호가 서로 교차한 지점에서 좌우 수가 합수(合水)되고 보국 밖으로 나간다. 따라서 혈 앞을 지나는 물이 다른 물과 합수되는 지점이 내당수(內堂水)가 최종적으로 나가는 파구(破口)이다.

내파(內破)는 이곳의 방위를 나경패철 8층 천반봉침(天盤縫針)으로 측정하여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

팔십팔향(八十八向) 종류(種類)

風水 향법(向法)의 하나.

팔십팔향법(八十八向法)에는 정생향(正生向) 정왕향(正旺向) 자생향(自生向) 자왕향(自旺向) 정양향(正養向) 정묘향(正墓向) 문고소수(文庫消水) 목욕소수(沐浴消水) 태향태류(胎向胎流) 절향절류(絶向絶流) 쇠향태류(衰向胎流)가 있다.

이들은 목국(木局) 화국(火局) 금국(金局) 수국(水局)에 각각 하나씩 있으므로 44개 향이 되고, 쌍산(雙山) 배합이기 때문에 모두 팔팔향(八八向)이 된다.

나경(羅經)의 이십사방위(二十四方位)로 파구(破口)와 향()을 측정하여 놓을 수 있는 좌향(坐向)의 종류는 이론상 576개다.

이중 팔팔향(八八向)만 길()한 것이고 나머지 488()은 흉()하다.

향법 중 사국법(四局法)을 기준하여 정국)으로 立向)할 수 있는 正生向 정왕 향(正旺向) 정양향(正養向) 정묘향(正墓向) 태향태류(胎向胎流) 절향절류(絶向絶流) 쇠향태류(衰向胎流) 7向法이고, 향상작국(向上作局)을 하여 변국(變局)으로 立向할 수 있는 向法自生向 자왕향(自旺向) 문고소수(文庫消水) 목욕소수(沐浴消水)4개이다.

자생향(自生向)과 자왕향(自旺向)의 뜻은 스스로 生向과 왕향(旺向)을 얻는다는 의미에서 이름 붙여진 것이다.

향상작국(向上作局)을 중심으로 의 득수처(得水處)와 파구처(破口處), ()의 길흉화복(吉凶禍福)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수법(水法)이다.

향상으로 득수처(得水處)宮位여야하고, 파구(破口)宮位여야 길하다.

811 전진통달지의(前進通達之意)

토정비결 711 .

만리에 달하는 넓은 하늘을 일월이 환히 비추는구나. 복숭아꽃 사이에서 벌과 나비가 노닌다.

임금과 신하가 다 착하니 백성이 편안하다.

만일 식구를 더하지 않으면 공을 세우고 명성을 얻을 수다.

재앙이 사라지고 복이 돌아오니 복록이 끊이지 않으리라.

금년엔 자연히 편안해질 운수다.

맹호가 바위를 누르고 신검(神劍)이 용으로 변하는구나. 땅을 파서 물을 얻고 흙을 쌓아 산을 이룬다.

동쪽과 서쪽을 바라보고 있지만 남쪽이 가장 길하리라.

812 유순통달지의불상기신(有順通達之意不傷其身)

토정비결 812 .

물 속에 들어가도 빠지지 않고, 불 속에 들어가도 상하지 않는다.

도처에 길함이 있으니 출입하면 재물을 얻으리라. 재성(財星)이 몸을 비추니 횡재를 만나리라.

북쪽에 재물이 왕성하며 해물(海物)로 재물을 얻는다.

때를 맞춰 움직이니 반드시 성공하리라.

금년의 운수는 여색을 조심해야 할 수다.

푸른 소나무와 대나무는 그 절개를 잃지 않는다.

한 가지 뜻을 세워놓고 그 마음이 변치 않으니 공을 세우리라.

병주(竝州)가 비록 즐거운 곳이나 오래 머물지 못한다.

813 유길통달지의필유형통(有吉通達之意必有亨通)

토정비결 813 .

흉한 방향은 마땅히 피하고 길한 방향은 마땅히 따라야 하리라.

대나무를 심어 울타리를 이루니 생활이 태평하다.

재물과 곡식이 창고에 가득하니 의식이 풍족하리라.

온 들판에 봄에 돌아오니 복숭아나무가 봄을 다툰다.

재물이 북쪽에 있으니 나가면 얻으리라.

금년에 이사하면 길하리라.

다행이 귀인을 만나 서둘러 붉은 궁궐 앞에 절을 하게 된다.

복록이 많이 쌓이니 모든 일이 여의 하리라.

부지런히 힘을 쓰지 않으면 복을 어찌 기약하리요.

821 () 심고유통달지의心高有通達之意)

토정비결 821 .

용을 타고 하늘을 오르고 범을 타고 달리니 변화가 무궁하다.

우물을 파서 물을 얻으니 수고한 뒤에 반드시 재물을 얻으리라.

대나무를 심어놓고 수풀을 기다리니 어느 때에나 길할까.

남과 다투지 마라.

혹 소송이 있을까 두렵다.

삼춘(三春)에는 재수(財數)가 대길하리라.

고목이 봄을 만나니 그 빛이 천리에 미친다.

금옥이 집에 가득 차고 옥 같은 수풀이 무성하리라.

붉은 살구꽃 아래에서 우연히 가인(佳人)을 만나리라.

금관옥대를 두르고 봉궐(鳳闕)을 향해 절을 한다.

822 유길필유광명지의(有吉必有光明之意)

토정비결 822 .

활은 있어도 화살이 없으니 오는 도둑을 어떻게 막으랴.

재물도 있고 덕도 있으니 성공하기 어렵지 않다.

남의 말을 듣지 마라.

좋은 일에 마가끼리라.

이사를 하면 마침내 재물을 얻을 것이다.

모든 일을 주의해서 하라.

논밭에 험함이 있다.

마음이 고달프고 몸이 힘든 것을 한탄하지 마라.

반드시 길함이 있으리라.

한 번은 기쁘고 한 번은 슬퍼하게 되니 바로 선영(先塋)에 흠이 있기 때문이다.

남서쪽에서 재물을 잃을 수 있으니 그쪽으로 가지 마라.

친한 벗을 믿지 마라. 재물을 잃게 된다.

823 대통지의왕래지상(大通之意往來之象)

토정비결 823 .

봄이 무르익으니 꽃잎이 떨어지고 열매가 맺힌다.

오랫동안 가문 후에 단비가 내리니 이 아니 기쁜 일인가.

구름이 흩어지고 달이 나오니 그 경색(景色)이 다시 새롭구나.

강가에 풀이 푸릇하게 돋아나니 소가 좋은 풀을 만나는구나.

금년의 운수는 반드시 득남할 수다. 이와 같지 않으면 혼인을 하게 될 것이다.

우물가에 바람이 부니 오동나무가 가을인줄 먼저 안다.

몸과 마음이 다 같이 편하니 모든 일을 쉽게 이루리라.

누더기 옷을 걸치고 돌아다니던 나그네가 길()을 만났구나.

831 부정지심길변위흉(不正之心吉變爲凶)

토정비결 831 .

북망산(北邙山) 아래에 새로 멋진 집을 세운다.

흉신(凶神)이 암암리에 움직이니 가정이 불안해진다.

기도하면 흉이 길()로 변하리라.

연운(年運)이 불리하니 하는 일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

처음에는 흉하나 나중에는 길()하게 된다.

만일 친환(親患)이 아니면 슬하에 근심이 생기리라.

하늘이 늙고 땅이 거치니 영웅이 공을 세우지 못한다.

위아래 사람이 서로 불화로 처음엔 웃어도 나중엔 울게 되리라.

832 유사필중지의(有事必中之意)

토정비결 832 .

대상(大商)이 큰손으로 천금을 주무른다.

작은 풀은 봄을 만나고 연꽃은 가을을 만나 꽃을 피운다.

오랜 가뭄 끝에 비가 내리니 풀빛이 푸릇하다.

꾀하는 일은 다른 사람의 도움으로 성사되리라.

금년에는 상업을 하면 이익을 얻으리라.

귀인이 도우니 소망이 이루어진다.

쥐가 창고에 든 격이나 재물과 이익을 얻으리라.

달이 해 맑은 얼굴을 내미니 천지가 다 밝아진다.

스스로의 힘으로 귀인을 만나 일을 성사시키리라.

833 무구안정지의(無咎安靜之意)

토정비결 833 .

사방으로 말을 몰고 달리나 산과 물이 가로막는다.

목마른 용이 물을 얻으니 재수(財數)가 형통하리라.

신상에 괴로움이 있으니 누가 있어 알아주겠는가.

처음엔 힘이 드나 후에 형통하니 늦게 재물과 이익을 얻으리라.

기쁨과 근심이 서로 교차한다.

간간이 관재(官災)와 구설이 따르리라.

원앙이 즐겁게 지내는데 갈매기와 해오라기가 어찌 끼여드는가.

깊은 산 험한 곳에서 길을 잃으니 방향을 일러줄 사람이 없구나.

남으로 가고 북으로 가본들 어디에서 친한 이를 만나겠는가.

841 초수불성종필유성(初雖不成終必有成)

토정비결 841 .

나이 어린 청춘이 홍진(紅塵)을 밟는다.

가운이 대길하니 자손이 영귀하리라.

맹호가 수풀 밖으로 나오니 도처에 권위가 있다.

때가 되어 비가 내리니 온갖 곡식이 풍성하다.

만일 관록이 아니면 횡재할 수다.

신수가 대길하고 복록이 끊이지 않는다.

봄빛이 천지에 가득하니 재물이 풍성하고 집안이 화목하리라.

재물과 복이 끊이지 않으니 아들을 낳을 경사다.

모든 건물에는 주인이 있으니 자기 것을 지켜 도둑을 막아라.

842 유길무익지상(有吉無益之象)

토정비결 842 .

병이 깊으니 이름난 명의도 고치기 어렵다.

가신(家神)이 발동하니 가정이 불안하리라.

물과 불을 조심하라.

한 번은 헛되이 놀라게 된다.

재물운을 말하자면 얻는 것이 도리어 흉으로 변한다.

정월에는 재물을 잃을 수가 많다.

정월 중순에는 반드시 딸을 낳으리라.

마음이 가득 차고 뜻이 족하니 반은 잃고 반은 얻으리라.

작은 것이 나가고 큰 것이 들어오니 군자의 도가 커지리라.

지모(智謀)가 짧으니 일을 도모해도 실패하게 된다.

843 유인조력지의(有人助力之意)

토정비결 843 .

일이 끝이 없고 아득하니 마치 낮도깨비 같다.

외로운 등불에 바람이 부니 불이 꺼지고 주위가 어두워진다.

일월이 밝지 못하니 도무지 동서를 분별할 수 없구나.

친한 사람을 믿지 마라.

말만 있고 신의를 지키지 않는다.

하는 일마다 이루지 못하니 이는 타인이 속이기 때문이다.

집에 들어앉아 있으면 길하고 밖으로 나가면 불리하리라.

길을 가는 것이 편하지 못할 것이니 강물을 건너지 마라.

달은 차면 기울고 그릇은 차면 넘친다.

온갖 꽃들이 피어 있는 깊은 골짜기에서 비단옷을 입고 있어도 밤에 돌아다니니 보아주는 이 하나 없다.

851 전진형통지의(前進亨通之意) 463

토정비결 851 .

독벌레가 여러 사람의 마음을 갉아먹으니 일이 어지러워진다.

운수가 불리하니 하는 일에 막힘이 많으리라.

신상에 험함이 있으니 모든 일을 조심해서 하라.

망령되게 행동하면 후회하게 되리라.

신상에 괴로움이 있고 집안에 근심이 떠나지 않는다.

이와 같지 않으면 재물을 잃게 되리라.

길이 도리어 흉으로 변하니 그 화가 여러 사람에게 미친다.

부부가 서로 반목하니 집안이 화목하지 못하다.

이와 같지 않으면 재물을 잃게 되리라.

852 지모세인불식지의(志謨世人不識之意)

토정비결 852 .

산에 들어가 신선을 만나나 사람이 이를 알아보지 못한다.

적막한 천지에 의지할 곳 한군데가 없구나.

세상일이 마치 꿈속 같으나 이 또한 신수인 것을 어찌하랴.

곤란한 때에 집안마저 근심에 휩싸이는 것은 또 어인일인가.

동쪽으로 가지 마라.

반드시 재물을 잃으리라.

금년의 운수는 분주하게 지낼 수다.

해가 지고 갈 길이 머니 걸음걸음마다 마음만 황망하다.

앞길에 인연이 없으니 바라는 바를 어찌 하리.

시비에 끼여들지 마라.

관재(官災)가 따르리라.

853 유능유지부중지의(有能有志不中之意)

토정비결 853 .

범을 잡으러 산에 들어가니 생사를 판단하기 어렵구나.

해가 밝지 못하고 먹구름이 달빛을 가렸다.

분수의 밖의 것을 탐내지 마라.

손실만 당하고 이익은 얻지 못할 것이다.

망령되게 행동하면 불리하고 안정하면 길하리라.

삼춘(三春)에는 관사(官事)에 참여하면 불리하다.

집안이 불안하니 이 신수를 어찌할까.

삼년 동안 가무니 들에서 푸른 풀을 찾아볼 수 없다.

서로 다투니 푸른 물결 위에 눈물을 뿌리게 되리라.

꽃다운 여인과 인연을 맺으리라.

861 실시이동부적당지의(失時而動不適當之意)

토정비결 861 .

석양이 지니 길을 돌아가던 나그네의 발걸음이 바빠진다.

십년이나 노력해온 일을 눈앞에서 놓치고 만다.

길을 나섰으나 마()를 잃었었으니 어떻게 원행 할 수 있을까.

처음엔 손해를 봐도 나중에 다시 얻으니 늦게 재물이 생기리라.

만일 집안에 근심이 생기지 않으면 한 번은 병에 걸릴 것이다.

금년의 운수는 기쁨과 근심이 상반되는 수다.

세 사람을 동행하고 있지만 서로 속마음이 달라 한 사람도 믿을 수 없다.

게를 잡아 물에 놓아주고 닭을 쫓다 울타리만 쳐다본다.

흉살(凶殺)이 닥치니 질고(疾苦)가 떠나질 않는다.

862 약부대시무불리지의(若不待時無不利之意)

토정비결 862 .

포를 발사하는 소리가 우렁차게 울려 퍼지니 온갖 금수(禽獸)가 다 놀란다.

처음엔 힘이 드나 나중에 길하게 될 것이다.

한 번은 기쁘고 한 번은 슬프며 구설이 따르니 조심하라.

마음에 정한 바가 없으니 수고해도 공이 없다.

횡재하지 않으면 한번 헛되이 놀라리라.

금년에는 횡액이 따르니 조심하라.

맹호가 바위를 짊어지니 빛이 밝고 거칠 것이 없다.

물결 위에 배를 띄우니 흉은 많고 길함은 적으리라.

록이 하늘에서 내려오니 꾀하는 일을 이루리라.

863 진달영귀지의(進達榮貴之意)

토정비결 863 .

동풍이 부니 봄꽃이 활짝 피어난다.

땅을 파서 금을 얻으니 이는 순전히 노력의 대가다.

가운이 길하니 재록이 끊이지 않으리라.

뜻밖에 공을 세우고 명성을 얻으니 사방에 이름을 떨치리라.

부귀를 함께 누리니 사람들이 우러러본다.

도처에 권리가 있으니 가정에 기쁨이 가득하다.

보검(寶劍)을 얻으니 신하가 임금을 만난다.

배를 타고 여울을 건너니 밖은 허해도 안은 실하다.

공을 세우고 명성을 얻으니 치하하는 객이 문 앞에 줄을 선다.

.....................계속





 

 



'역학백과사전-ㅍ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학사전-ㅍ-6  (0) 2017.10.15
역학사전-ㅍ-5  (0) 2017.10.15
역학사전-ㅍ-4  (0) 2017.10.15
역학사전-ㅍ-3  (0) 2017.07.19
역학사전-ㅍ-1  (0) 2017.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