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학백과사전-ㅊ부

역학사전-ㅊ-2

유프랭크지안 2017. 7. 1. 23:29

-2

천구(遷柩)

상례절차(喪禮節次)14,

천구는 영구를 상여 또는 운구차 로 옮기는 것을 말한다.

1) 발인 하루 전 저녁에는 천구할 것을 집안 사당에 제사를 지내며 고한 다.

이때 읽는 축을 조전축(祖奠祝)이라 한다. 축문은, 永遷之禮 靈辰不留 今奉柩車 式遵祖道 (영천지례 영신불류 금봉구거 식준조도) 영원히 가시는 예이오며 좋은 때가 머므르지 아니하와 이제 상여를 받들겠사오니 먼 길을 인도하여 주소서.

2) 발인날 아침에 빈소에 조전(朝奠)을 올리고 천구할 것을 고한다.

이때 읽는 축을 계빈축(啓殯祝)이라 한다. 축문은, 今以吉辰 遷柩敢告 (금이길신 천구감고) 오늘 좋은 날을 맞아 관을 옮기려고 삼가 고하옵니다.

3) 날이 밝으면 널을 상여로 옮겨간다.

이때도 축을 읽는다.

이를 천구청사축(遷柩廳事祝)이라 한다.

축문은, 請 遷柩于聽事 (청 천구우청사)관을 밖으로 옮기기를 청하옵니다.

4) 관을 상여나 운구 차에 옮겨놓고 천구취여축(遷柩就驪祝)을 읽는다.

축문은, 今遷 柩就驪敢告 (금천 구취여감고) 이제 널을 상여로 옮겼음에 삼가 고합니다.

천구살

흉살로 손재 질병 신액 가정불화의 액이 따른다.

生月

1

2

3

4

5

6

7

8

9

10

11

12

地支

천구하식시(天狗下食時)

이 시간에 제사나 기도 고사를 지내면 무효가 된다.

子日 亥時. 丑日 子時. 寅日 丑時. 卯日 寅時. 辰日 卯時. 巳日 辰時

午日 巳時. 未日 午時. 申日 未時. 酉日 申時. 戌日 酉時. 亥日 戌時

천금문(千金紋)

이 상은 재물 복을 많이 타고났음을 의미하는 상이다.


소년 시절에 이 상이 나오면 곧 부모의 유산을 이어 받아 대 재산가가 된다는 표시이며 성인이 현재 무일푼인 사람이 이 상이 나타나면 장래에 큰 재산이 굴러들어 온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천농지아일(天聾地啞日)

乙丑 乙未 丙寅 丙子 丙申 丙辰 丁卯 戊辰 己卯 庚子 辛巳 辛丑 辛亥 辛酉 壬子 癸丑

천덕귀인(天德貴人)

길신(吉神)의 하나.

천덕귀인은 월지(月支)를 중심으로 본다.

월지

천덕

천덕귀인이 사주 중에 있으면 선조의 유덕(遺德)이 있고 관운(官運)이 좋으며 심성이 좋다.

또 하늘의 은총을 받는다는 길성(吉星)으로 악살(惡煞)을 풀어주고 재액(災厄)을 막아주며 어려움에 처해서는 천우신조의 도움을 받게 된다.

천도(天道)

육도(六道)의 하나.

()들의 세계라는 뜻으로, 수미산 중턱에 있는 사왕천에서 무색계의 유정천(有頂天)까지를 말함.

사왕천은 동쪽에 있는 지국천, 남쪽에 있는 증장천, 서쪽에 있는 광목천, 북쪽에 있는 다문천을 말함.

그리고 수미산 정상에는 제석을 위시하여 33천이 사는 도리천이 있고, 그 위에 야마천 도솔천 낙변화천 타화자 재천이 있는데, 사왕천에서 타화자재천까지를 육욕천(六欲天)이라 함.

그 위의 색계에는 17천이 있고, 색계 위의 무색계에는 4()이 있는데, 맨 위에 있는 비상비비상처천(非想非非想處天)을 유정천(有頂天)이라 한다.

천도유한난(天道有寒暖)

조후 용신에서 하는 말. 천도유한난(天道有寒暖: 하늘에는 차갑고 따뜻한 기의 도가 있고). 지도유조습(地道有燥濕: 땅에는 건조하고 축축한)

천도재

천도재라고 하면 흔히 제사지내는 의식으로 알고 있는 사람이 많다.

그러나 천도는 죽은 이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불보살님께 재를 올리고 영혼들로 하여금 극락세계나 천상에 태어나도록 기원하며 좋은 길로 인도하는 의식이다.

그래서 천도재를 올릴 때는 새로운 세상에 몸을 바꾸어 태어날 수 있도록 보살펴 주고, 영혼의 배고픔을 달래주는 법식(法食)을 먹여주며, 이생에서 못다 한 일들에 대한 애착과 맺힌 원한을 풀어주는 부처님의 가르침과 왕생기도문을 들려준다.

중생은 본질적으로 자기가 생전에 지은 업에 따라

다음 생이 결정되지만 죽은 후에라도 영가가 미혹한 마음을 돌려 진리를 깨달으면 좋은 곳에 날 수 있다.

따라서 죽은 이의 영가를 인도해 영가 스스로 생전의 죄를 참회하도록 권하고 부처님의 가르침을 깨닫게 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데 이것이 바로 천도재이다.

[지장경]에는 죽은 이를 위해 재를 지내면 그 공덕의 7만 분의 1만 죽은 이에게 가고 나머지는 재를 지내는 사람에게 간다고 한다.

그러므로 천도재를 지낼 때에는 죽은 이의 명복을 비는 것에 그치지 않고 스스로 참회와 수행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

예를 들어 부모를 위해 천도재를 지낸다면 생전에 자신이 저지른 불효와 악업을 참회하고 새롭게 태어나는 기회로 삼아야 한다.

죽은 지 오래된 사람이라 할지라도 유가족이 지극 정성으로 부처님께 공양을 올리며 천도재를 지내면 나쁜 세계에서 벗어나게 된다고 한다.

[지장경]에 따르면 한 생()의 부모, 형제, 가족뿐만 아니라 10, 100, 천생의 부모, 형제, 가족도 천도될 수 있다고 했다.

천도재에는 49재와 100일재, 소상, 대상 등이 있다.

천라지망(天羅地網)

戌亥가 천라(天羅). 辰巳가 지망(地網)으로 이를 천라지망(天羅地網) 일이 뜻대로 잘 풀리지 않고 무기력해 진다.

천라십대(天羅十代)

1) 얼굴 전체에 흑기가 가득한 것을 사기천라(四氣天羅)라 한다.

이 형상이 나타나면 수명이 얼마 남지 않은 징조이다.

2) 얼굴 전체에 백색이 가득히 나타나는 형상을 상곡천라(喪哭天羅)라 한다.

이러한 사람은 집안에 상패가 많이 생긴다.

3) 얼굴 전체에 청기가 나타난 것을 우체천라(憂滯天羅)라 한다.

이런 상태가 나타나면 우환이 생기고 매사 저해가 많다.

4) 얼굴에 황색이 이러 난 것을 질병천라(疾病天羅)라 한다.

이러한 형상이 보이면 중병에 걸릴 상이다.

5) 얼굴에 개기름이 흐르는 것을 허화천라(虛花天羅)라 한다.

이러한 사람은 매사가 유두무미격이다.

6) 눈빛이 흘겨보고 자주 깜박거리는 것을 간음천라(姦淫天羅)라 한다.

이러한 사람은 남녀간에 음란해서 사정을 통하게 된다.

7) 얼굴이 불덩이 같이 뻘건 것을 관사천라(官司天羅)라 한다.

이러한 사람은 관재구설 및 시비가 항상 따른다.

8) 얼굴이 술에 취한 듯한 모양을 형옥천라(刑獄天羅)라 한다.

이러한 사람은 형법을 범하여 옥살이를 자주 한다.

9) 남자의 목소리가 아름답고 여자와 같은 태도이면 고형천라(孤刑天羅)라 한다.

이러한 사람은 형제 처자를 형극하므로 고독하다.

10) 콧머리에 아롱진 점이 티끝 갈이 나타나면 것을 퇴패천라(退敗天羅)라 한다.

이러한 사람은 모든 일이 실패가 많고 재산이 소모된다.

천라홍수

무속용어의 하나.

피할 수 없는 나쁜 운수을 천라홍수라 말한다.

천록방(天祿方)

이사방위의 하나. 관록과 식록이 이르는 곳.

천뢰무망(天雷無妄) 年運

무망이란 아무 욕망이 없이 하늘의 법칙에 순응함을 말한다. 우레가 하늘밑에서 울리니 지금까지 쇠약했던 기운이 다시 활기를 띤다. 그러므로 크게 발전한다.

이제 모든 것이 형통하고 발전하며 번영하는 행운을 보이는 운세다.

일면 동요하고 안정하지 못하나 진실하고 성의있는 마음으로 순응하면 곧 성운이 온다.

자신의 재주를 믿고 지나치게 행동하면 어려운 난관에 처하게 된다.

모든 것은 때와 여건을 바로 파악하고 착실히 하는 수밖에 없다.

금전이나 재산보다는 명예 방면에 더 길한 운이다.

무관이나 군중을 이끄는 사람에게는 크게 길한 운이다.

뜻하지 아니한 일로 고난을 당할 수 있는 일도 생길 수 있는 .

천룡(賤龍)

風水의 하나.

()줄기의 모양이 단정하지 못하고 천()하고 어지럽게 뻗어 내려온 것을 말한다.

천룡팔부(天龍八部)

용신팔부(龍神八部), 팔부신중(八部神衆), 팔부중(八部衆). 불법(佛法)을 수호하는 여덟 신장(神將)이란 뜻으로 팔부신장(八部神將) 가운데 천룡(天龍)이 상도(上道)가 되므로 이렇게 이름.

마치 유가(儒家)에서 시서육경(詩書六經)이라 하는 것과 같다.

팔부(八部)는 천() () 야차(夜叉) 건달바 아수라(阿修羅) 가루라(迦樓羅) 긴나라(緊那羅) 마후라가 그것.

이 팔부(八部)는 모두 사람의 육안(肉眼)으로 볼 수 없기 때문에, 명중팔부(冥衆八部)라 하기도 한다.

1) (Deva)

욕계(欲界) 색계(色界) 무색계(無色界)의 삼계(三界)에 걸친 27천 가운데 수미산(須彌山) 정상에 있는 도리천(姦利天 33)을 말한다.

제석천(帝釋天 Indra)이 천계의 왕이다.

2) (Naga)

물속에 살며 바람과 비를 오게 하는 호국의 선신(善神)으로, 팔대용신(八大龍神) 등이 있다.

3) 야차(夜叉 Yaksa)

고대 인도에서는 악신으로 생각했으나 불교에서는 사람을 도와 이익을 주며 불법을 지키는 신으로, ()야차, () 야차. 허공(虛空)야차가 있다.

4) 건달바(Gandharva)

인도 신화에서는 천상의 신성한 물인 소마(soma)를 지키는 신이지만 불교에서는 제석천계의 아악(雅樂)을 관장하는 신이다.

향을 먹고산다 하여 식향(食香)이라고도 한다.

5) 아수라(阿修羅 Asura)

인도 신화에서는 다면(多面) 다비(多臂), 즉 얼굴과 팔이 많은 악신이었으나 불교에서는 조복(調伏)을 받아 선신의 역할을 한다.

싸움을 잘하여 수라장, 수라의 싸움 같은 말이 생겨났다.

6) 가루라(迦樓羅 Garuda)

새벽 또는 太陽을 신격화한 상상의 새로 금시조(金翅鳥)라고도 한다.

밀교에서는 대범천(大梵天) 대자재천(大自在天) 등이 중생을 구제하기 위해 화현(化現)한 새라고 한다.

7) 긴나라(緊那羅 Kimnara)

사람은 아니나 부처를 만날 때는 사람의 모습을 한다.

가무(歌舞)의 신으로, (의 머리로 표현한다.

8) 마후라가(Mahoraga)사람의 몸에 뱀의 머리를 한 음악의 신으로, 땅 속의 모든 요귀를 쫓아내는 임무를 수행한다.

천리소(千里所)

무속용어의 하나.

천리나 되는 먼 곳을 가리키는 말이다.

천리소(千里召)

무속용어의 하나.

천리나 되는 먼 곳에서 부르는 소리를 말한다.

천리소(千里沼)

무속용어의 하나.

천리나 되는 굽은 못이나 강을 가리키는 말이다.

천반봉침(天盤縫針)

풍수(風水) 나경(羅經) 사용의 하나.

8층에는 이십사방위(二十四方位)가 되어 있고, 4층 지반정침(地盤正針)에 비해 반위([7.5°) 순행방향에 앞서 있다.

이는 수()의 움직이는 것으로 양()이기 때문이다.

8층 천반봉침(天盤縫針)은 득수처(得水處) 수구처(水口處) 지호수(池湖水)등 정확한 위치를 측정하는데 사용한다.

풍수(風水)에서 수()는 용혈(龍穴)과 더불어 중요하다.

()인 용()과 양()인 수()가 서로 음양(陰陽) 교배를 해야 만이 혈()을 결지(結地)할 수 있다.

득수처(得水處)의 측정은 혈()앞 명당(明堂)으로 들어오는 수()가 처음 보이는 곳인 시견처(視見處).

파구처(破口處)의 측정은 혈()을 둘러싼 청룡백호(靑龍白虎)의 끝이 서로 만나거나 교차하는 지점이다.

청룡백호(靑龍白虎)가 감싸 안은 보국(保局)안에 있는 수()가 최종적(最終的)으로 빠져나가는 곳을 말한다.

파구(波丘)의 위치(位置)는 매우 중요하다.

木局 火局 金局 水局이 사국(四局)을 정하는 기준이 된다.

木局丁未, 곤신(坤申), 경유(庚酉) 方位로 나간다.

火局辛戌, 건해(乾亥), 壬子 方位로 나간다.

金局癸丑, 간인(艮寅), 갑묘(甲卯) 方位로 나간다. 水局은 을진(乙辰),

손사(巽巳), 병오(丙午) 方位로 나간다.

()가 빠져나가는 것을 기준으로 정한 것이 사국(史局)이다.

천봉구성(天蓬九星)

奇門遁甲법의 하나.

九星이란, 天蓬 天任 天沖 天甫 天英 天芮 天柱 天心 天禽 아홉 개의 守直星을 말하며 이 순서는 구궁배치가 아닌 팔괘배치이다.

九星은 천도 좌전의 원리에 따라 팔괘로 좌전하며 그 중 중궁소주의 천금성은 평상시에는 자리를 지키다가 순수가 입중 했을 때에만 변방으로 나가되 반드시 坤方을 통해서만 나갈 수 있고 그 자리는 천예성이 지킨다.

巽天甫

離天英

坤天芮

震天沖

中天禽

兌天柱

艮天任

坎天蓬

乾天心

천불전(千佛殿)(불조전)

부처님이란 진리를 깨달은 자를 의미한다.

그래서 깨달음을 얻으면 누구나 부처님이 될 수 있다는 것이 불교의 가르침이다.

따라서 삼신불, 삼세불, 천불, 삼천불과 같은 다불사상이 등장하게 되었는데, 그 결과로 조성된 것이 사찰의 천불전 혹은 불조전이다.

천불전에는 구류손불, 구나함모니불, 가섭불, 석가모니불, 미륵불을 위시하여 누지불까지 현겁천불을 모시며, 과거 장엄겁천불, 현재 현겁천불, 미래 성수겁천불의 삼천불을 모신 사찰도 있다.

천비(天妃)

무속용어.

해상의 안전운항을 지키는 신을 말하며, 또는 하늘의 선녀부인을 말하기도 한다.

천사(天赦)

月支으로 日柱를 본다.

일지

亥卯未

寅午戌

巳酉丑

申子辰

천사

戊寅

甲午

戊申

甲子

하늘이 용서한다는 뜻으로 사주에 다른 흉살이 있으면 그 살의 작용을 약하게 한다고 함.

천산둔(天山遯)

성명 역괘 17 .

앞길을 얻지 못해 어둡고 어두운 형상으로 적막한 깊은 산 속과 어지러운 사막에서 헤매며 하는 일마다 어긋나고 막히는 일이 많으며 높은 곳에서 맑은 물을 바라보고 있는 겉과 같다.

천산둔(天山遯) 年運

()은 달아난다 패해서 숨는다는 뜻이다.

를 얻으면 세상을 피해 숨어사는 것이 좋다는 것으로 옛말에 功成身退(공성신퇴)란 말에 비유한 것이다.

운세가 기울어져 있으니 한 걸음 물러서서 전진을 축소하고 수비의 태세로 신중히 생각하며 처리하고 타인으로부터 시기 받고 헐뜯기고 모든 일에 실수가 많고 사면이 막힘과 같다.

를 얻으면 사회의 경쟁 속에서 일단 몸을 은신해야 한다.

나를 돕는 사람은 하나도 없다. 비록 자기주장이 옳다 하더라도 앞장서지 말 것이며 상대가 얕보여도 다투어 볼 생각을 갖지 말고 일단 근신해서 다음 기회를 기다리라.

천산72(穿山七十二龍)

풍수(風水) 나경(羅經) 사용의 하나.

5층은 천산칠십이룡(穿山七十二龍)이다.

4층 지반정침(地盤正針)의 이십사방위(二十四方位)를 각각 3칸으로 나누어 모두 72칸으로 되어 있다.

1칸은 씩이다.

4층 지반정침(地盤正針) 지지(地支)자 밑에는 3()씩 육십갑자(六十甲子)가 등재되어 있다.

8천간(天干)과 사유(四維, 乾坤艮巽)자 아래 중앙은 공칸으로 되어 있고, 좌우(左右) 양쪽에 2()씩 갑자(甲子)가 등재되어 있다.

모두 육십갑자(六十甲子)12개의 공란을 합쳐 72룡이라 한다.

천산(穿山)이란 주산으로부터 혈() 뒤 입수도두(入首倒頭)까지 내려오는 용맥(龍脈)을 더욱 세분하여 용()의 생기(生氣)가 어느 맥()을 뚫고 오는가를 가늠하는 것이다.

세분한 용맥(龍脈)이 모두 72개이므로 천산72(穿山七十二龍)이라고 한 것이다.

천산72(穿山七十二龍)은 용()의 중심맥(中心脈)을 말한다.

예로, ()4층 지반정침(地盤正針)으로 측정하니 자()에 룡()이었다면, 자룡(子龍) 중에서도 중심(中心)으로 오는 맥()은 병자(丙子) 무자(戊子) 경자(庚子)로 더욱 세분된다.

이중 중심맥(中心脈)은 어디에 해당되며, 이것들의 길흉화복(吉凶禍福)은 어떠한지를 살피는 것이 천산72(穿山七十二龍)을 측정하는 목적(目的)이다.

4

5

癸亥

 

甲子

丙子

戊子

庚子

壬子

 

乙丑

丁丑

己丑

辛丑

癸丑

 

丙寅

戊寅

庚寅

壬寅

4

5

甲寅

 

丁卯

己卯

辛卯

癸卯

乙卯

 

戊辰

庚辰

壬辰

甲辰

丙辰

 

己巳

辛巳

癸巳

己巳

4

5

丁巳

 

庚午

壬午

甲午

丙午

戊午

 

辛未

癸未

乙未

丁未

己未

 

壬申

甲申

丙申

戊申

4

5

庚申

 

癸酉

乙酉

丁酉

己酉

辛酉

 

甲戌

丙戌

戊戌

庚戌

壬戌

 

乙亥

丁亥

己亥

辛亥

천산72(穿山七十二龍)의 측정은 용()의 특성이 가장 잘 나타나는 과협처(過峽處)나 결인속기처(結咽束氣處)에서 한다.

이곳의 제일 높은 지점에 나경패철(羅經佩鐵)을 정반정침(正盤正針)하고 4층 지반정침(地盤正針)으로 용맥(龍脈)을 살핀다.

그 다음 중심(中心)으로 오는 5층 천산72(穿山七十二龍)으로 정확하게 측정한다.

중심맥(中心脈)이 육십갑자(六十甲子)중 병자순(丙子旬)이나 경자순(庚子旬)으로 들어오면 왕상맥(旺相脈)으로 매우 한 용맥(龍脈)이 된다.

갑자순(甲子旬)과 임자순(壬子旬)은 고허맥(孤虛脈)으로 소길다흉(小吉多凶)한 용맥(龍脈)이다.

무자순(戊子旬)은 패기맥(敗氣脈)으로 매우 흉()하다.

공칸은 공망맥(空亡脈)으로 더욱 흉()하다.

1) 4층 지반정침(地盤正針)에서 지지(地支, 子丑寅卯辰巳午未申酉戌亥)의 가운데 용맥(龍脈)은 무자순(戊子旬) 패기맥(敗氣脈)으로 취용 할 수 없다.

그 양쪽 용맥(龍脈)은 병자순(丙子旬), 경자순(庚子旬)으로 왕상맥(旺相脈)이므로 취용한다.

2) 사유(四維, 乾坤艮巽)8천간(天干, 甲乙丙丁庚辛壬癸)자의 가운데 용맥(龍脈)은 공란인 대공망(大空亡)으로 사용할 수 없다.

그 양쪽은 갑자순(甲子旬), 임자순(壬子旬)으로 고허맥(孤虛脈)이므로 소길다흉(小吉多凶)의 용맥(龍脈)이다.

3) 병자순(丙子旬) 경자순(庚子旬)의 모든 용맥(龍脈)은 왕상맥(旺相脈)으로 길격(吉格)이다.

4) 갑자순(甲子旬) 임자순(壬子旬)은 고허맥(孤虛脈)이 되어 소길다흉(小吉多凶)하므로 사용할 수 있는 용맥(龍脈)도 있지만 대체로 흉()이 많다.

5) 무자순(戊子旬) 대공망(大空亡)은 패기공망맥(敗氣空亡脈)으로 모든 용맥(龍脈)이 대흉(大凶)하므로 사용할 수 없다.

子旬 地支

禍福

甲子旬

冷氣脈

甲子

乙丑

丙寅

丁卯

戊辰

己巳

庚午

辛未

壬申

癸酉

甲戌

乙亥

小吉多凶

丙子旬

旺氣脈

丙子

丁丑

戊寅

己卯

庚辰

辛巳

壬午

癸未

甲申

乙酉

丙戌

丁亥

吉格

戊子旬

敗氣脈

戊子

己丑

庚寅

辛卯

壬辰

癸巳

甲午

乙未

丙申

丁酉

戊戌

己亥

大凶

庚子旬

相氣脈

庚子

辛丑

壬寅

癸卯

甲辰

乙巳

丙午

丁未

戊申

己酉

庚戌

辛亥

吉格

壬子旬

退氣脈

壬子

癸丑

甲寅

乙卯

丙辰

丁巳

戊午

己未

庚申

辛酉

壬戌

癸亥

小吉多凶

大空亡

空亡脈

 

 

 

 

 

 

 

 

 

 

 

 

大凶

천산72(穿山七十二龍)은 너무 세분화되어 있다. 행룡(行龍)하는 용맥(龍脈)이 한 지점에서는 왕상맥(旺相脈)이라도 다른 지점에서는 패기맥(敗氣脈)이 될 수도 있다.

반대로 과협처(過峽處)에서는 무기맥이라도 결인속기처(結咽束氣處)에서는 왕상맥(旺相脈)이 될 수도 있다. 때문에 이를 실용(實用)하기에는 문제점이 많이 있다.

따라서 설사 72룡이 나쁘다 할지라도 주룡(主龍)의 형기(形氣)가 좋으면 이에 구애받지 않는다.

천살(天煞)

십이신살(十二神殺)의 하나.

일지

亥卯未

寅午戌

巳酉丑

申子辰

천살

하늘에서 내리는 재앙을 뜻한다. 즉 수재(水災) 풍재(風災) 한재(旱災)지진 등 예측하지 못하는 돌발 사고를 말한다.

천상천하대공망일(天上天下大空亡日)

甲戌 甲申 甲午 乙丑 乙亥 乙酉

천상천하 유아독존(天上天下唯我獨尊)

1) 부처님은 태어나면서 오른손은 하늘을 향하고 왼손은 땅을 가르키며 천상천하 유아독존이라 외치며 사방으로 6보씩 걸으실 때 옮기는 발밑으로 연꽃이 피어나고 하늘에서는 아홉 마리의 용이 꽃비와 감로수를 뿌렸다고 한다.

2) 천상천하 유아독존이란, 이 우주 간에 나보다(사람) 높은 이가 없다는 뜻으로 사람의 성품이 존엄하다는 뜻이다.

천상화(天上火)

戊午己未 天上火, 火旺地가 되고 가운데의 은 또 를 다시 하니 火性은 불꽃을 일으키며 급기야 生地를 만나므로 天上火(하늘 위의 )라고 한다.

陽宮이 지나쳐서 거듭 相會할 수 있으니 병령(炳靈 밝은 신령의 위엄. , 신령의 위엄을 밝힘)이 빛을 주고받으며 불꽃을 발하고 하늘 위로 오르므로 이렇게 말하는 것이다.

1) 가 극성(極盛)한 염상(炎上)을 나타내는 것이다.

...................계속 연재 

역한이라면 누구나 봐야할 책 







'역학백과사전-ㅊ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학사전-ㅊ-6  (0) 2017.08.11
역학사전-ㅊ-5  (0) 2017.08.10
역학사전-ㅊ-4  (0) 2017.08.10
역학사전-ㅊ-3  (0) 2017.07.15
역학사전-ㅊ-1  (0) 2017.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