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학백과사전-ㅅ부

역학사전-ㅅ-31

유프랭크지안 2017. 12. 1. 22:24

역학사전-ㅅ부-31

십이운성(十二運星)

십이지는 음과 양이 발생하고 성장하며 성숙하고 노쇠 하는 왕쇠 강약을 세부적인 치수로서 나타낼 뿐 아니라 오행의 왕쇠 강약까지도 세밀히 밝혀준다.

음양의 3양3음은 음양의 왕쇠 강약을 1에서 6까지 6단계로 나눈 데 반해서 오행의 왕쇠 강약은 1에서 12까지 12단계로 세분화하고 있다.

이는 발생 이전의 잉태에서부터 시작해서 발생과 성장 그리고 성숙과 노쇠와 사멸에 이르기까지 만물의 일생과정을 너무도 자세하고 뚜렷하게 분별함으로써 인간을 비롯한 중생의 일생을 한눈으로 관찰할 수가 있다. 이를 크게 나누면 잉태기, 성장기, 성숙기, 노쇠기의 네 가지로 분별할 수 있다.

1. 잉태기

태기가 나타나는 포(胞)와 임신이 성립된 태(胎)와 태아가 만삭이 된 양(養)으로 구분되고,

2. 성장기

출생한 장생(長生)과 어린이시절의 목욕(沐浴)과 결혼해서 성인이 된 관대(冠帶)로 구분되며,

3. 성숙기

육체적 정신적으로 완전무결하게 무르익어서 능히 벼슬과 독립할 수 있는 건록(建祿)과 최고의 정상에 오르는 전성기의 제왕(帝旺)과 나이가 들어서 마침내 왕관을 벗고 한 걸음 물러서는 쇠(衰)로 구분하고,

4. 노쇠기

노쇠가 심해서 활동이 불완전한 병(病)과 병이 심해서 수명을 다하는 사(死)와 마침내 무덤에 묻히는 묘(墓)로 구분된다.

인생은 죽어서 저승에 가면 다시 인도 환생한다. 이를 부활 윤회 또는 절처봉생(絶處逢生)이라고 한다.

운성

일간

장생

長生

목욕

沐浴

관대

冠帶

건록

建祿

제왕

帝旺

십이월(十二月) 기색(氣色)

1) 1. 2월에는 오른쪽 귀와 오른쪽 관골의 기색을 주로 살피고 다음으로 코와 이마를 살핀다.

이곳이 황명하거나 홍명하거나 자색을 띠거나 청윤하면 길상이라 하고, 어두우면 불길하다.

2) 3. 6. 9. 12월은 코와 두 관골을 살핀다.

이곳이 황윤하면 길하고, 청암색 적색을 띠면 불길하다.

3) 4. 5월은 이마를 주로 살피고 다음은 코의 부근을 살핀다.

이곳은 홍황 자색을 띠어야 아름답고 그 나머지 색은 모두 불리하다.

4) 7. 8월은 왼쪽 귀를 주로 살피고 다음으로 코와 이마를 살펴본다.

이곳이 희고 윤택하면 아름답고, 만약 푸르고 붉고 검으면 불리하다.

5) 10. 11월은 두 눈과 입술을 주로 살펴야 한다.

이곳은 붉고 윤택함이 길하고, 푸르고 검은 빛은 불리하다.

청색은 봄에 마땅하고, 홍색은 여름에 가하고, 백색은 가을이 좋고, 흑색은 겨울이 마땅하고, 황색은 사계절에 마땅하다고 하나 이것은 대체적인 논리에 따르니 이것에 구애받지 말고 기색의 길흉을 판단해야 한다.

십이인연(十二因緣)

인생이 이 세상에 나게 된 근본 원인으로 죽음에 이르게 되기까지의 인연, 인과와 원리를 십이단계로 구분한 것이며 생노병사(生老病死)의 원인이 무명이며 무명의 뿌리인 애욕과 번뇌를 남김없이 끊어 버리고 무명에 가려 빛을 발하지 못한 지혜광명을 드러내 최상의 깨달음을 얻어야 한다.

1) 무명(無命)

무지(無知)의 뜻으로써 맹목적임을 의미한다.

(맹목적 생존욕, 본능적 생명력, 생활 의지)

2) 행(行)

몸과 말과 뜻으로 하는 모든 행동을 뜻하며 무명의 끊임없이 활동하는 상태.

3) 식(識)

인식작용을 뜻하며 행위의 원동력이 된다.(선,악)

4) 명색(命色)

식(識)의 대상으로써 육경(六境) [빛깔色, 소리聲, 냄새香, 맛味, 감촉觸, 의식경계法]을 말한다.

5) 육입(六入)

눈, 귀, 코, 입, 몸, 의식의 여섯 가지 감각기관을 가리키며 감각과 지각의 능력을 의미한다.

6) 촉(觸)

앞의 여섯 감각기관이 바깥 경계의 빛깔, 소리, 냄새, 맛, 몸의 촉감, 의식경계등의 대상을 접촉하는 상태.

7) 수(受)

감각기관이 바깥의 대상에 접촉한 다음의 결과로 좋고, 나쁘고, 즐겁고, 불쾌한 느낌의 상태.

8) 애(愛)

목 마른자가 물을 찾는 것과 같은 심한 욕구를 가리키며 인식에 의해 고락(苦樂)등의 감수가 생기면 고(苦)를 주는 사람이나 사물에 대해서는 미워하고 피하려는 욕구가 생기고, 낙(樂)을 주는 사람이나 사물에 대해서는 구하고 애착하려는 열망을 낳는 강한 욕구와 열망을 뜻한다.

9) 취(取)

앞에 말한 애(愛)는 마음속에 일어나는 심한 애증의 생각이라 하였거니와 취(取)는 생각(念) 다음에 일어나는 취하고 버리는 실제행동을 의미한다.

10) 유(有)

소유욕에 의하여 선, 악업을 짓는 것으로서 앞의 애(愛), 취(取)의 인연에 따라 갖가지 업을 지어 과보를 초래 하는 것을 말한다.

11) 생(生)

위의 업의 인연으로 미래의 생을 받게 되는 것을 가리키기도 하고, 일상생활에서 어떤 경험이 생기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12) 노사(老死)

생의 현실로 마침내 늙고 병들어 죽음의 결과를 초래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십이지(十二支)

子 쥐. 丑 소. 寅 범. 卯 토끼. 辰 용. 巳 뱀. 午 말. 未 양. 申 잔나비. 酉 닭. 戌 개. 亥 돼지. 열둘의 地支. 열두 띠.

십이지신(十二地神)

1) 갑자신장(甲子神將)

호는 비천대제(飛天大帝), 이름은 원덕 또는 공격장군이라 하고, 쥐머리에 사람 몸으로 생겼고 키는 19자나 되며 양광 천뢰궁에 살고 6명의 귀신부하와 99.990명의 신병을 거느리고 충효하는 사람을 도우며 어질지 못하고 불의를 행하는 자를 보면 크게 성을 내며 하늘 꼭대기 청청 밑에 끌고 가 죽여 없앤다고 함.

2) 갑술신장(甲戌神將)

호는 엄랑(淹郞)이며, 이름은 승통 또는 사옥장군이라 부르고 개머리에 사람 몸 모습이며 키는 16자 장신이고 치마와 저고리를 입은 여자 정승이고 술을 좋아한다.

사황천개궁에 살며, 6명의 귀신부하와 55.550명의 신병을 거느리는데 기꺼이 올바른 일을 하는 장수(주인)를 돕고 적병(재앙, 귀신)을 목을 베어 죽이는데 하늘 꼭대기 청황 밑에 푸른 끈으로 머리를 얽어서 매달아 놓는다고 한다.

3) 갑신신장(甲申神將)

호는 육부신이라 하고 이름은 문통 또는 월보장군이라 부른다.

원숭이 머리에 사람 몸을 하고 잇는데 키는 11자5치이고 사랑을 즐기며 단 것을 좋아한다.

천월궁에 살며 6명의 귀신부하와 77.770명의 신병을 거느리는데 그의 명에 따르는 자는 기꺼이 돕고 거스르는 자는 두들겨 패서 파랑실로 묶고 하늘 끝 청백 처에 버린다.

4) 갑오신장(甲午神將)

호는 평수장군이며 이름은 문백이라 하고 19자의 장신인데 말머리에 사람 몸의 신상이다.

성정은 아주 사납고 마음에 들지 않으면 급히 찾아 벌주고 개고기를 좋아한다.

6명의 귀신부하와 99.990명의 신병을 거느린다.

구조를 청하면 즐겨 돕고 원수(사귀)를 죽여서는 하늘 끝 청하에 청홍색 끈으로 묶어 매달아 죽인다.

5) 갑진신장(甲辰神將)

호는 평만장군이고 이름은 통원이라 한다.

용머리에 사람의 몸을 하고 키는 19자이고 6명의 귀신신하와 55.550명의 신병을 거느린다.

진실한 사람을 즐겨 돕고 요사스러운 자를 소탕하며, 성정은 청고하며 하늘을 따르는 자는 돕고 반역하는 자에게는 용서함이 없으며 동남방을 좋아한다.

6) 갑인신장(甲寅神將)

호는 육설장군이며 이름은 절략 또는 관개량인데 호랑이 머리에 사람 몸으로 키는 10자가 넘고 성정은 매우 조급해서 무서운 힘을 억제할 수 없다.

정의를 해치고 사악을 행하는 자를 용서하지 않는다.

천원(天苑)에서 놀며 육길궁에서 산다.

6명의 귀신과 77.770명의 신병을 거느린다.

7) 정묘신장(丁卯神將)

호는 일육장군이고 이름은 잔인이다.

토끼머리에 사람 몸에 키는 16자로 아주 부드럽고 온순한 성정을 지녔다.

구천의 번갯불을 다스리는 사령이며 6명의 귀신과 66.660명의 신병을 거느려 사귀를 쫓아 베어 죽이고 진실한 사람을 보좌한다.

파랑 빨간색의 주석방울을 들고 다닌다.

8) 정축신장(丁丑神將)

호는 일혁장군이고 이름은 일허라 한다.

소머리에 사람 몸의 신장인데 성정은 향내를 풍기는 것을 좋아하고 키는 18자에 천한궁에서 살며 논밭에 물을 대는 수리권을 맡은 사령으로 물에서 싸우길 좋아하고 6명의 귀신부하와 88.880명의 신병을 거느려 적을 무찌른다.

적 청 두색의 주석제 방울을 가지고 있다.

9) 정해신장(丁亥神將)

호는 일도장군이며 이름은 정경이라 한다.

돼지머리에 사람 몸에 14자의 키를 가진 신장이다.

성정은 쌀밥과 술을 좋아하고 마땅한 일엔 너그럽게 청을 들어주되 옳지 못하면 급히 뿌리친다.

진천황군에서 사는데 그를 따르는 자는 기쁨이 따르게 하고 거역하는 자는 죽여 없앤다.

6명의 귀신과 44.440명의 신병을 빨강과 노랑의 방울로 지휘하여 다스린다.

10) 정유신장(丁酉神將)

호는 일비장군이고 이름은 문경이라 한다.

닭 머리에 사람 몸에 16자 키의 신장인데 성정은 아주 고약하고 해서 안 될 일도 마구 해버리는데 술과 고기를 즐겨 먹고 땅에서는 잘 싸우나 물에서는 싸우지 않는다.

소휘궁에서 살며 6명의 귀신과 66.660명의 신병을 거느려 성루를 부수고 적진을 뺏으며 적장의 목을 베는 사령관으로 기를 뺏고 졸개들은 북쪽 적백 땅으로 쫓아버린다.

11) 정미신장(丁未神將)

호는 해(日)장군이고 이름은 문공이라 한다.

양머리에 사람 몸에 키는 16자의 신장이다.

과일 채소를 즐겨하고 흐리고 비오는 날을 싫어한다.

진남극궁에 살면서 6명의 귀신과 88.880명의 신병을 통솔하여 적진을 부수고 많은 포로를 잡는데 무서워 방어를 못하게 한다.

붉은 방울을 들고 다닌다.

12) 정사신장(丁巳神將)

호는 일진(日陳)장군이고 이름은 화석이다.

뱀 머리에 사람 몸을 하고 있는 신장으로 성정이 독살스러워 함부로 불러 쓸 수 없다.

가축을 즐겨 먹으며 땅과 물을 가리지 않고 잘 싸우는데 6명의 귀신과 44.440명의 신병을 거느리고 적진을 내놓는가 하면 다시 빼앗고 물러나는가 하면 나아가 신출귀몰 변화무쌍하다.

십이학당(十二學堂)

십이 학당이란 4학당(눈, 이마, 이, 귓문)과 8학당(머리, 액각(이마). 인당, 눈빛(안광), 귀, 이빨, 혀, 눈썹)을 합한 것을 말한다.

1) 눈. 관학당(官學堂), 눈은 길고 맑아야 관록이 있다.

2) 이마. 녹학당(祿學堂), 이마는 넓고 길어야 관직과 장수를 누린다.

3) 앞이. 내학당(內學堂), 이는 바르고 촘촘하게 나와야 정직 신의가 있고 효자다.

4) 귓문. 외학당(外學堂), 귀문은 풍만하고 윤기가 있어야 길하다.

5) 머리. 고명학당(高明學堂), 머리는 둥글고 골이 솟아야 한다.

6) 이마. 고광학당(高廣學堂), 이마는 모가지고 솟고 윤택해야 한다.

7) 인당. 광대학당(光大學堂), 인당은 평하고 밝고 흠집이 없어야 한다.

8) 눈빛. 명수학당(明秀學堂), 눈빛은 검고 밝아 그림자가 비치면 길하다.

9) 귀. 총명학당(聰明學堂), 귀는 윤곽이 선명하고 희고 붉어야 길하다.

10)이빨. 충신학당(忠信學堂), 이빨은 고르고 촘촘하고 서릿발 같이 희어야 좋다.

11)혀. 광덕학당(廣德學堂), 혀는 길고 붉어야 한다.

12)눈썹. 반순학당(班笋學堂), 눈썹은 길고 가지런하여 초생달 같아야 길상이라 한다.

십인(十忍)

1. 보살이 무명번뇌를 끊고 온갖 법이 본래 적연한 줄을 깨달을 때에 생기는 열 가지 안주심 즉 음성인, 순인, 무생인, 여환인, 여염인, 여몽인, 여혜인, 여영인, 여화인, 여공인, 음성인, 음향인이라고도 함.

여러 부처님이 설법하는 소리에 의하여 진리를 깨닫고 안주(安住)함.

1) 순인(順忍)

지혜로 온갖 법을 생각하고 관찰하여 진리에 隨順 함.

2) 무생인(無生忍)

불생불멸하는 진여법성(眞如法性)을 증득하여 결정안주하고 온갖 법의 형상을 여의는 것.

3) 여환인(如幻忍)

온갖 법은 인연으로 생기는 것이므로 그 성품이 적멸한 것이 마치 환(幻)과 같은 줄 할고 안주함.

4) 여염인(如焰忍)

물심(物心)의 현상은 다 아지랑이(陽焰)와 같이 잠시적 존재로 본성이 공적한 것이라 알고 안주 함.

5) 여몽인(如夢忍)

법부의 망심(妄心)은 꿈속의 경계와 같이 진실성이 없는 줄 알고 안주 함.

6) 여향인(如響忍)

범부의 귀에 들리는 언어 음성은 인연으로 생긴 것이니 메아리와 같이 진실성이 없는 줄 알고 안주 함.

7) 여영인(如影忍)

범부의 몸은 5온이 모여 생긴 일시적인 집합체로서 진실성이 없는 것이 그림자와 같은 줄 알고 안주 함.

8) 여화인(如化忍)

온갖 법은 생멸 변화하는 것으로 있는 듯 하다가도 없고 없는 듯 하다가도 있어서 마치 변화하는 사상(事象)과 같아서 그 실체가 없는 줄 알고 안주 함.

9) 여공인(如空忍)

세간, 출세간의 온갖 법은 허공과 같아서 붙잡을 수 있는 실체가 없는 줄 알고 안주 함.

2. 인왕경 천태소에서 말한 열 가지의 인, 계, 지, 견, 정, 혜, 해탈, 공무원, 무상, 무생.

십재일(十齋日)

매월 불보살 10인의 재일을 정하여 이날은 불보살께 예배하고 찬양하며 불자는 받은 계를 재조명하여 보고 오후 불식을 지킨다.

1) 1일. 정광불 재일(연등불: 선혜보살에게 마정수기를 준 부처님).

2) 8일. 약사여래 재일.

3) 14일. 보현보살 재일.

4) 15일. 아미타불 재일.

5) 18일. 지장보살 재일.

6) 23일. 대세지보살 재일.

7) 24일. 관세음보살 재일.

8) 28일. 비로자나불 재일.

9) 29일. 약왕보살 재일.

10) 30일. 석가여래 재일.

십팔불공법(十八不共法)

십팔불공불법(十八不共佛法). 이는 부처님에게만 있는 공덕(功德)으로써 이승(二乘)이나 보살(菩薩)에게는 공동(共同)하지 않는 열여덟 가지 공덕.

부처님은 무량한 겁에 선업을 닦고 번뇌를 멸하고 우주의 궁극적인 진리를 가장 정확하게 깨달은 자이므로 일반 범부들과는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위대한 지혜와 덕을 갖추고 있다.

부처님만이 갖는 그러한 능력이 경전에서 여러 가지로 설명을 하는데, 그 중에서 대표적인 것은 십팔 불공법이다.

불공법이라는 말은 범부는 물론 아라한이나 벽지불 또는 보살과도 구별되는 부처님 독자의 법이라는 뜻으로 십력(十力), 사무소외(四無所畏), 삼념주(三念住), 대비(大悲) 의 18가지를 말한다.

십력(十力)은 부처님이 중생심의 갖가지 번뇌, 성향, 수행 등에 대해 정확하게 아는 지혜의 힘을 갖고 있는 것을 말한다.

1) 바른 도리와 그렇지 않은 도리를 판별하는 지혜의 힘

2) 선악업과 그 과보를 여실히 아는 지혜의 힘.

3) 4선, 8해탈, 3삼매 등을 여실히 하는 지혜의 힘.

4) 중생의 근기의 높고 낮음을 여실히 아는 지혜의 힘.

5) 중생의 여러 가지 의욕과 경향을 여실히 아는 지혜의 힘.

6) 중생계와 그 성류(性類)를 여실히 아는 지혜의 힘.

7) 어떤 수행에 의해 어떤 도에 나가는가를 여실히 아는 지혜의 힘.

8) 중생의 숙명을 여실히 아는 지혜의 힘.

9) 중생의 미래를 여실히 아는 지혜의 힘.

10) 일체의 번뇌가 다한 것을 여실히 아는 지혜의 힘.

무소외의 네 가지.

1) 일체 지혜 있는 자로서의 자신(自信).

2) 일체의 번뇌를 극복하였다는 자신.

3) 수행에 장애 되는 길을 설할 수 있는 자신.

4) 괴로움을 멸하는 길을 설할 수 있는 자신.

부처님이 바른 마음에 머물러 흔들림이 없으니 이것을 염주라 한다.

1) 중생이 부처님을 신봉하여도 기쁜 마음을 일으키지 않고 정념(正念)에 머물음.

2) 중생이 부처님을 불신하여도 우울한 마음을 일으키지 않고 정념에 머물음.

3) 중생이 부처님을 신봉하거나 비방해도 기뻐하는 마음이나 우울한 마음을 일으키지 않고 정념에 머물음.

대비는 부처님이 이미 깨달음을 이루었으니 그의 모든 공덕은 오로지 중생에게 회향하는 것이다.

즉 부모가 그 아이를 연민 하는 것처럼 일체 중생에게 한없는 자비심을 일으켜 모든 중생을 건져 삼계의 괴로움을 벗어나게 하는 것이다.


'역학백과사전-ㅅ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학사전-ㅅ-30  (0) 2017.12.01
역학사전-ㅅ-29  (0) 2017.12.01
역학사전-ㅅ-28  (0) 2017.12.01
역학사전-ㅅ-27  (0) 2017.12.01
역학사전-ㅅ-26  (0) 2017.1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