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학사전-ㅅ-11 ㅅ부-11 삼정심혈법(三停尋穴法) 風水 혈세(穴勢)의 하나. 삼정심혈법(三停尋穴法)은 하나의 산(山)에서 혈(穴)이 높은 곳에 있는지, 중간에 있는지, 낮은 곳에 있는지를 살피는 심혈법(尋穴法)이다. 청룡(靑龍)과 백호(白虎) 안산(案山) 조산(朝山) 등 주변 산(山)들의 높고 낮음에 따라 혈(.. 역학백과사전-ㅅ부 2017.10.22
역학사전-ㅅ-10 ㅅ부-10 삼신할매 산신産神 기도 삼신할매는 여성의 잉태와 출산, 육아, 산모의 건강을 관장한 여성 신명이다. 정월 초하루 인시에 옥황상제로부터 “너는 세상에 내려가서 아기를 낳게 하는 삼신할매가 되어라.” 삼신단에는 언제나 아래 ①②를 걸어 놓는다. ① 쌀 3되3홉을 흰 자루에 .. 역학백과사전-ㅅ부 2017.10.22
역학사전-ㅅ-9 ㅅ부-9 311 초흉후길지의(初凶後吉之意) 토정비결 311 수. 선착장에 엎드려 삼경을 울고 가는 나그네여. 인생사 허무한 것을 무얼 그렇게 슬퍼하나. 강을 건너려 해도 배가 보이지 않는 구나. 위아래 사람이 불화하니 가정이 불안하다. 명예를 손상당하지 않으면 곤욕을 치르리라. 삼동(三冬.. 역학백과사전-ㅅ부 2017.10.22
역학사전-ㅅ-8 ㅅ부-8 삼계구지(三界九地) 1. 삼계(三界) 1) 욕계(欲界) 욕유(欲有) 2) 색계(色界) 색유(色有) 3) 무색계(無色界) 무색유(無色有). 2. 구지(九地) 1) 오취잡거지(五趣雜居地) 2) 이생희락지(離生喜樂地) 3) 정생희락지(定生喜樂地) 4) 이희묘락지(離喜妙樂地) 5) 사념청정지(捨念淸淨地) 6) 공무변처.. 역학백과사전-ㅅ부 2017.08.05
역학사전-ㅅ-7 ㅅ부-7 산문출송(山門黜送) 스님으로 큰 죄를 지은이에게 승권(僧權)을 빼앗고 절에서 내 쫒는 제도이다. 일제시대의 사법(寺法)에는, 체탈도첩이라 하고 속어에는 “명색(名色)을 뗀다” 고 한다. 그 방법은 대중회의를 열고 승단에서 쫒아 내기로 결정하면 의발(衣鉢)을 빼앗고 .. 역학백과사전-ㅅ부 2017.08.05
역학사전-ㅅ-6 ㅅ부-6 사지(四肢) 사지란 두 팔과 두 다리를 말하는데 춘하추동의 사시를 상징한 것이다. 사지에 머리를 합하여 오체라고 하는데 이는 오행을 상징함이니 즉 사시가 고르지 못하면 만물이 차서를 잃고 사지가 단정하지 않으면 일신이 곤고하며 오행이 조화를 이루지 못하면 만물이 자라.. 역학백과사전-ㅅ부 2017.07.28
역학사전-ㅅ-5 ㅅ부-5 사자(獅子) 당사주 심성의 하나. 소가 변모하여 사자가 된 격이니 두려울 바 없고 초월하였으니 우직하여 막히지 않는다. 사람을 대함에 위엄이 있고 일을 처리함에 용맹이 뛰어나니 남에게 뜻을 굽히지 않는다. 마음이 사해처럼 넓어도 성격이 불같이 급하니 번개 치듯 호령을 하.. 역학백과사전-ㅅ부 2017.07.28
역학사전-ㅅ-4 ㅅ부-4 사 (4) 신념성 탄생 숫자로 보는 성운의 하나. 완전성, 전체성, 정의를 상징한다. 선 천적 운명보다 후천적 의지를 중시 여기며, 도전정신과 개척정신도 강하다. 능력을 살릴 수 있는 기회를 스스로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자신의 재능 개발에 대한 투자를 아끼지 않는다. 어떤 일을 .. 역학백과사전-ㅅ부 2017.07.19
역학사전-ㅅ-3 ㅅ부-3 사서삼경(四書三經) 사서오경(四書五經) 또는 사서삼경(四書三經)은 유교의 경전으로, 경전중에 가장 핵심적인 책이다. 사서(四書)는, 논어(論語), 맹자(孟子), 대학(大學), 중용(中庸)을 말하고, 삼경(三經)은, 시경(詩經), 서경(書經), 역경(易經)을 말한다. 삼경에 춘추(春秋)와 예기(.. 역학백과사전-ㅅ부 2017.07.19
역학사전-ㅅ-2 ㅅ부-2 사란(絲欄)전 무속용어의 하나. 우물 정(井)자 모양의 간격으로 질서 정연한 것을 말 한다. 사룡(死龍) 風水 사절룡(死絶龍)의 하나. 사룡(死龍)은 용(龍)의 기복(起伏)이 없고 곧고 딱딱하다. 산 능선이 있는지 없는지 모호하고 거칠며 지각이 없는 용(龍)이다. 마치 죽은 뱀처럼 축 .. 역학백과사전-ㅅ부 2017.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