ㄷ부-10
21) 고로성(苦勞性)의 상
생명선에서 갈라져 나온 금과 같이 보이는 두뇌선 (ㄱ.ㄴ)은 전기와 같이 쓸데없는 수고가 많으며 신경과민의 성격의 사람이다.
조심성이 극도로 많아 소극적인 사람이며 겁이 많아 무엇을 하여도 성공 하지 못하는 사람에게 많은 상이다.
22) 인색가(吝嗇家)의 상
두뇌선의 끝 부분이 무명지의 맨 끝 즉, 태양구의 방향에 구부러져 달려 (ㄷ.ㄹ)을 끊고 있는 상은 돈에 집착하는 사람의 상이다.
자기만 생각하고 자기의 이익을 위해서는 무엇이고 희생시킨다는 극단한 금전 집착가이다.
이 상의 사람은 야망 목적달성을 위해서는 연애나 우정이나 의리도 안중에 없다는 상이며 감정선(ㄷ.ㄹ)이 나쁘면 금전 범죄를 저지를 사람이 될 수 있다.
23) 불능자(不能者)의 상
두뇌선이 얕고 폭이 넓고 흩어져 있는 상의 사람은(ㄱ.ㄴ) 머리가 둔한 것을 나타낸다.
사물에 대한 이해력과 사고력이 모자라 끈기가 없는 사람이다.
두뇌선이 이와 같은 상을 하고 있고 생명선이 나쁜 상을 하고 있으면 나쁜 뜻은 한층 더하여 진다.
또 두뇌선이 극단적으로 가늘거나 짧거나 하면 자기의 지혜를 사람들에게 자랑하는 사람이 되고 다른 사람들로부터 미움을 받는 성격의 소유자가 된다
24) 중년(中年)에 머리가 나빠지는 상
두뇌선(ㄱ.ㄴ)이 옆으로 뻗어있는 상으로 소지의 맨 끝 즉, 수성구의 아랫부분에 섬형(가)이 나타나는 상은 중년이 지나면서 머리가 약해지고 사고력이 쇠퇴해지는 것을 뜻하고 있다.
25) 영고성쇠(榮枯盛衰)의 상
두뇌선과 감정선이 합하여 한 가닥이 되어 있는 사이 있다.
이것을 서양 수상학에서는 까다로운 성격이고 집착심이 강한 상의 손이라 설명하고, 동양에서는 이것을 많은 재물을 모을 수 있는 대성공자의 상이라 설명하고 있다.
집착심이 강한 일도 있을 것이며 대 성공 자에게도 많이 있는 상이다.
일을 크게 기획하고 그것을 실행에 옮기여 그 성공을 주시하는 일, 이러한 커다란 변화가 많은 방면의 남성적인 매력과 정력의 집착을 가졌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동양수상에서 큰 부를 치부한다기보다도 일에 집착하여 그것을 성공시켜 쌓아올린 결과의 보수로서 재물을 얻는 것이니 보통재산가의 거부의 이와는 다소 의미가 다르다.
재물을 얻어도 길게 보존한다는 일은 못하고 다른 큰일에 쏟아 넣어 한 푼도 없이 되어버리는 일이 종종있다.
운명적으로 큰 변 화를 바라면서 일생을 마치는 사람이며 운명선 태양선의 나옴의 여하로서는 그 판단도 상당히 달라진다.
성격은 대범하고 강한 의지와 실행력을 형유하고 있다.
여성은 기가 강한 격렬한 성격의 사람으로 남자같이 큰일을 해치우는 사람으로 독립부인형의 사람이며 연애를 하면 그 한곳으로 쏟는 성격 때문에 격렬한 연애를 할 상이다.
26) 정신면(精神面)의 변화(變化)를 나타내는 상
두뇌선이 곧바로 손바닥을 가로지른 상이라도 또 코브를 그리며 경사한 상이라도 그금이 도중에서 변하는 상은 정신적면의 변화를 말한다.
즉 곧바른 선(ㄱ.나)이 커브를 하면(ㄱ.나.ㄴ) 실무적에서 정신면으로 변하는 것을 나타내며 커브의 선(ㄱ.가)이 곧바로(ㄱ.가.ㄴ)되었더라면 정신면에서 실무적으로 변화한 것을 나타낸다.
이것은 본래 그 사람의 성격이 여러 가지 운명적 변화에 의하여 개혁되는 것을 피지 못하게 될 것을 나타내며 예를 들어 문학자가 생활 때문에 금전적인 방면으로 관계되고 또 사업가가 여유가 생겨서 정신면인 취미로 향하는 것 등이다.
27) 다예다재(多藝多才)의 상
두뇌선(ㄱ.ㄴ)의 말단이 제2 화성구에서 세 갈래로 갈라져 각각 수성구의 아래쪽(가) 월구의 중부(나) 월구의 아래쪽(다)로 갈라지는 상이다.
이것은 상식과 상상과 상재와 예술을 아울러 가지고 있는 뛰어난 지능력을 나타내는 상이다.
상식가이며 사물에 순응성이 있고 취미도 풍부한 성격으로 다예다재, 모든 사회를 통하여 제1인자가 될 수 있는 상이다.
만약 이 상의 사람이 태양선과 운명선이 좋으면 굉장한 인기 명성을 얻고 그리고 물질적으로도 성공할 사람이다.
28) 쇠운(衰運)의 상
두뇌선(ㄱ.ㄴ)이 생명선(ㄷ.ㄹ)에서 떨어져서 시작하고 이 생명선과 두뇌선 사이에 십자형(가)가 나타나 있는 상의 사람은 쇠운을 말하는 것으로 노력과 인내를 극복하지 않고서는 인생의 낙오자가 될 위험이 있다.
29) 소심자(小心者)의 상
두뇌선(ㄱ.ㄴ)의 가운데쯤에서(가) 가늘고 잔 지선이 아래로 내려온 상이 있다.
이 사람은 머리는 비교적 좋으나 소심한 점과 무슨 일을 쉽게 단념해 버리기 쉬운 약한 성격이 재(災)를 입어 피치 못할 사람에게 많은 것이다.
조그마한 일에 집착하기 쉽고 인내력이 없어 실패를 가져오는 결과가 되니 먼저 자신의 강한 의지를 기르도록 하여야 한다.
만일 이 두뇌선을 가진 사람으로 감정선이 헝클어져 있으면 지나치게 사람을 싫어하고 고독한 사람이 되고 더 한층 자기의 사교성을 축소시키는 일이 된다.
30) 작은 재간이 있는 상
두뇌선(ㄱ.ㄴ)의 중간쯤(가)에서 위로 향하여 오르는 가는 지선이 나타나는 상은 잔재주가 있고 사물을 세밀하게 처리하는 사람에게서 볼 수 있는 상이다.
즉, 전기의 상의 사람과 반대로 무엇인가 항상 새로운 것을 구하여 여러 가지로 수단과 방법을 바꾸어가며 일을 하는 사람이기는 하나 이 가는 지선은 그렇게까지 강한 뜻을 가지고 있지 않으니 대성공까지는 이루기 힘든 상이다.
이 상은 그저 재간을 믿고 많은 일에 손을 대어 여러 가지를 하여 보지만 그 한 가지에만 집중하지 못하는 성격을 결국 매사에 크게 하지 못하는 중에 또 다른 일에 옮겨가는 사람으로서 다재하다는 것으로 끝나는 사람이다.
31) 물질욕(物質慾)이 강한 상
두뇌선이 극단적으로 짧은 상(ㄱ.ㄴ)의 사람이 있다.
생명선에서 시작한 두뇌선이 토성구의 아래에서 끝나는 경우는 이 짧은 상에 해당된다.
두뇌선이 짧은 상의 사람은 사상이 극히 물질적이어서 공상력 상상력이 모자라고 두뇌의 발달도 그다지 좋지 않고 의사(意思)의 움직임도 약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원래 두뇌선은 긴 것이 좋고 짧은 것이 나쁜 것이라고 말하는 것은 아니다.
길어도 극단적으로 월구쪽에 향하는 것이니 (섬)이나 흐트러짐 등이 있는 두뇌선 보다는 다소 짧더라도 깊고 똑똑한 금이 한층 더 좋다.
그러나 극단이 짧은 두뇌선은 성격이 물질적일 뿐 아니라 단명한 것을 나타내는 수가 많다.
만약에 생명선이 짧거나 (흐트러짐) 끊어짐 등이 있고 두뇌선이 짧은 사람은 생활력이 극히 없거나 또는 정신박약으로 단명한 생애를 보내게 된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단명하지 않은 사람은 대단히 하급 생활을 하게 된다.
32) 위험(危險)에서 빠져나오는 상
두뇌선(ㄱ.ㄴ)의 위에 보호를 의미하는 사가형의 기호(가)가 나타나 있는 상은 생명선의 끊어진 데가 있는 곳과 같이 대단히 위험한 일을 당하게 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보호하는 사각형 때문에 아슬아슬하게 그 재앙에서 벗어날 수 있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그 사고가 일어나는 시기는 생명선과 운명선과의 유년에 따라 판단 할 수 있다.
33) 급병(急病)의 상
두뇌선의 끝에 별형의 기호(ㄱ.ㄴ)가 나타나있는 상은 급한 병을 나타낸다.
그 병은 급하기 때문에 죽음을 의미하며 생명선의 상에 관계가 깊고 이것에 의하여 판단의 정확을 기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생명선에도 별형의 기호(ㄱ.ㄷ)가 나타나 있으면 목숨은 건지지 못하고, 같은 생명선이(가)와 같이 끊어져 있어도 급사의 상이다.
34) 악성유전(惡性遺傳)의 상
두뇌선이 파상형을 하고 있는 상의 사람은 머리도 나쁘고 기억력도 둔한 사람이다.
이러한 사람은 부모로부터 악성유전을 받은 결과로 이러한 금이 되는 사람이 많고 알코올 악성유전을 나타내는 것이다.
만약 이 두뇌선이 파상선을 하고 있고 그 뻗은 방향이 월구의 아래쪽이라면 상식에 어긋나는 행동을 하든가 또는 발광 등의 가능성이 매우 높다.
35) 신경(神經)이 약한 상
두뇌선(ㄱ.ㄴ)의 위에 나타나는 섬형의 기호(가.나)는 그 사람의 신경계통의 움직임이 약함을 나타내고 있고 자연 지능도 약한 사람이다.
보통 섬형은 장지의 근원 즉, 토성구의 아래에 나타나는 것(나)이나 이것은 머리를 지나치게 사용하며 피로한 상이며 휴양을 요한다.
두뇌선의 위에 나타나는 섬형의 기호는 그것이 나온 언덕의 의미를 약하게 하며 그 언덕의 결점을 많이 내며 그 언덕의 의미에다 머리를 지나치게 써 신경장애를 일으키는 것이다.
검지의 아래, 즉, 목성구의 아래에 나오는 섬형의 기호(가)는 소년시절에 머리가 약하였다고 판단하는 수상가도 있으나 이것은 잘못된 판단이다.
오히려 이것은 선천적인 두뇌장애로 보는 것이 맞는다.
36) 기억력(記憶力)이 약한 상
두뇌선은 길고 깊고 가는 형으로 붉은 색을 띠고 헝클어져 있지 않은 것을 최상으로 한다.
그러나 두뇌선이 쇠사슬형을 하고 있는 금(ㄱ.ㄴ)의 경우는 그 사람이 무기력과 기억력이 약한 것을 나타낸다.
지능의 작용도 나쁘고 일정한 사상도 못 가지고 결단력도 없고 대개는 가벼운 신경쇠약성의 두통증을 가진 사람의 상이다.
그리고 항상 실행력이 따르지 않는 공상만을 쫓고 있는 상이다.
37) 머리의 병 상
두뇌선(ㄱ.ㄴ)의 위에 나타나는 섬형의 기호(가)는 신경이 약하고 머리의 병을 앓는 것을 나타내는 상이다.
만약 그 두뇌선의 섬형의 기호(가)가 끊어지고 붙지 않는 것은 머리의 병으로 사망하는 것을 나타낸다.
또 두뇌선이 끊어져 있어도 그 끊어진 곳이 이중으로 겹쳐있으면(나)가벼운 신경장애나 머리의 질환으로 본다.
38) 싫증이 나기 쉬운 상
두뇌선(ㄱ.ㄴ)이 사슬형으로 되어있는 상은 생각이 산만하여 사물에 정신을 집중할 수 없는 성격이다.
이것은 기억력이 다른 사람보다 열등한 것과 감정가인 것이 원인이 된다.
만일 생명선(ㄱ.ㄷ)도 두뇌선과 같은 쇠사슬형이면 신체 특히 정신력이 불건전하여 일이나 학업이 몸에 배지 않고 항상 불안정한 생활을 보내게 된다.
이러한 상의 여성은 침착성이 없기 때문에 남성에게 유혹되거나 또는 스스로 좋아서 이 같은 행동을 취하기 쉽다.
또한 감정선도 쇠사슬형을 하고 있으면 감정이 가는 대로 행동하여 자기의 언동에 책임을 지지 않는 무절조한 사람이 된다.
일보다도 색과 연애에 끌리는 성격이 되고 애욕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39) 머리에 부상을 당할 상
두뇌선(ㄱ.ㄴ)이 도중에서 크게 끊어져 있어 그것을 보충할만한 것이 없는 상은 생명을 잃어버린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고 두뇌의 장애나 머리의 부상이 원인이 될 것이다.
또 머리에 관계되는 부상뿐만 아니라 수족도 부상을 당하는 수가 있다.
그러나 그것은 수족의 신경계통을 침해당하는 것을 의미하고 만약 수족의 부상으로 생명선에 이상이 없으면 생명은 건질 수 있으나 수족의 신경계에 이상이 나타난다.
두뇌선이 크게 끊어진 것은 머리의 고장이라기보다 넓은 의미의 잃어버릴 사람은 생명선에도 무엇인가 큰 나쁜 상이 나와 있고 만약 그것이 없으면 생명은 건진다.
40) 심한 신경쇠약(神經衰弱)상
두뇌선(ㄱ.ㄴ)의 도중에 섬형(ㄱ.ㄴ위의 가)이 있는 것은 신경질환이라는 것을 전기하였지만 만약에 그 섬형이 있는 두뇌선(ㄱ.ㄴ)에서 갈라진 지선(나.다)이 감정선(ㄷ.ㄹ)을 향하 신경장애 정신면의 장애로 해석하는 것이 좋다.
두뇌선이 끊어져 생명을 이여 나가고 있는 상을 하고 있으면 그것은 건강선이라 볼 것이며 대단히 흉한 의미가 된다.
즉 심한 신경쇠약을 앓거나 또는 뇌막염 등의 무거운 병을 얻는 것을 나타낸다.
만일 그 섬형이 토성구의 아래라면 그 사람의 고독 증에서 오는 심한 노이로제이다.
41) 신경계통의 부상의 상
두뇌선(ㄱ.ㄴ)에 접하여 나타나는 십자형의 기호는 두뇌의 장애나 부상을 의미하며 넓은 의미의 신경장애로 보아도 좋다.
검지의 근원 즉, 목성구의 부분의 두뇌선에 나타나는 십자형의 기호(가)는 그 사람의 지배욕 권세욕 등이 너무 강하므로 거기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의 장애로 인한 재난이나 부상이다.
또 무명지의 근원 태양구의 아랫부분의 두뇌선에 나타나는 십자형의 기호(나)는 높은 곳에서 떨어지든지 일을 하는 도중에 돌발적으로 일어나는 재난에 의한 신경장애인 것을 의미한다.
여성의 상으로 두뇌의 끝에 나타나는 십자형의 기호(다)는 부인과질환 난산 등을 나타내고 있다.
42) 실명(失明)의 상
두뇌선(ㄱ.ㄴ)의 도중에 나타나는 섬형으로 그 섬형이 무명지 아래 즉 태양구의 아래에 나타나는 상(가)은 눈의 병이나 심장의 병을 앓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만일 그 외의 생명선(ㄱ)의 도중에 원환이 나타나 있으면 실명을 의미한다.
43) 돌발적 사고의 상
두뇌선(ㄱ.ㄴ)상의 십자형의 기호로서 장지의 밑 토성구의 아랫부분의 두뇌선에 나타나는 십자형의 기호(ㄱ.ㄴ위의 가)는 교통사고 또는 광산의 폭발 등의 돌발적인 재난에 의한 신경장애를 나타내고 있다.
소지의 맨 밑 수성구의 아랫부분의 두뇌선에 나타나는 십자형의 기호(ㄱ.ㄴ위의 나)는 약품사고 등의 직장에 있어서의 재난을 나타낸다.
44) 부인과 질환의 상
두뇌선(ㄱ.ㄴ)위에 나타나는 별형의 기호(가)는 뇌일혈 뇌진탕 신경부상 등을 나타내고 어느 것이나 급성의 증상을 나타내고 있다.
여성으로 이 두뇌선에 별형의 기호가 있는 사람은 산부인과 질환이 나쁘고 자녀가 없는 사람이 많다.
또 산산 조산도 많다. 만일 건강선이 나타나 있고 그 건강선(ㄷ.ㄹ)과 두뇌선(ㄱ.ㄴ)의 교차점(나)에 별형의 기호(나)가 나타나 있으면 자궁 등의 질환으로 생명을 잃는 수가 많다.
45) 신경이 약한 상
두뇌선(ㄱ.ㄴ)을 새로로 끊은 가는 금이 나타나 있는 상이 있다 (가)이것은 신경이 약한 것을 나타내는 것이며 항시 골치가 아프든가 잔걱정을 많이 하는 감정가라고 하는 사람들에게서 볼 수 있다.
또 만약 이 끊는 금이 크거나 굵고 길거나 붉은 색을 띄고 있는 뜻 전체가 붉은 색을 하고 있는 사람으로 이 상이 나와 있으면 급성심장질환 한 금(나)이면 중한 뇌병을 의미하고 중풍을 생각할 수 있다.
또 손바닥으로 쓰러지는 수도 있다.
46) 뇌병의 상
두뇌선(ㄱ.ㄴ)에 나타나는 반점(가.나) 부상이나 뇌신경의 급성을 나타낸다.
그 반점이 백색을 하고 있는 경우는 신경쇠약 오랜 만성적 머리질환에 걸리는 것을 나타내며 반점이 붉은 색을 하고 있는
경우는 부상 싸움 중 한 뇌병 또는 급성질환을 앓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 두뇌선에 작은 반점(나)이 생겨있고 그것에 잇달아 섬형의 기호(다)가 나타나 있는 상은 머리의 병을 앓기 때문에 그것으로 사고력이 약해지는 것을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