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학사전-ㅇ부-11
예수재(豫修齋)
재들이 모두 죽은 이들을 위하는 의식인데 예수재는 특이하게 살아있는 사람들을 위한 재이다.
죽은 후 극락에 태어나기를 기원하여 살아있을 때 미리 닦는 재 의식이다.
사람은 누구나 다 저마다 살아 있는 동안에 진 빚이 있으므로 예수재를 지냄으로써 빚을 미리 갚는다는 뜻이다.
빚에 종류는 두 가지로 불교경전을 읽어야 할 빚과, 돈 빚이다.
경전을 읽어야 하는 빚은 예수재를 올리는 것으로서 읽는 게 되고 돈은 종이로 만든 지전을 시왕전에 올리는 것으로 갚게 된다고 한다.
살아 있을 때 사후를 위하여 공덕을 쌓아서 지옥고를 받지 않고 극락왕생하도록 법의 공덕을 저축하는 의식이다.
1) 원래는 중국 도교의 시왕신앙(十王信仰)을 불교에서 수용한 것이라고 한다.
이 의식은 예수시왕생칠재의(預修十王生七齋儀)라는 의식집에 근거한다.
2) 의식문에는 다신교적인 내용이 많이 표함되어 있는데 명부시왕과 그 권속이 신앙의례의 절차에 많은 양을 차지하여 지장신앙과 관계된다.
또 설단 양식으로 보면 삼신불단을 법당 안에 설치하고 동쪽에 지장단을, 서쪽에 호법선신중단을, 법당 밖에 염도대제 이하 명부시왕단을 설치한다.
법당의 동쪽에 하단위(下壇位), 서쪽에 추루단(醜陋壇), 그 아래쪽에는 차례대로 고사단. 종관단. 마기단을 설치한다.
이와 같은 단의 배열은 밀교적 신앙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이것은 생전에 미리 명부시왕전에 복을 많이 쌓아서 사후 명부의 시왕을 만나면 극락에 갈 수 있는 심판을 받도록 하는데 있다. 명부시왕은 도교적 신앙으로 죽은 뒤에는 10번 지은 바 죄의 과보에 따라 심판을 받는다는 데에서 온 것이다.
3) 의식의 절차는 이미 설치한 단에 공양 예경하는데 살아 있을 때 자신의 생년월일에 따라 갚아야 할 빚이 있어서 부지런히 경을 읽고 보시를 행해야 한다.
즉 갑자생의 경우 빚이 5만3천관이고 읽어야 할 경전이 17권이며 내야 될 곳은 명부의 제3곳간 육조관(六曹官)이다.
이 빚은 예수재에 경전을 읽어서 갚게 되고 또는 필요한 경전을 구입하여 불단에 올리는 것으로 갚는다.
보시는 만들어진 지전(紙錢)을 각자에 맞는 금액을 시왕전에 바치고, 영수증을 받아 한 조각은 태우고 나머지는 잘 보관하였다고 죽은 뒤에 가지고 가서 시왕전에 바친다. 이를 금은전이라 한다.
4) 금은전의 유래는 [예수천왕통의 預修天王通儀] [명도전 冥道傳]에 이르기를 유사대국의 왕 빔비사라가 15세에 등극하여 25년 동안 예수시왕칠재(預修十王七齋)를 49번하였는데, 갑자년 12월8일 경신 야밤에 갑자기 명부의 사자가 와서 따라 갔는데 가는 도중 풀과 나무가 없는 흰 산이 있어 물으니, 이는 남염부 제중생들이 법답게 은전을 만들지 못하고 정성이 부족한 파전들이 버려져 저 산을 이루었다고 하므로 왕은 돌아와 정성껏 금은전을 조성하고 점안의식을 성대히 거행하여 전생의 빚을 갚음으로써 장수하였다.
12생 상속의 죄인들이 명부시왕께 올리는 금은전을 보면 다음과 같다.
5) 갑자생은 5만3천관, 병자생은 7만3천 관, 무자생은 6만3천 관, 경자생은 11만관, 임자생은 7만 관으로 각각 원조관(元曹官) 왕(王) 윤(尹) 이(李) 맹조관(孟)에게 바친다. 이렇게 육십갑자 자기의 해당 생년에 따라 값이 정해져 있어 이에 맞게 시왕께 바친다.
금은전은 49재나 100일재 등에서도 이용된다. 이 의식은 개인의 발원에 의하여 행하지 않고, 많은 대중이 동참하여 행하는 종교의식이다.
예인(禮人)
사람의 다섯 품계의 오위(五位)의 하나.
3급(중급)의 2번이다.
높고 낮은 것을 분별해서 청렴하고 사양하며 겸손하고 삼간다.
윗사람이 되어서는 경건하며 아랫사람이 되어서는 공경할 것을 생각하는 사람을 예인이라 한다.
오(午)
地支의 7번째. 火. 南方. 夏節. 赤色. 禮. 2.7數. 심장. 소장. 가슴. 열(熱). 혀. 시력. 청년기. 쓴맛. 탄내. ㄴㄷㄹㅌ.
1) 午는 짝이 지워지는 것(仵.짝오)이며 꽃받침이 붙는 것이다.
5月에 만물이 성대해져 가지와 꽃받침이 짝으로 펴지는 것이다.
2) 한자는 낮 午, 말(馬)을 의미. 무더운 한여름이며 5월이다.
지장간은 丙火10+己土9+丁火11 이다.
丙火는 4月의 기운이고, 己土는 6月의 기운이며, 丁火는 5月의 무더운 열기를 뜻한다.
빛과 열에 의해 최고도로 팽창하려는 힘이 너무도 강해서 6月의 土가 미리 와서 균형을 잡아 준다.
4월강한 태양 빛에 의해 지상에 열기가 최고도에 이르렀다.
체는 陽이고, 용은 陰이다.
빛과 열이 서로 강하면 폭발한다.
습土인 己土가 균형을 잡아주고 있다.
陽이 강해 陰으로 변했다. 빛이 강하여 땅에 열기인 丁火가 제일 많아 습土가 이 열을 흡수한다.
활용적인 용으로 陽인 午를 陰火로 본다.
사물을 변하게 하는 힘이 있다.
빛과 열이 같이 있다.
음식을 조리 할 때 같다.
용광로 같다. 산소 용접 같다.
눈으로 보고 화가 치밀어 오르는 것 같다.
봄빛과 아지랑이 같다.
오기(五氣)
오행의 기운이다.
木은 風(바람).
火는 熱(더운 것).
土는 濕(습기).
金은 조(燥)(메마름).
水는 한(寒)(추위).
오관(五官)
오관이란 귀, 눈, 입, 코, 눈썹을 말한다.
1) 귀
귀는 소리를 듣는다하여 채청관(採聽官)이라 한다.
귀는 그 빛깔이 밝고 희면 귀한데 눈썹보다 높이 붙고 윤곽이 뚜렷하고 귀가 두툼하고 귀문이 크면 좋은 귀라 한다.
2) 눈썹
눈썹은 수명을 보호하므로 보수관(保壽官)이라 한다.
눈썹은 밝고 가지런하고 귀 있는 곳까지 길고 형상이 아름다워 마치 초승달처럼 생기고 눈썹꼬리가 풍부하고 이마중앙에 높게 붙어있으면 좋은 눈썹이다.
3) 눈
눈은 사물을 살핀다하여 감찰관(監察官)이라 한다.
눈은 튀어나오지 말아야 하고 흑백이 분명하고 동자가 단정하고 광채가 사람을 쏘는 듯하고 가늘고도 길면 좋은 눈이다.
4) 코
냄새를 맡는 후각이라 하여 심변관(審辨官)이라 한다.
코는 곧게 뻗어 단정하고 코밑의 인당이 평활하고 코 위 의 산근이 인중과 같은 비율이며 콧등이 높고 둥글고 콧 끝이 두툼하고 마치 쓸개를 매단 것 같으며 빛이 누르스름하면서 선명하면 좋은 코라 한다.
5) 입
음식을 먹고 소리를 낸다하여 출납관(出納官)이라 한다.
입은 모가 나고 크며 입술이 붉고 단정하고 두텁고 활처럼 생기고 입을 벌리면 크나 입을 다물면 작게 보이는 형상은 좋은 입이라 한다.
오관대왕(五官大王)
명부 시왕의 제4왕으로 지옥에서 5형을 주재하는 왕이며 중생이 죽은 뒤 47일을 지나 저승에 가면 죄의 경중을 저울질하여 판단한다.
시왕탱화에서는 두 손에 홀을 잡고 앉아 있는 모습으로 책상에 업경대와 두루마리, 책, 벼루들이 진열되어 있고 아랫부분에 검수지옥과 지장보살의 중생 제도 광경이 함께 묘사 된다
오관대왕
무속용어.
죽은 이가 28일째 되는 날 만난다는 보현보살의 화신으로 검수지옥을 관장하며 오계(살생, 도적질, 음행, 거짓말, 술)로 판결한다고 한다.
오도 전륜대왕. 지옥, 축생계, 아귀계에 떨어진 혼령들이 삼년 동안에 추선공양(추가로 자신이나 가족의 착한 일과 염불공양)이 있으면 구출해 주는 아미타여래의 화신으로 흑암지옥을 담당하면 남섬부주의 왕이기도 하다.
오귀방(五鬼方)
이사방위의 하나. 질병과 같이 상서롭지 못한 일들이 생기는 곳.
오귀살
가정의 평지풍파 우환질고가 계속 따르며 부부가 생사 이별하여 고독해 지는 살이다.
생년 | 寅午戌 | 巳酉丑 | 申子辰 | 亥卯未 |
지지 | 卯辰 | 丑午 | 酉戌 | 子丑 |
오규(五竅)
木: 목(目눈)
火: 설(舌혀)
土: 구(口입)
金: 비(鼻코)
水: 이(耳귀)
오근(五根)
오근은 오신근(五信根)이라고도 한다. 근(根)이란 능력을 뜻한다.
이것은 번뇌를 여의고 성도(聖道)에 이끌어 가는 다섯 가지의 근본으로 신근정진근, 염근, 정근, 혜근을 말한다.
신(信)이 제일 먼저 두어진 것은 불교의 실천 수도가 信으로서 출발점으로 삼기 때문이다.
① 신근(信根)은 목적에 대한 신념과 성취의 확신을 말한다.
② 정진근(精進根)은 권선징악(勸善懲惡)의 노력을 말한다.
③ 염근(念根)은 탐욕과 근심 걱정을 항복 받는 것을 말한다.
④ 정근(定根)은 욕심과 악을 버리는 것을 말한다.
⑤ 혜근(慧根)은 거짓을 거짓으로 진리를 진리로 보는 것과 같이 진리를 바로 이해하는 것을 말한다.
오년(午年)
태세의 지지에 午字가 드는 해. 말띠 해.
甲午年. 丙午年. 戊午年. 庚午年. 壬午年
오대산(五臺山)
오대산(五臺山)은 강원도 강릉시와 평창군 및 홍천군 경계에 있는 높이 1,563m의 산이다.
1975년에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기암들의 모습이 금강산을 보는 듯 하다고 해서 소금강, 또 학의 날개를 펴는 형상을 했다고 해서 일명 청학 산이라고도 불린다.
조선 후기에는 실록을 보관하는 사고(史庫)도 설치되어 오늘날에도 건물은 보존되어 있다. 월정사와 상원사가 있다.
오동지(梧桐枝)
풍수(風水)의 하나.
내룡(內龍)이 개장천심(開帳穿心)을 거듭하면 청룡백호(靑龍白虎)의 장단대소(長短大小)가 균형(均衡)이 같은 본신룡(本身龍)을 말한다.
오등(五燈)
등이 차례차례 불이 붙어져 꺼지지 않는 것처럼, 법을 받고 전하여 끊어 지지 않는 것을 전등이라 하고, 전법 수법하는 의식을 전등식이라 한다.
그래서 조사스님들의 행적과 사법의 경위와 순서를 기록한 글에 “등”자를 붙여왔으니 전등(傳燈) 속등(續燈) 광등(廣燈) 보등(普燈) 연등(聯燈)이 그것이다.
오력(五力)
오력은 오신력(五信力)이라고도 한다.
이것도 성도(聖道)를 발생하게 하는 신력, 정진력, 염력, 정력, 혜력을 말한다.
이 오력은 오근에서 나타난 힘이며 작용이다.
1) 신력(信力)은 여래에 대해 청정한 믿음(淨信)을 갖고 물러나지 아니함이다.
2) 정진력(精進力)은 선을 짓고 악을 패하기에 부지런 하는 것이다.
3) 염력(念力)은 사상(思想)을 바로 갖고 나쁜 생각을 버리는 것이다.
4) 정력(定力)은 선정(禪定)을 닦아 어지러운 생각을 없게 하는 것이다.
5) 혜력(慧力)은 지혜를 닦아 불교의 진리인 사성제(四聖諦)를 깨닫는 것이다.
오륜(五倫)
오륜(五倫)다섯가지의 지켜야할 도리. 오상 또는 오전이라고도 한다.
오륜(五倫)에는 다음 다섯 가지가 있다.
父子有親(부자유친) : 어버이와 자식 사이에는 친함이 있어야 한다.
君臣有義(군신유의) : 임금과 신하 사이에는 의로움이 있어야 한다.
夫婦有別(부부유별) : 부부 사이에는 구별이 있어야 한다.
長幼有序(장유유서) : 어른과 아이 사이에는 차례와 질서가 있어야 한다.
朋友有信(붕우유신) : 친구사이에는 믿음이 있어야 한다.
오미합(午未合)
지지의 六合의 하나.
午未 合 無化. 午와未는 合은 되나 化는 되지 않는다.
즉 다른 오행으로는 변하지 않는다.
오방기(五方旗)
(무) 동서남북 중앙이 오방이다. 방(方)에 따른 색의 깃발이 오방기다.
동방(東方)청색(靑色). 남방(南方)적색(赤色). 북방(北方)흑색(黑色).
서방(西方)백색(白色). 중방(中方)황색(黃色).
오방기 점(五方旗 占)
오방기를 이용 오방신장님대를 잡아서 나오는 점.
1) 청색기
甲乙寅卯 동방 청제 신장님이 동하여.
亥子日에 문서를 얻을 수.
寅卯日에 재물의 순실수.
巳午日에 화재와 구설수.
辰戌丑未日에 금전을 얻을수.
申酉일에 몸을 다칠 수로 차 기계를 조심.
행운숫자는 1.6. 흉한 숫자는 4.9.
2) 빨강기
병정사오 남방 적제 신장님이 동하여,
巳午日에 도둑을 당할 수.
辰戌丑未日에 사기를 당하거나 배신당할 수.
申酉日에 재물을 얻을 수.
亥子日에 관재 구설이 있고 북쪽으로 출행하지 말 것.
행운 숫자는 3.8.
흉한 숫자 1.6.
3) 황색기
무기진술축미 중앙 황제 신장님이 동하여,
辰戌丑未日에 금전사기 수.
亥子日에 북쪽에서 재물을 얻을 수.
寅卯日에 관재 수.
巳午日에 문서와 기쁨이 있을 수.
申酉日에 실물도둑 수.
행운 숫자 2.7.
흉한 숫자 3.8.
4) 백색기
경신신유 서방 백제신이 동하여 일마다 막히게 되니 부뚜막 조왕신께 빌고 촛불을 20일을 켜고 빌면 관재수와 나쁜 액이 사라진다.
辰戌丑未日에 문서의 기쁨이 있을 수.
행운 숫자 5.10.
흉한 숫자 2.7.
5) 흑색기(남색기)
임계해자 북방 흑제신이 동하여,
巳午日에 재물이 생길수.
申酉日에 문서에 기쁨이 있을 수.
辰戌丑未日에 문서위약 손재 관재 질병수.
용왕전에 기도하면 이 액을 면한다.
행운 숫자 4.9.
흉한 숫자 5.10.
오비구 (五比丘)
석존이 출가하는 데 부왕의 명으로 태자를 모시고 함께 고행하든 이로 부처님이 성도하신 후 처음 교화를 베풀어 비구가 된 다섯 사람. 즉 교진여, 아습파, 발제, 십력가섭, 파사파.
오상(五想)
木=仁. 火=禮. 土=信. 金=義. 水=智
1) 木의 寅
歲星(세성:목성)은 사람의 五想으로는 仁이고 五事로는 모습이다.
仁이 이지러지고 모습이 훼손되면 봄의 월령을 거슬리는 것이어서 木의 氣運이 상하니 벌(罰星벌성)이 이세성에 나타난다.
仁은 측은한 것으로 본체를 삼고 널리 베푸는 것으로 작용을 삼는다.
木은 덮어씌우고 커나가며 번성하니 이것은 仁의 측은히 여기고 널리 베푸는 것이다.
2) 火의 禮
熒惑星(형혹성:화성) 은 사람의 五想으로는 禮이고 五事로서는 보는 것이다.
禮가 무너지고 보지 못하게 되면 여름의 월령을 거슬리는 것이어서 火의 氣運이 상하니 벌(罰星)이 형혹성에 나타난다.
禮는 분별하는 것으로 본체를 삼고 법을 실천하는 것으로 작용을 삼는다.
火는 밝게 비치고 어둡게 꺼짐이 있으니 이것은 禮의 분별하고 벌을 실천하는 것이다.
3) 土의 信
鎭星(진성:토성)은 사람의 五想으로는 信이고 五事로서는 생각하는 것(思사)이다.
인의예지(仁義禮智)는 信으로써 주인을 삼고 모언시청은 생각으로써 바름을 삼으니 네 가지 일을 모두 잃게 되면 진성(鎭星)이 토성을 움직이게 된다.
信은 속이지 않는 것으로 본체를 삼고 신실하게 실행하는 것으로 작용을 삼는다.
土는 떠받치고 포용함이 있어서 때에 맞춰 만물을 生하니 이것은 신실하게 실행하고 속이지 않는 것이다.
4) 金의 義
太白(태백:금성)은 사람의 五想으로는 義이고 五事로는 말(言)이다.
義가 허물어지고 말이 없게 되면 가을의 월령을 거슬리는 것이 金의 氣運이 상하니 벌(罰星)이 太白에 나타난다. 義가 의에 합치되는 것으로 본체를 삼고 결단하는 것으로 작용을 삼는다.
金은 굳고 강하며 예리한 칼날이 있으니 이것은 義에 합치되고 결단하는 것이다.
5) 水의 智
辰星(진성:수성)은 사람의 五想으로는 智이고 五事로는 듣는격(廳청)이다.
지혜가 없고 듣지 못하게 되면 겨울의 월령을 거슬리는 것이어서 水의 氣運이 상하니 벌(罰星)이 辰星에 나타난다.
智는 밝은 지혜로 본체를 삼고 밝게 지혜를 쓰는 것으로 작용을 삼는다.
水는 윤택하게 불려주고 유통함이 있으니 이것은 밝은 지혜를 밝게 쓰는 것이다.
오색(五色)
木 : 청색(靑色)
火 : 적색(赤色)
土 : 황색(黃色)
金 : 백색(白色)
水 : 흑색(黑色)
1) 木의 정색은 청색(靑色)
東方 木은 푸른색이 되니 만물이 부드럽게 발생하는 색이다.
東夷(동이)의 氣運은 내작에서 나오니 색이 푸르게 어지러이 흩어져서 숲과 같다.
2) 火의 정색은 적색(赤色)
南方 火는 붉은 색이 되니 太陽이 뜨겁게 타오르는 상이다.
南夷(남이)의 氣運은 교지에서 나오니 붉은 색이 모여 있는 것이 깃발과 새의 벼슬과 같다.
3) 土의 정색은 황색(黃色)
中央 土는 누런색이니 누런 것은 땅의 색. 하늘은 검고 땅은 누렇다고 한 것이다. 中央의 土가 모인 것은 색이 누렇기가 성곽의 형상과 같아서 누런 氣運이 四方으로 꽉 차고 土의 精氣가 펴진다고 했다.
4) 金으 정색은 백색(白色)
西方 金의 색은 흰색이니 가을의 살벌한 氣運이 있으며 이슬이 하얗게 서리가 된다.
희다는 것은 상복의 상이다.
西夷(서이)의 氣運은 사구에서 나오니 색이 희기가 칼날을 쌓아 놓은 것 같다.
5) 水의 정색은 흑색(黑色)
北方 水의 색이 검은 것은 먼 곳을 바라보면 어두워서 음침하고 어렴풋한 상이니 바다가 아득하고 멀어서 검고 어두워 끝이 없는 것이고 물은 태음의 물질이기 때문에 음침하고 어두운 것이다.
북적(北狄)의 氣는 幽都(유도)에서 나오니 색이 검기가 뭇 사람들의 음문(陰門 생식기)와 같다.
오성결혈(五星結穴)
1) 수형산(水形山), 물결같이 기복(起伏)이 부드러우니 토극수(土克水)로 산진처(山盡處)에 결혈(結穴)한다.
2) 목형산(木形山), 산이 가다가 용수(聳秀)하니 목극토(木克土)로 변화
절처(變化節處)에 결혈(結穴)한다.
3) 화형산(火形山), 첨봉(尖峯)으로 화생토(火生土)로 평탄처(平坦處)에 결혈(結穴)한다.
4) 토형산(土形山), 토체(土體)로 산 정상(頂上)이 일자(一字)로 일자문성(一字文星)이라 토생금(土生金)으로 돌처(突處)에 결혈(結穴)하니 비산비야(非山非野)에 보국(保局)이 후부하고 풍만하여 대혈(大穴)을 이룬다.
5) 금형산(金形山), 노적가리처럼 둥글어 금생수(金生水)로 두 번째 머무는 자리에 結穴한다.
오성(五星)
일명 오요(五曜)라 함. 오성이란 金木水火土의 五行을 말함인데 얼굴에 는 각각 그에 따르는 오행의 부위가 있다.
1) 금성(金星)
남자는 오른쪽 귀 여자는 왼쪽 귀가 금성에 속하며 귀로써 윤곽이 분명하고 홍백색이며 크고 작고를 불구하고 귀문이 넓고 단정하며 뾰족하지 않고 두 귀의 크기가 같고 또 위치가 눈썹위에 있고 흰빛이 은과 같으면 대길한 상으로 일찍이 녹복을 얻는다.
쭈그러지고 두 귀의 크고 작음이 다르고 비뚤어지면 재산을 파하고 학업 이루지 못한다.
2) 목성(木星)
남자는 왼쪽 귀 여자는 오른쪽 귀가 목성에 속하며 귀로써 윤곽이 분명하고 홍백색이며 크고 작고를 불구하고 귀 문이 넓고 단정하며 뾰족하지 않고 두 귀의 크기가 같고 또 위치가 눈썹 위에 있고 흰빛이 은과 같으면 대길한 상으로 일찍이 녹복을 얻는다.
쭈그러지고 두 귀의 크고 작음이 다르고 비뚤어지면 재산을 파하고 학업도 이루지 못한다.
3) 수성(水性)
입에 속하며 입술이 주홍색이고 四자와 같고 인중(코밑입술위)이 뚜렷하고 이빨이 고르면 이것은 좋은 상으로 문장이 출중하고 관록을 얻는다.
입술이 건조하거나 거칠고 누른색을 띄우고 입이 아물어지지 않고 헤벌레 하면 빈천한 상이다.
4) 화성(火星)
이마에 속하며 이마가 넓고 모지고 팽팽하고 빛이 밝으면 높은 관직과 명예와 재복이 있다.
5) 토성(土星)
코에 속하며 코가 우뚝한 곳인데 코끝이 풍부하고 콧구멍이 들어가지 않고 콧대가 평만하고 곧고 비뚤어지지 않으면 이는 좋은 상이며 복록과 장수한다.
코가 바르지 못하고 코끝이 뾰족하거나 콧구멍이 휑하게 보이거나 콧대가 비뚤어졌거나 움푹파여 있으면 나쁜 상으로 마음이 바르지 못하며 가업을 파하고 빈천 단명 한다.
6) 나후(羅睺).계도(計都)
나후(왼쪽눈썹) 계도(오른쪽눈썹)는 검고 가지런하고 길이가 눈보다 길고 두눈 눈썹의 모양이 같으면 좋은 상으로 의식이 풍족하고 부모가 장수하며 친인척간에 우애가 돈독하다.
만일 두 눈썹이 서로 닿는 듯 하거나 길이가 심히 짧거나 누런색 혹은 붉은 색을 띄었으면 단명하고 자녀가 악사 한다.
7) 태양(太陽).태음(太陰)
태양(왼쪽눈) 태음(오른쪽눈)은 흑백이 분명하고 가늘고 길어야 하며 동자가 검고 광채가 있으면 좋은 상으로 귀하게 된다.
검은빛보다 흰색이 많거나 동자가 누렇거나 붉은 색을 띤 사람은 부모처자에게 해만 끼칠 뿐 아니라 재앙이 따르고 재산을 파괴하며 단명하다.
오성(五星)
풍수의 오성으로,
① 수성산(水星山)은 물결같이 기복(起伏)이 부드럽다.
② 목성산(木星山)은 갑자기 가파르게 용수(聳秀)한 모습이다.
③ 화성산(火星山)은 불꽃처럼 첨봉(尖峯)이다.
④ 토성산(土星山)은 산정상(山頂上)이 일자 모양으로 평평하다.
⑤ 금성산(金星山)은 원형(圓形)으로 둥글다.
오성취강격(五星聚講格)
風水의 하나.
금목수화토형(金木水火土形)의 산(山)이 한곳에 모여 있는 것을 말한다.
오신채
스님들의 음식에 삼가는 다섯 가지 향이 강한 채소. 일반적으로 마늘, 파, 부추, 생강, 달래 등을 가리키지만 경전에 따라 그 종류가 조금씩 다르다.
오신통(五神通)
부처님의 가르침에 따라 공부하고 행함으로 갖추게 되는 다섯 가지 불가사의하고 자유 자재한 능력.
① 신족통(神足通). 마음대로 갈 수 있고 변할 수 있는 능력.
② 천안통(天眼通). 모든 것을 막힘없이 꿰뚫어 환히 볼 수 있는 능력.
③ 천이통(天耳通). 모든 소리를 마음대로 들을 수 있는 능력.
④ 타심통(他心通). 남의 마음 속을 아는 능력.
⑤ 숙명통(宿命通). 나와 남의 전생을 아는 능력.
오악(五嶽)
얼굴의 다섯 군데 이마 코 좌우관골 턱의 솟은 곳을 산악에 비유해서 붙인 명칭이다.
1) 남(南)
이마는 남쪽에 속하며 남악형산(南嶽衡山)이라 하고 이마가 좁으면 재산을 모으기 어렵고 모았다 하더라도 쉽게 패한다.
2) 동(東)
왼쪽 관골은 동쪽에 속하며 동악태산(東嶽泰山)이라 관골은 솟고 주위와 조화를 이루면 좋고 높지도 않고 솟지도 않아 유약하여 관골이 없는 듯 하면 소인의 상이고 마음이 악독하다.
3) 서(西)
오른쪽 관골은 서쪽에 속하며 서악화산(西嶽華山)이라 하고 관골은 솟고 주위와 조화를 이루면 좋고 높지도 않고 솟지도 않아 유약하여 관골이 없는 듯 하면 소인 상이고 마음이 악독하다.
4) 북(北)
턱은 북쪽에 속하며 북악항산(北嶽恒山)이라 하고 턱이 뾰족하면 말년에 곤고하게 지낸다.
5) 중앙(中央)
코는 중앙에 속하며 중악숭산(中嶽崇山)이라 하고 코는 높고 곧아야 하는데 얇고 약하면 중심이 없고 하는 일마다 실패한다.
오악산(五嶽山)
무속용어의 하나.
동악 금강산, 서악 묘향산, 남악 지리산, 북악 백두산, 중악 삼각산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