ㅇ부-6
양화지옥
거대한 업화(業火)의 불길이 타오르는 곳이다.
옥졸이 죄인에게 불길의 무게를 재라고 한다. 그러면 온몸이 다 타버린다.
어감(語感)
말 또는 말소리에서 느껴지는 독특한 느낌. 말 맛
어깨(견肩)
어깨는 두텁고 평평하며 탄력이 있는 것을 길상이라 하고 살이 없으면 운세도 약하다.
어깨는 약간 높은 것이 복록이 오고 너무 아래로 처진 것은 빈곤한 상이다.
얼굴이 모진 사람은 어깨가 넓어야 성공하고 어깨가 심하게 좁으면 빈천하다.
어깨가 넓다 해도 팔이 가늘고 연약하면 막히는 일이 많고 건강하지 못하며 어깨가 아래로 처지고 살이 없으면 빈천하다.
어깨는 좌우의 높이가 같아야 하나 어깨가 높은 자는 자수성가하고 왼쪽 어깨가 높으면 패가망신한다.
어고(魚鼓)
목어(木魚)의 다른 이름.
본래는 물고기 형상으로 만든 판고(板鼓)를 매달고 쳤다.
현재의 목탁(木鐸)은 옥린(玉鱗)현상으로 달았다.
어라만수
무속용어의 하나.
백제의 방언에서 왕을 어라하, 왕비를 어육하라 함으로 우리 왕 만세라는 뜻이다.
어마군웅(馭馬群雄)
무속용어의 하나.
말을 타고 오는 군웅의 신을 말한다.
어문(魚紋)
진궁에 나타나는 문을 어문이라고 한다.
이 상이 있는 남성은 정결한 부인을 얻어 일생을 득을 보며 사는 상이며 많은 재물을 나내지는 않았으나 내조의 공으로 행복한 일생을 보내는 상이다.
어병사(御屛砂)
혈판(穴坂) 뒤에 평풍을 두른 뜻이 순(順)한 산(山)이 양명(陽明)하게 둘러 감싸준 것을 어병사(御屛砂)라고 하며 이런 곳에 묘를 쓰면 왕비가 난다.
어비대왕(魚鼻大王)
무속용어의 하나.
신라 헌강왕 때의 용의 아들 처용량을 말한다.
아내는 바리공주라고 한다.
어안(魚眼) 고기 눈
고기의 눈 모양과 같이 밖으로 튀어나온 모양이며 눈빛이 물빛 모양이며 물건을 볼 때 어지러움을 갖게 한다.
어안은 단명하며 흉함이 많다.
특히 주의할 것은 출생 후 백일 안에 죽을 수도 있다.
억부용신(抑扶用神)
용신법(用神法)의 하나.
四柱의 我의 日干을 중심으로 月支롸 日支를 살피고 주변 세력을 분석하여 四柱가 신강인지 신약인지를 가리어 신약이면 日干을 도와주고 신강이면 억류시키는 六親를 선택하는 것을 억부용신. 강자억 약자부(强者抑 弱者扶. 강한 자는 누르고 약한 자는 도와주다.
언어도단(言語道斷)
어이가 없는 말을 듣고 기가 막힐 때 또는 무경우(無境遇)한 말 등을 할 때, 당치도 않다는 뜻으로 쓰인다. 본래는 불교에서 “말로는 도저히 표현할 수 없는 심오한 진리” 라는 뜻으로 쓰인 말이다.
법화경(法華經) 안락행품(安樂行品)에 “일체의 법은 공하여, 언어(言語) 도(道)도 끊어져서(斷) 불생(不生) 불출(不出) 불기(不起)하여, 상도 없고 실로 있는 바가 없으므로” 라고 했다.
즉 말도 도도 다 끊어진 경지라는 뜻이다.
유마경(維摩經) 아촉불품(阿促不品)에 “일체의 언어도단이니” 했고, 또 지관(止觀)에는 “언어도단, 심행처멸(心行處滅)이므로 이를 일러 불가사의경이라 한다”고 했고, 또 인왕경(仁王經)에는 “심행처멸, 언어도단은 곧 진제(眞際 진리를 탐구하여 끝 간 데)와 같다. 따라서 법성(法性)과 같다”고 했다.
즉 언어도단의 경지는 곧 실제(實際)인 깨달음의 경지를 일컫는 말이다.
얼굴 점(點)
옛글에 얼굴에 좋은 점이 없고 몸에는 나쁜 점이 없다라 하여 얼굴에 생기는 점은 좋지 않다고 하였다. 그러나 얼굴에 점이 있다고 해서 전부 나쁜 것은 아니고 대개는 좋지 않은 점이 많다고 해서 확률적으로 논한 말이다.
점은 그 빛깔이 대개 검은 것이 많으므로 흑지라 한다. 또 흰색 빨강색 붉 은색 누른색 회색 등 여러 가지의 빛깔을 띈 것이 있다. 좋은 부위에 있는 점이라도 빛깔이 검고 윤택하여야 길하다.
빨간빛은 주사와 같아야 길하다.
점이 검붉은 빛깔이면 구설과 시비가 따른다.
점이 백색이면 우환과 형액이 생긴다.
점이 황색이면 중도에서 좌절과 실각한다.
점이 칠성 혹은 오성의 격을 이루면 좋다. 오직 두 눈썹(여자는불길) 두귀
입술 등 몇 군데를 제외하고는 얼굴 전체가 다 불길한 곳이다. 그러므로
점은 눈에 잘 보이는 곳에 있으면 불길하고 잘 보이지 않는 곳(눈썹 입속 귓속 몸속)에 있으면 길하다고 한다.
왼쪽 눈썹 : 재물이 풍족하다.
오른쪽눈썹 : 건강 장수하다.
이마 위 머릿속 : 부귀하다.
이마 위 칠성 : 대귀하다.
귓바퀴끝 : 총명 지혜롭다.
귓속 : 장수한다.
귓바퀴 : 재물이 풍족하다.
입술 : 주식이 따른다.
일각 : 아버지 일찍 사망.
월각 : 어머니 일찍 사망.
명궁 : 항상 불리.
인당 : 남편을 극함.
산근 : 관액이 따름.
연상 : 전사 빈곤.
수상 : 질병.
준두 : 총상 교통액.
인중 : 장수한다.
승장 : 취중객사.
지각 : 전택 부족.
입술(진상唇上) : 길함.
코옆(비측鼻側) : 전염병사망.
눈위(목상目上) : 빈곤하다.
입곁(구측口側) : 재물 빈곤.
혀위(설상舌上) : 허망한 말을 잘함.
구각(口角) : 시비 구설수 많다.
좌상(左箱) : 단명.
고광(高廣) : 조실부모.
호각(胡角) : 전사.
무고(武庫) : 전사.
겁문 : 총상 불구 단명.
천정 : 수액(물).
명문 : 화액(불).
부좌 : 과부.
처좌 : 홀아비.
기당 : 부부이별.
천중 : 청귀.
천정 : 길함
중정 : 길함.
금궤 : 재산을 파함.
상묘 : 허송세월.
복사 : 도적의 운명.
소사 : 천빈운.
외옥 : 주거 궁함.
갱참 : 낙상수.
묘상 : 객사.
형제궁 : 독신, 형제 무덕.
부부궁 : 상처, 상부.
자녀궁 : 자녀를 극함.
재백궁 : 재산이 흩어짐.
관록궁 : 관운이 막힘.
천이궁 : 동분서주.
복덕궁 : 빈궁하고 인덕 무.
질액궁 : 건강이 나쁨.
전택궁 : 유산은 파, 빈곤.
노복궁 : 부하가 없고 있더라도 주인을 배반함.
사공(司空) : 남자는 무방하나 여자는 불길.
좌우관골(左右觀骨) : 재산을 파하고 거관실직.
도부(盜部) : 간교로운 도적.
조택(組宅) : 자주 이사.
얼굴 주름
사람마다 얼굴에는 주름이 있다.
젊어서는 없던 사람도 중년에 접어들면서부터 차츰 주름이 생기기 마련이며 어려서부터 이마에 주름이 잡힌 사람도 많다.
나이가 먹음에 따라 주름이 잡히는 것은 자연적인 현상이지만 젊어서도 자세히 살펴보면 보일 듯 말 듯 하게 주름이 이어져있다.
어쩌면 얼굴의 주름이란 그 사람의 연륜을 상징하는 표시이기도 하지만 꼭 그렇다고 볼 수 없는 것이니 얼굴에 살이 차고 윤택한 사람은 주름이 적고 살이 빠져 마른 사람은 주름이 많다.
고생을 많이 하면 주름이 생기고 고생을 안 하면 주름이 적다.
얼굴의 주름은 미관상으로 보아도 없는 것이 훨씬 좋으나 인상학적으로 논할 때 부귀 장수하는 주름도 있으며 빈천 단명한 주름도 있으니 주름의 유무에만 국한해서 운이 좋고 나쁜 것을 판단하는 것이 아니다.
이마에 세 가닥의 주름이 분명하게 있는 것을 언얼문이라 하는데 이 무늬가 있는 사람은 대귀하다.
왕(王)자 무늬가 있으면 황후의 상이다.
이마 상부에 두 가닥 무늬가 세로로 뻗어 두 눈썹 사이 인당까지 이른 것을 천주문이라 하는데 이것이 있는 사람은 귀하게 된다.
이마에 세 가닥 주름이 가로로 얽힌 사람은 일찍 부친을 잃는다.
한 가닥의 주름이 굽게 있으면 노중 객사한다.
이마에 가로주름이 끊이지 않고 있는 것을 화개문이라 하는데 이 주름이 중첩되어 있으면 고독하고 슬하에 자식이 없다.
井자 十자 山자 乙자 모양의 무늬는 길상으로 부귀한다.
이마 위 난문이 이리저리 얽힌 사람은 재앙이 많으며 빈곤하게 살아간다.
여자가 이마 위에 三자 주름이 있으면 남편을 극하고 자식을 일찍 잃는다.
누 눈썹사이 인당에 川자 주름이 있으면 총명하고 재물이 풍성하게 된다.
코 위에 갈고리 같은 무늬가 있으면 양자를 둔다.
범령 주름은 넓게 뻗어야 좋은데 길면 장수하고 입으로 닿으면 아사한다.
눈썹 위에 八자 모양의 주름이 있으면 처를 극한다.
井자 모양 주름이 눈꼬리 밑에 있으면 자애문이라 하여 목매어 자살한다.
산근에 土자 士자 모양의 무늬가 있으면 귀하게 된다.
귀 아래 살에 갈고리 무늬가 있으면 굶어 죽도록 가난하다.
코 위 가로 세로로 주름이 어지럽게 있으면 조업을 파하고 고향을 떠난다.
코 위에 가로 주름이 있으면 자식이 죽고 인당문이 곧게 내려오면 파산을 하며 볼 밑에 가로진 주름은 악사 한다.
입술이 주름 잡힌 사람은 고단하고 산근에 주름이 있으면 재산을 소모하고 눈에 주름이 지면 육친의 덕이 없다.
어형(魚形)
어형(魚形)은 물고기의 형상.
머리와 턱이 뾰족하고 얼굴이 긴 편이며 눈에 흰 창이 많고 입이 몹시 작으나 앞으로 내민 듯하고 잠을 잘 때 눈을 뜨고 자는 버릇이 있다. 이러한 상을 가지면 단명 한다.
얼새남 굿
얼새남 굿은 중류층 사람들이 행하는 진오기 굿의 하나이다.
엄무(掩茂)
地支 이아(爾雅)의 하나.
地支의 戌을 엄무(掩茂)라 하며 엄(掩)은 엄폐하는 것이고 무(茂)는 덮는 것이니 만물을 다 가리고 덮는 것이다.
엄지 (모지母指)
1) 엄지를 보는 법. 엄지를 일명 모지(母指)라하며, 수상학에서 엄지는 대단히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만약 엄지가 좋지 않으면 나머지 네 개의 손가락이 아무리 좋은 상태를 가지고 있더라도 그 좋은 의미는 반감된다.
이 엄지는 뇌와 밀접한 관계이다.
병자로서 죽을 때가 가까워진 사람은 이 엄지가 손바닥 안으로 꾸부려 들어가며 힘없이 주먹을 쥐고 만다. 또 지능정도가 매우 낮은 사람의 엄지는 매우 못생겼다.
엄지는 오행으로 목(木)에 해당함으로 곡직의 개성과 솟아나고 싶음이 대단함을 나타낸다.
2) 엄지와 검지의 간격.
엄지와 검지가 극단으로 떨어져 있는 사람은 독립정신이 왕성한 사람이고 지배력도 강한 성격의 소유자다.
자연이 사교성은 없다.
또 대단한 활동가인 동시에 낭비가 이기도 하다.
엄지와 검지와의 사이가 좁은 사람은 독립심과 생활력이 부족한 사람이다.
뿐만 아니라 마음이 약하고 명랑하지 못한 성격의 소유자이다.
엄지의 모양이 갖추어져 있고 그 외에 검지와의 사이가 적당한 사람은 대단히 좋은 운명을 가지고 태어난 사람이고 독립심도 있고 적당한 사교성과 사려가 깊다.
3) 엄지의 모양. 엄지는 그 사람의 뇌 상태를 반영하는 것으로 이 엄지의 모양에 따라 사람의 개성을 판단할 수 있다. 예부터 재주가 있는 사람의 엄
지는 독사 뱀의 머리 모양을 하고 있다고 한다.
(1)의 그림과 같이 엄지의 손가락 끝이 두껍게 되어있는 사람은 조잡한 성격에 만사에 둔감하고 취미 기호도 낮은 사람이다.
(2)의 그림처럼 엄지의 끝이 폭이 넓은 모양의 사람은 자기 멋대로의 성격을 가지고 있는데다가 완고하고 외고집 성격이다.
(3) 의 그림과 같은 엄지의 사람은 지능에 있어서 우수한 재능을 나타내는 사람이고 사교성이 뛰어난 사람이다.
(4) 의 그림과 같이 모양이 늘씬하고 고르게 되어있는 사람은 성격 행동 모두 모가 나지 않은 사람이고 취미도 고급적.
(5) 의 그림과 같은 엄지 같이 보기가 추한 모양을 가진 사람은 단순하고 사물에 대하여 둔감한 사람이다.
(1)의 그림처럼 잘 휘어넘어가는 엄지의 상은 사교성 있는 사람으로서 만사에 순응성이 풍부하고 돈 쓰는 것이 헤프다.
(2)의 그림과 같이 엄지가 비교적 딱딱하여 잘 휘어 넘어 가지 않는 사람은 상식인이고 사물에 조심성이 깊은 성질을 가진 사람이다.
4) 엄지의 관절.
엄지의 관절에 대해서는 수상학에서는 대단히 중요하게 보 고 있다.
이 엄지를 세 구분하여 제각기 그 중요한 뜻이 거기에 나타나고 있다.
인간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지의정(智意精)의 큰 힘이 여기에 나타나 있다고 볼 수 있다.
제1부분은 의(意)를 나타내고, 제2부분은 지(智)를 나타내고, 제3부분은 정(精)을 나타내고 있다. 이 세 부분이 긴가 짧은가. 살붙이가 좋은가 나쁜가를 보고 이 의지정의 세 요소의 발달 상태를 알아보자 하는 것이다.
① 제1부분. 엄지의 끝쪽 손톱을 포함한 부분이다. 여기는 의(意)를 나타낸다.
의지력 실행력 결단력을 나타낸다. 이 부분이 다른 부위보다 긴 상은 좀 폭력적인 데가 있고 똑똑하고 사람을 사람으로 생각지 않는 다는 식의 생각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사람은 평상시의 행동도 유별하다.
강한 성격과 건전한 실행력을 가지고 있다.
반대로 짧은 상은 의지력이 약한 사람이다.
계획과 이론에는 우수하지만 실행력이 부족하다. 이 부분이 극단으로 짧은 사람은 의지력이 전혀 없고 약한 사람이다.
② 제2부분. 이 부분은 지(智) 즉 이성(理性)과 이론의 정신적인 방면을 맡아 보는 부분이다. 이 부분이 다른 부위에 비하여 매우 긴 사람은 이성이 센 사람으로서 대단히 의논을 좋아하는 데가 있고 실행력이 좀 부족하다.
약간 긴 사람은 자기의 이론에 납득이 안가면 실행하지 않는다는 정통의 이론 파라고 할 수 있다.
반대로 극단으로 짧은 사람은 이론 추리력이 빈약한 성격의 사람이다.
③ 제3부분. 이 부분은 정(情) 즉 애정 성욕을 나타내는 곳이다. 이 부분이 발달한 사람은 애정이 풍부하고 자칫하면 향락에만 빠지기 쉬운 사람이 되기 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