ㄱ부-23
금당
금당은 금빛 나는 부처님을 모신 불전(佛殿)을 이르는 말이다.
1) 금당과 불전은 비슷한 말이지만 금의 네임밸류가 있어서 인지 금당이 훨씬 환상적이다.
삼국시대 때는 불단(佛壇)이 오늘날과 달리 중앙에 있었다. 그리고 마루대신 방전(方塼, 네모벽돌)을 깐게 특색이다. 부석사 무량수전이나 무위사 극락전에도 방전을 깔았다.
황금부처님의 집 금당은 절 집의 핵심 아이콘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고려초까지만 해도 본존불을 모신 사찰의 중심건물을 금당이라고 불렀다.
그러나 이후부터는 본존불 성격에 따라 대웅전, 미타전 등으로 중심건물 성격을 구체화시켰다.
2) 금당, 우리나라에서는 고려 초기까지 문헌에 많이 언급되다가 그 이후부터 본존불의 성격에 따라 건물의 명칭을 달리 불렀다.
즉 석가모니를 본존불로 봉안하였을 경우에는 대웅전(大雄殿), 아미타불을 본존불로 봉안하였을 경우에는 미타전(彌陀殿), 또 극락전(極樂殿)이라고 칭하는 등 중심 건물의 이름을 보다 구체화시켰다.
사격(寺格)에 따라 이를 다시 구분하면 천태종 계통 사찰의 금당은 대웅전, 화엄종 계통 사찰의 금당은 대적광전(大寂光殿), 법상종 계통은 미륵전(彌勒殿), 정토종 계열의 사찰은 극락전이라고 하였다.
조선시대에 이르러 극심한 배불정책(排佛政策)으로 불교 사상 및 신앙영역에 따라 삼국세대 이래 다양하게 발전되어 왔던 여러 불교 종파는 점차 사라지게 되었고, 일부를 제외한 거의 모든 사찰은 고유한 사상의 표방이나 수행보다는 사찰의 보존과 생존을 위한 갖가지 부역과 천대를 감수해야 하는 데 급급했다.
이와 같은 무종파적인 혼돈의 상황은 결국 통 불교적인 양상으로 변모하게 되어 사찰에 모시는 신앙의 대상 또한 어느 특정한 부처나 보살로 한정되지 않고, 대종의 기호나 시대적 요구에 따라 모두를 수용하는 상황으로 변화하면서 사찰 내에 매우 다양한 전각이 필요에 따라 건립되었다.
한편 고려 중기 이후에 크게 성행하게 된 선종은 자성(自性)의 개발에 초점을 맞추면서 불보살에 의지하는 신앙이 세계보다 견성성불(見性成佛)을 위한 내면의 관조(觀照)에 더 큰 힘을 쏟았고, 이에 따리 불상에 대한 예배보다는 조사(祖師) 또는 도를 깨달은 선지식(善知識)의 가르침을 더욱 중히 여기게 되었다.
이와 같은 선종의 성향은 심지어 금당을 만들지 않고 불상을 모시지 않은 채 법문을 살하고, 종지(宗旨)를 천명하며, 각종 법회 의식을 주관하는 법당만 두는 경우도 있었다.
금당을 따로 두는 경우에도 예불시간에 금당에 가지 않고 법당에서 금당 쪽을 향해 간략한 배례로 대신하거나 그것마저 생략하기도 하였다.
이 같은 이유로 인해 선종에서는 본존불을 모시로 예배를 올리는 금당보다 강당과 같은 기능의 법당에 더 큰 비중을 두게 되었다.
더욱이 규모가 작은 사찰에서는 금당과 법당을 따로 구분하지 않고 하나의 건물을 지어 그곳에서 예불을 올리고, 설법을 하는 등 각종 법회와 의식을 행하게 되었다.
금뢰토생(金賴土生) 토다금매(土多金埋)
금은 흙의 생을 바라지만 흙이 많으면 금이 묻힌다.
금목금(金木金)
성명 음 오행.
부모형제(父母兄弟) 부모형제가. 유리분산(流離分散) 제각기 흩어진다.
매사불성(每事不成) 매사가 이루어지지 않으니. 인고실패(因苦失敗) 곤고하며 실패가 많다.
상별재혼(相別再婚) 부부와 이별하고 재혼을 하고. 위병사망(胃病死亡) 위장의 병으로 일찍 사망한다.
성공 운이 부족하고 실패가 많으며 신병으로 몸이 쇠약하며 불구 또는 단명 할 수다.
금목목(金木木)
성명 음 오행.
형제무덕(兄弟無德) 형제간에 덕이 없고. 부부불화(夫婦不和) 부부는 불화한다.
不具子息 불구자식을 두고. 사업불성(事業不成) 사업은 성공하기 힘 든다.
폐약신허(肺弱腎虛) 폐가 약하고 신장이 허하니. 불구단명(不久短命) 오래되지 않아 사망한다.
성공운이 부족하고 신경이 쇠약하며 가정이 불화하여 이별하고 불구 혹은 단명수다.
금목수(金木水)
성명 음 오행
金白水淸 금은 희고 물은 맑으니. 청귀지인(淸貴之人) 청귀한 사람이라 하겠다.
급변재앙(急變災殃) 급변의 재앙이 닥쳐. 파가파재(破家破財) 가정과 재물이 부서진다.
조석분주(朝夕奔走) 아침저녁으로 분주하나. 매사난성(每事亂成) 이루어지는 일이 없다.
성공운이 부족하여 사업 실패하고 신경쇠약으로 고생하며 지내는 수이다.
금목토(金木土)
성명 음 오행
초년유덕(初年有德) 초년에는 유덕하게 지내나. 가정파패(家産破敗)가정과 재산이 산산조각이 난다.
一時成功 일시적으로 성공을 하나. 추풍낙엽(秋風落葉) 바람 앞에 낙엽과 같다.
소영지사(所營之事) 경영하는 일이. 거개수포(擧皆水疱) 모두가 다 수포로 돌아간다.
성공이 부족하고 신경통으로 고생하거나 불행에 빠지기 쉬우나 수리가 길하면 성공하는 수도 있다.
금목화(金木火)
성명 음 오행
早失父母 일찍이 부모를 여의고. 타향전전(他鄕輾轉) 타향에서 떠돌아다닌다.
삼혼파멸(三婚破滅) 세 번을 결혼하나 모두 파하고. 불효자식(不孝子息) 불효자식을 둔다.
발광병생(發狂病生) 간질병이 발생하게 되고. 평생악질(平生惡疾) 평생 악한 병이 있게 된다.
성공 운이 없고 몸이 쇠약하며 폐와 뇌의 병으로 고생하며 단명하게 생을 마친다.
금문(金門)
황금으로 치장한 문. 궁궐의 문을 아름답게 이르는 말.
금문(禁門)
출입이 금지된 문. 궁궐의 문.
금박금(金箔金)
壬寅癸卯 金箔金, 寅卯는 木旺地가 되니 木이 왕성한 즉 金은 약하다.
또 寅에서 절지(絶地)이고 卯에서 태지(胎地)이니 金은 이미 무력하므로 금박金箔(금을 얇은 종이같이 늘인 조각)이라고 한다.
木氣가 寅에 있고 金은 絶地가 되기 때문에 얇은 것이 명주 같아서 이렇게 말하는 것이다.
1) 금박은 金 중에서 가장 약하고 매우 얇은 것이다. 이것은 상대적으로 木이 왕성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금박(金)은 나무(木)를 벨 수 없으니 약한 세력으로서 강왕한 세력을 이겨내지 못하므로 대세(木)를 따라야 한다는 곡직인수(曲直仁壽)(從格)를 의미한다.
금산(金山)
풍수(風水)의 金은 맑고 밝고 바르다. 金星의 형체를 태양(太陽)이라 하며 나지막이 솟은 형체를 태음(太陰)이라 하며, 金星이 가지는 행룡낙맥(行龍落脈)에 있어 많이 모이는 혈처(穴處)가 봉황이 춤추듯, 새가 비상하는 듯한 봉무비도(鳳舞飛島)의 형국이다.
금상(金箱)
풍수(風水), 토(土흙)가 낮고, 정사각형이고, 평평하고, 둥근 것을 요다.
과각고현(科各高顯) 작록(爵祿)이 풍부하고 넉넉하다.
금상첨화(錦上添花)
비단 위에 꽃을 보탠다는 뜻으로, 좋은 일에 또 좋은 일이 더한다는 뜻이다.
금생수(金生水)
1) 金이 水를 낳음은 소음의 氣運은 윤택하여 진액이 흐르고 金을 녹이면 물과 같이 된다. 산에 구름이 끼고 습기가 있게 되는 것이다.
2) 金은 크게 잘 다스리는 司從이니 의리를 숭상한다.
변방이 편안하고 도적이 일어나지 않아서 고을에 옥사와 송사가 없으면 법을 집행하는 사구가 편안하다.
그리하여 金이 水를 生하는 것이다. 돌은 물을 생산하고 깨끗하게 정수한다.
돌과 쇠에 냉기가 많으면 물이 만들어진다. 열매는 결구 하면 씨앗이 생긴다.
금성(金姓)
(토) 곽(郭) 남(南) 노(盧) 문(文) 반(班) 배(裵) 서(徐) 성(成) 신(申) 왕(王) 원(元) 음(陰) 장(張) 한(韓) 황(黃)씨 등을 일컫는다.
금성(金星)
풍수오성 하나.
산형의 정상이 둥글어 종같이 생겼다.
금성(禽星)
수구 부분에 날 짐승의 모양을 한 바위들이 막아 선 것을 말한다.
금성이 수구를 막아 서 있으면 자손이 문관(文官) 문인(文人)이 난다.
금성구(金星丘)
1) 위치: 엄지와 생명선 안의 붙은 부분을 말한다.
2) 의미: 애정 동정 화합 매력 향락 성욕을 나타낸다.
성구가 다른 부분보다 발달한 사람은 명랑하고 쾌활한 성격이다.
유순하고 동정심도 많아 호감을 사고 남녀를 불문하고 대단히 매력적이다.
일에 대하여는 낙관적이고 사람들과 잘 어울리고 거친 것과 사람들끼리 다투는 것을 싫어한다.
활동적이고 매력이 풍부하므로 화려하고 사치하고 놀기를 좋아한다.
이 언덕이 발달한 사람은 음악 무용 문학 그밖에 예술 활동을 좋아한다.
결점은 성욕이 왕성하기 때문에 자칫하면 이성 관계에 문제가 생겨 어려움에 처할 수도 있다.
대체로 정직한 성격이므로 남의 꼬임 수를 조심하여야 하며 자신은 남을 속이지 못한다.
이 언덕이 발달하고 다른 언덕이 나쁜 사람은 금성구의 향락 성욕 등의 나쁜 점이 강하게 나타나므로 심한 방탕자가 되기 쉽다.
도덕관념이 부족하여 육욕에 사로잡혀 그 언행이 대단히 불량성을 띄게 된다.
다른 언덕은 평평하게 나쁘고 이곳 금성구만이 눈에 띠게 발달하여 새빨간색을 하고 있는 상의 사람은 색정광이라고도 할 수 있는 정욕뿐인 원시적인 사람이다.
금성구가 발달한 사람은 외교가 상인 문학가 음악가 무용가 등 예술 방면이 좋다.
건강은 생식기 계통의 질환을 주의하여야 한다.
금성(金星) 사격(砂格)
풍수(風水) 사격(砂格)의 하나.
山 정상(頂上)이 원형으로 마치 종이나 가마솥을 엎어놓은 것 같은 모습이다.
山身에는 지각(枝脚)이 없다. 九星으로는 무곡성(武曲星)이며, 福德을 가져다 주는 氣運이 가득하다.
山이 높고 크면 태양금성(太陽金星)이라 하고, 낮고 작으면 태음금성(太陰金星)이라 한다. 복과 덕으로 주로 富를 관장한다.
금성수(金星水)
穴 앞쪽에 요대(腰帶)를 두른 것처럼 둥글게 감싸 안으며 흐르는 물을 말 한다.
부귀공명(富貴功名)하고 관록(官祿)을 얻는 자손이 난다.
금성수(金星水)
풍수(風水) 수세오행(水勢五行)의 하나.
수(水)가 용혈(龍穴)과 명당
(明堂)을 활(弓) 모양 또는 허리띠를 두른 것처럼 원만하게 감싸주면서 흐르는 것을 말한다. 이를 금성요대(金城腰帶) 또 금성환포(金城環抱)라 하며 크게 吉하다.
용혈(龍穴)과 반대(反對)로 등을 돌리고 흐르면 반궁수(反弓水)가 되어 凶하다.
금쇠우화(金衰遇火) 필견소용(必見銷鎔)
약한 금이 불을 만나면 반드시 녹아버린다.
금수고상(金水枯傷) 이신경허(而腎經虛)
물과 금이 부족하면 신장과 경락이 부실해 진다.
금수금(金水金)
성명 음 오행.
父母兄弟 부모형제가. 다정다감(多情多感) 다정다감하다. 적소성대(積小成大) 적은 것으로 큰 것을 이루고. 일신무병(一身無病) 건강하게 평생을 지낸다.
성공순성(成功順成) 성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지니. 행복지인(幸福之人) 행복한 사람이라 하겠다.
성공과 발전이 있고 자손이 번성하며 부귀영화를 누릴 수 있고 일생 동안 안락하게 지낸다.
금수목(金水木)
성명 음 오행.
선조여덕(先祖餘德) 선조의 덕으로 잘 지내게 되니. 發展成功 성공발전 한다.
육친유정(六親有情) 육친간에 다정다감하고. 처자화목(妻子和睦) 처자와 화목하다.
의기상통(意氣上通) 용기와 희망이 통하니. 강영다복(康寧多福) 건강하고 편안하여 복이 많다.
선조의 덕으로 발전하며 형제가 화합하고 부부가 화락하며 자손이 창성하여 건강하고 편안하게 일생을 보내는 복 많은 사람이다.
금수상관(金水傷官) 한즉냉수(寒卽冷嗽)
겨울 금이 차가우면 기침이고, 뜨거우면 가래가 생긴다.
금수상생격(金水相生格)
金과 水로 이루어진 사주. 또는 금백수청(金白水淸)이라 한다.
금수수(金水水)
성명 음 오행.
성품착실(性品着實) 성품이 착실하니. 만인신망(萬人信望) 많은 사람들이 믿고 따른다. 六親和合 육친화합하고. 妻子和合 처와 자식이 화합하다.
가경문란(家慶門爛) 집안에 경사가 있고 영화스러우니. 권위당당(權威堂堂) 권위가 당당하게 되더라.
선친의 후덕으로 날로 발전을 이루고 편하게 지낼 수 있지만 무리하면 실패가 따르니 조심하라.
금수정혈법(禽獸定穴法)
風水 혈세(穴勢)의 하나.
山의 형상(形象)을 새나 짐승에 비유하여 새나 짐승의 기가 가장 많이 모이는 부분에 혈을 정혈(定穴)하는 것을 금수정혈법(禽獸定穴法)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봉황(鳳凰)이나 학(鶴), 꿩(雉), 기러기(雁), 까마귀(烏), 닭(鷄) 등 날 짐승은 생기(生氣)가 벼슬(冠), 날개 안쪽(翼), 꼬리(尾) 부분에 있다. 호랑이(虎) 사자(獅) 소(牛) 개(狗) 쥐(鼠)등 들짐승은 생기(生氣)가 코, 배, 젖가슴 등에 있다.
이에 대해서 [금낭경]에, 용세(龍勢)가 그치고 혈장이 둥그렇게 쳐들어 있으면 진룡(進龍)의 머리 부분이다.
앞에는 물이 흐르고 뒤에 산이 있으면 장사를 지낼 수 있는 혈이다.
용의 코와 이마에 해당되는 곳에 장사지내면 매우 길하다.
뿔과 눈에 해당되는 곳은 장사하면 멸망한다.
귀에 해당되는 곳은 왕후(王侯)가 날 것이다.
입술에 해당되는 곳은 죽거나 전쟁에 나가 다칠 것이다.
구불구불하게 내려오던 용이 중앙에 혈장을 만들어 기를 응축하면, 이를 용의 배라고 한다.
배꼽은 깊고 움푹 들어가 있다. 그곳에 혈을 쓰면 필시 후세에 복을 받아, 금과 곡식과 옥이 가득가득 넘치게 될 것이다.
용의 가슴이나 갈비뼈 부분에 혈을 쓰면 흉하다.
이러한 곳은 아침에 장사를 지내면 저녁에 곡(哭)소리가 날 것이다.
멸족(滅族)이 우려되는 흉지다. 라 했다.
산의 형태를 보고 맹호출림형(猛虎出林形), 금계포란형(金鷄抱卵形), 영구입수형(靈龜入首形), 갈마음수형(渴馬飮水形), 금오탁시형(金烏啄屍形) 등 물형론(物形論)으로 혈을 찾는 방법을 설명한 것이 금수정혈법(禽獸定穴法)이다.
금수토(金水土)
성명 음 오행.
父母祖業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조업이. 一時敗亡 한 순간에 사라진다.
급변재액(急變災厄) 급변으로 재액이 생기니. 향자실수(向者失手) 향하는 곳마다 실수가 있다.
불안수심(不安愁心) 불안수심이 계속되니. 정신질환(神心疾患) 정신과 심장병으로 고생한다.
일시적인 성공은 할 수 있으나 큰 사업에 실패하고 화병으로 단명 또는 병란을 당하게 된다.
금수화(金水火)
성명 음 오행.
상극상쟁(相剋相爭) 서로 상극되어 다투는 격이니. 노력불성(努力不成) 아무리 노력하여도 이루지 못한다.
부부불화(夫婦不和) 부부가 불화하고. 자식방랑(子息放浪) 방황하는 자식을 둔다.
재액초래(災厄招來) 재액을 불러오게 되니. 사불여의(事不如意) 일들이 뜻과 같이 되지 않는다.
선조의 덕으로 일시적 성공은 있으나 처자를 이별하고 갑작스런 변화로 화를 입게 된다.
금어대(金魚袋)
풍수(風水)의 용어로, 평지보다 약간 높은 앞부분이 (돈부墩埠) 길게 굽어진 것으로, 하관(下關) 수구에 있음이 마땅하다.
금어수(金魚水)
風水의 水가 穴의 양쪽에서 흘러와 한곳에서 합(合)쳐 흘러가는 것을 말한다.
금여(金與)
金으로 만든 수레라는 뜻이니 고급관리나 귀족, 왕족이 타는 것으로 부귀공명할 길신(吉神)으로 일간(日干)을 기준으로 본다.
일간 | 甲 | 乙 | 丙戊 | 丁己 | 庚 | 辛 | 壬 | 癸 |
금여 | 辰 | 巳 | 未 | 申 | 戌 | 亥 | 丑 | 寅 |
성정이 온후하고 유순하며 용모가 빼어나고 배우자 운이 좋다.
얼굴에 항상 화기애한 기운이 있으며 몸가짐도 절도가 있고 주위 사람의
도움을 받는다.
日柱나 時柱에 있으면 좋은 배우자를 얻고 평생을 안락하게 보내며 자손이 번창하는데 대개 옛날 황족의 사주에 금여가 많음.
발명가, 종교인, 외교관에게 많다. 충극이 있으면 그 운기가 떨어진다.
금왕지절(金旺之節)
가을은 金의 활동이 제일 왕한 계절이다.
금왕지형(金旺之刑)
자형. 酉酉自刑 금왕지형(金旺之刑) 피부생리. 수족절단. 상해요통. 스스로가 문제가 되는 형살이다.
넘쳐서 문제가 되는 것인데 거의 모든 형살은 넘치고 지나쳐서 문제가 되는 것들이다. 酉酉自形: 금이 넘쳐서 해가 된다.
신장 요로 결석, 암, 간경변, 폐 대장질환.
금이(金耳)
금귀(金耳), 金型을 가진 사람은 귀가 희고 길어 얼굴 밑까지 늘어지면 부귀공명을 누린다.
그러나 노년에 형처극자(刑妻剋子)해 고독하게 된다.
금자보물 은자보물 금자천(錢) 은자천(錢)
무속용어.
금이나 은을 녹여서 말굽 징이나 고옥 모양으로 만들어 사용한 돈 대용품을 말한다.
금정곽(金井廓)
風水, 일명 금정(金井) 혹은 금정틀, 시신을 묻으려 땅을 파는 천광을 할 때 구덩이의 길이와 너비를 정하는데 사용하는 井자 모형의 나무틀을 말한다.
금줄
금줄은 신성한 곳 또는 대상물에 부정한 것의 침입을 막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신성한 대상물에 매달거나 신성한 대상물의 길 앞에 양쪽에 건너지르게 매달아 사용한다. 또 금줄은 산모가 태아를 출생하였을 때에도 사용한다.
1) 요즘사람이 꺼리는 것을 피해 인간 스스로 행동의 제한을 가해 줄을 치는 행위.
금줄은 금기를 표시하는 대표적인 방법이다.
신성공간인 제의(祭儀) 장소에 사람들의 출입을 금하기 위해 붉은 황토를 펴고 금줄을 치며, 해산 후에도 금줄을 쳐서 출입을 금지한다.
신성공간을 설정하고 잡인(雜人)이 범하지 못하게 하는 금줄은 민간신앙의 성격을 지닌다.
금줄은 지방에 따라 형태나 명칭에 약간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형식이나 의미 등은 같으며 대개 짚으로 꼰 왼새끼를 두른다.
왼새끼는 귀신이 싫어하는 줄이라는 뜻이며, 출입구․대문 등에 친다.
아들을 낳았을 경우는 고추 또는 솔잎이나 숯을 매단다.
마을 굿 전에는 제관(祭官)도 금기를 행하며, 제관집 문에 금줄을 쳐서 타인이 범하지 못하게 하고 당나무 등에도 금줄을 쳐둔다.
줄에 한지를 매달기도 하며, 붉은 황토를 뿌리는 것은 귀신들이 붉은 것을 싫어하기 때문에 벽사(辟邪 요사스러운 귀신을 물리침)의 뜻으로 행한 것이다.
예전에는 장을 담글 때도 장맛이 좋아지라고 금줄을 드리우고 버선본을 뒤집어 붙여두었다.
지금에도 금줄의 양태는 다양하게 나타난다.
특히 아기를 낳으면 반드시 금줄을 매달아 다른 사람이 들어오지 못하게 한다.
이러한 풍습은 아기를 낳은 집의 아기와 산모의 건강을 위해 병균이 못 들어오게 하는 위생적인 목적도 지닌다.
금줄은 몽골이나 일본에서도 지켜지며, 그 의미도 같다.
금토금(金土金)
성명 음 오행.
부모형제(父母兄弟) 부모와 형제의. 유덕다정(有德多情) 덕 있고 정이 많다.
의외득재(意外得財) 뜻밖에 재물을 얻게 되니. 부귀안락(富貴安樂) 부하며 귀하여 안락하다. 재관상비(財官相備) 재물과 관운을 다 같이 갖추었으니. 백화결실(百花結實) 백송이 꽃이 모두 결실을 맺은 상이다.
성공이 순조롭고 구름에서 달이 벗어나는 것처럼 만인이 우러러보는 격으로 부귀영화를 누린다.
금토목(金土木)
성명 음 오행.
육친부덕(六親不德) 육친이 부덕하고. 부부불화(夫婦不和) 부부는 불화하다.
가정불화(家庭不和) 가정이 불화하게 되니. 백사불성(百事不成) 백 가지 일들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불구위험(不具危險) 신체의 불구 위험이 있고. 도로무공(徒勞無功) 어떤 일이든 성공하지 못하고 제자리걸음이다.
선조의 덕으로 일시적 성공은 있다 하여도 잠시뿐이며 위장병으로 고생하고 가정을 파하기 쉽다.
금토수(金土水)
성명 음 오행.
초년발전(初年發展) 초년에는 발전이 있으나. 일시재난(一時災難) 한 순간에 재난을 만난다.
부부이별(夫婦離別) 부부가 이별하고. 자손분산(子孫分散) 자식은 각자 흩어진다.
재액불리(災厄不離) 재액이 떠나가지 않으니. 조난급사(遭難急死) 난을 만나 급사한다.
일시적으로 발전 할 수 있으나 가정이 불화하고 부부간에 이별하게 된다.
금토토(金土土)
성명 음 오행.
부모형제(父母兄弟) 부모와 형제가. 융합다정(融合多情) 융화 다정하다.
부부화락(夫婦和樂) 부부가 화락하고. 자손창성(子孫昌盛) 자손이 창성한다.
사방명리(四方名利) 사방에 이름을 날리니. 부귀수신(富貴隨身) 부귀가 몸에 따른다. 성공이 있고 처세가 바르며 이름 또한 사방에 떨치고 자손이 창성하며 가정이 평화롭다.
금토화(金土火)
성명 음 오행.
천성후덕(天性厚德) 천성이 후덕하고. 만인신망(萬人信望) 많은 사람들이 믿고 따른다. 유순봉순(有順逢順) 순하니 순함을 만나고. 사사길창(事事吉昌) 일마다 길하며 창성한다.
一家和平 가정이 평화롭고. 만인지휘(萬人指揮) 많은 사람들의 지도자가 된다.
성공이 순조로우며 이름이 사방에 떨치고 부귀가 따르며 만인이 우러러보는 격이다.
금화금(金火金)
성명 음 오행.
화금무정(火金無情) 불과 금이 무정하게 되니. 부부이별(夫婦離別) 부부가 이별한다.
조기만패(早起晩敗) 일찍 이루었으나 끝에는 꼭 패하고. 심신과로(心身過勞) 몸과 마음이 과로하다.
교통사고(交通事故) 교통사고로. 불구사망(不具死亡) 불구가 되거나 사망한다.
부부간에 생이별 또는 사별하고 병사하게 되며 자식까지 불행하게 된다.
금화목(金火木)
성명 음 오행.
불평불만(不平不滿) 불평불만이 많고. 신경과민(神經過敏) 신경과민에 빠진다.
형제무덕(兄弟無德) 형제간에 덕이 없어. 독좌염불(獨坐念佛) 외롭고 고독하다.
뇌일병생(腦溢病生) 뇌일혈이 발생하게 되니. 조난변사(遭難變死) 난을 만나 변사하게 된다.
불평불만이 심하고 뇌와 폐가 상하며 변사할 위험이 있다.
금화문(金花紋)
금화문을 가진 사람은 타고나기를 하늘의 혜택을 한 몸에 받고 있는 사람이다.
그러므로 비록 현재는 가난하다하여도 귀인의 도움으로 대 발전하여 지위 재산을 얻는다. 여성도 저절로 복이 굴러들어 오다 10이 되는 수에 큰 행운을 얻으며 귀한 남편을 만난다.
금화수(金火水)
성명 음 오행.
금백수청(金白水淸) 금은 희고, 물은 맑으니. 청귀지인(淸貴之人) 청귀한 사람이라 하겠다.
급변재앙(急變災殃) 급변의 재앙이 닥쳐. 파가파재(破家破財) 가정과 재물이 부서진다.
조석분주(朝夕奔走) 아침저녁으로 분주하나. 매사난성(每事亂成) 이루어지는 일이 없다.
성공운이 부족 사업에 실패하고 신경쇠약으로 고생하며 지내는 수이다.
금화토(金火土)
성명 음 오행.
육친화합(六親和合) 육친과 화합하나. 일시상별(一時相別) 한 순간에 흩어진다.
재운평길(財運平吉) 재물운이 평길하나. 욕심패망(慾心敗亡) 욕심으로 패망한다.
신약병고(身弱病苦) 신약하여 병으로 고통을 받으니. 단명지수(短命之數) 단명할 수라 하겠다.
일시적 성공은 얻는다 할지라도 뇌와 폐를 상하기 쉽고 불구 단명할 수다.
금화화(金火火)
성명 음 오행.
조실부모(早失父母) 일찍이 부모와 이별하고. 양부모운(養父母運) 양부모를 모신다.
사업불성(事業不成) 사업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화재불절(火災不絶) 화재가 빈번하다.
뇌병폐병(腦病肺病) 뇌와 폐의 질환으로. 조기객사(早期客死) 일찍이 객사. 불평과 불만으로 뇌신경이 쇠약하며 폐가 상하고 심하면 변사하거나 자살할 위험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