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학백과사전-ㅊ부

역학사전-ㅊ-4

유프랭크지안 2017. 8. 10. 16:56

ㅊ부-4

천지부(天地否)

성명 역괘 18 괘.

바람에 날리는 버드나무 가지가 천년이나 푸르며 한 소나무가 백년이나 외로운 형상이며 가히 저물어 가는 봄빛이 아까우며 새벽에 바람과 빛이 없는 형상이다.

천지부(天地否) 年運

비는 막힌다의 뜻이다.

하늘이 위에 있고 땅이 아래 있으면 사실상 정상이 어디 겠느냐 생각하겠으나 너무 높은 하늘과 너무 낮은 땅은 화합하지 아니 하고 서로의 기운이 막혀버린 것이 否의 괘상이다.

윗사람에게 오해를 산다든가 가정불화 혹은 이혼 사업도 부진하고 당신의 정당한 의견이 통하지 아니하며 노력도 인정받지 못하는 상태 모든 것이 재미없는 때다.

이때에 당신의 운이 올 때까지 은인자중함이 좋다.

이 시점에서 성급하게 초조하거나 신경질적인 처사를 하였다가는 더욱더 어려움에 빠져 들어가게 된다.

앞으로 2개월 내지 4개월만 참으면 지금의 노고는 뒷날 영화의 원인이 되리라.

천지신명(天地神明)

무속용어.

하늘과 땅의 모든 만물에 조화(造化)를 맡은 신령님을 말 한다

천지인(天地人)

天干을 天元이라 하고 地支를 地元이라 하며 支藏干을 人元이라 하여 이 셋을 天地人 三才라고 한다.

천체(天體)

우주 공간에 떠 있는 온갖 물체를 통틀어 이르는 말.

천칭자리(Libra)

1) 양력 9월 24일~10월 23일생.

2) 학명: libra.

3) 수호성 : 금성.

4) 수호신 : 사랑과 미의 여신 '아프로디테'.

5) 행운 숫자 : 6.

6) 행운 꽃 : 튜립.

7) 행운 향기 : 자스민.

8) 행운 과일 : 포도.

9) 행운 동물 : 비둘기.

10) 행운 보석 : 오팔.

11) 행운 나라 : 중국.

12) 대표적 복장 : 선천적인 감각으로 유행의 창조자.

13) 대표적 음식 : 정갈하고 아름다운 일본요리.

(1) 9월 24일~10월 23일 사이에는 태양이 가는 길에 이 별자리가 위치한다.

이때 태어난 사람은 태양의 영향과 이 별자리의 영향이 합해져서 성품이 만들어진다.

천칭자리에 태어난 사람은 균형 잡힌 조화로운 세계를 지향하므로, 환경에 대한 적응력이 뛰어나고 이성적인 행동 방식을 지니게 된다.

조화로운 환경을 위해 기꺼이 자신을 낮출 줄 알며, 누구와도 사이좋게 잘 지낸다.

또한 분별 의식이 뛰어나 무슨 일을 하든 중용의 도를 취하여 잡음 없이 처리해내는 능력이 뛰어나다.

이러한 성격을 지닌 터라 사랑을 할 때도 무분별한 격정적인 사랑보다는 차분하고 이성적인 사랑을 하게된다.

이런 당신의 수호신은 미의 여신 아프로디테이고, 수호성은 금성, 행운을 주는 색은 진한 파랑, 노랑, 초록색이다.

정의의 여신 아스트라에아(Astraea)의 상징인 정의의 천칭이다.

이 천칭은 인간의 선과 악을 재어 그 사람의 운명을 결정하는데 쓰여 졌던 것으로 정의와 공평을 위해 봉사한 아스트라에아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하늘에 올려 졌다고 한다.

천칭자리는 매우 잘 알려진 처녀자리와 전갈자리의 사이에 끼여 있는 작은 별 자리이다.

천칭자리에서는 2.8등성인 알파별 주벤엘게누비가 주위에 있는 베타별과 시그마별과 함께 작은 삼각형을 이루고 있다.

베타별과 감마별인 이 두 별도 각각 2.6등성과 3.3등성으로 어두운 별이다.

처녀자리와 전갈자리의 가운데에 위치한 천칭자리를 찾기 위해서는 전갈자리 가 남쪽하늘의 지평선 위로 떠오르는 여름철까지 기다리는 것이 더 좋다.

전갈자리의 알파별인 안타레스를 남쪽 하늘에서 찾아내는 것은 아주 쉬운 일이기 때문이다.

안타레스를 찾아냈다면 안타레스 앞쪽에 부채꼴 모양으로 펼쳐져 있는 전갈의 머리에 해당하는 별들을 쉽게 찾을 수 있다.

이 전갈의 머리 바로 위쪽에 나란히 놓여있는 거의 같은 밝기의 두 별이 천칭자리의 알파별과 베타별이다.

천칭 자리의 베타별인 주벤에샤말리는 2.6등성으로 태양계로부터 약 140광년 떨어져 있는 별이다.

이 별은 다른 별들과는 달리 초록색을 내고 있어서 사람들 관심을 끈다.

(2) 천칭좌. 성격

열광하지 않으며 극단으로 치우치지 않는 균형을 유지하는 분별과 밸런스, 주야의 길이가 같고 한서가 균등한 추분의 계절이다.

격정적인 감정을 억제하는 이성과 남에게 예절을 지키는 냉정한 분별심을 부여받았다.

계절이 균형을 잡듯 이지적인 균형의식과 품위를 보존하는 정신이 일치하여 냉정하고 이지적인 조화를 이룬다.

어떤 일에도 함부로 열광하지 않으며, 우상이나 신에도 깊이 빠지는 일은 없고 오히려 믿지 않는다.

때문에 극단으로 치우치는 일이 없으며 언제나 균형을 유지하는 분별의식과 밸런스가 생활의 신조로 등장한다.

돈의 유무를 겉으로 나타내지 않는, 차분한 성격으로 결코 허영심이나 자존심 따위의 노예는 아니지만, 인간의 모든 자랑거리나 욕망을 지니고 있는 성미다.

여기서 균형 잡힌 인생관이나 처세와 생활태도가 생겨난다.

어린 나이라도 어른스러운 행동이나 언어를 구사하는 것은 매사를 조급하게 다루지 않고 빠져들지 않으면서도 스스로 빼어났다는 숨은 의지와 자립심의 조화로서 생겨난다.

크게 노하지 않고 작은 소리로 말을 하는 여유는 높은 품위를 보여주고 지키려는 노력과 조화를 연출해내는 미의 창조의식에서 비롯된다.

품위를 보존하는 것이 이지적인 균형의 목표이자 방법이기 때문이다.

(3) 천칭좌. 적성

균형과 조화정신을 생활신조로 하여 아름답고 온화하게 해결해 가는 재능, 선천적인 생활신조가 균형과 조화로운 정신의 보유이다.

파괴를 증오하고 미적인 무드를 희망하는 사회에는 절대로 필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과격하게 떠들어대거나 싸우지 않으며, 상호간의 마음은 균형을 유지하여, 어떤 일에든 모나지 않고 온화하게 해결하는 재능의 소유자다.

부조리한 인생이나 불안한 사회에 부닥쳐도 결코 종교적인 힘에 의존하지 않고 어디까지나 인간을 믿으려는 고매한 제휴정신과 통한다.

지위나 금전을 탐내는 마음보다는 창조의 미를 사회에나 직업 면에도 살려나가는 마음을 지녔다.

친구와 동지적인 위치에 서기 때문에 열광적인 종교계통이나 추악한 일 등의 직장은 맞지 않는다.

밸러스를 살리는 영화나 무대의 미술 담당, 패션 디자이너나 인테리어 미용사 등이 어울린다.

도박성이 있는 마작이나 당구. 스케이트. 음식 등 서비스업의 경영자로 적격이며 외국과의 밸런스를 유지하는 외교관이나 기타 외무관계가 어울린다.

협동사업 등에도 능력을 발휘한다.

반대로 외과 의사나 광산기사, 철물관계의 회사원이라든지 운동구점의 경영 등은 맞지 않는다.

운동구점보다는 운동장을 경함이 맞는 것은 인간관계의 조화를 능숙하게 해내는 외교술이 있는 탓이다.

(4) 금성 VENUS. 하늘의 애인이니 아름다운 사랑과 평화로 행운을 불러들인다.

세계 인권선언문의 기초자였던 미국의 대통령 루우즈벨트, 감각적인 사상가 키에르 케고르, 작가인 발자크, 조화의 화가 프랑소와 밀레, 무저항주의자 간디 등이 금성의 문명을 타고났다. 이들은 모두가 조화와 균형과 평화의 수호자들로서 독단적이 아닌 인간간계의 조화 속에서 행운을 만나게 된다.

꾸준히 외길을 걸으며 외부와 차단하고 저축을 하는 곳에서 금전 운을 만날 수는 없다.

우선 쓰고 논다는 입장에서 사교계에 뛰어들어 상류층의 대열에서는 것이 급선무다. 될 수 있는 대로 의사표시를 빨리 하거나 휘하에 들어섬으로써 일거리가 생기고 그로인해 금전 운을 만나게 된다.

한 곳에 집착하여 투신하느니 보다는 만일의 실수를 감안한 균형 있는 투자만이 성공한다는 것을 잘 알 고 있기 때문에 전략있는 밸런스로 타자해 간다.

특히 이성에게서 큰 도움을 받을 수 있으니 이성간의 동업이나 사교 등을 통한 행운의 길도 잊어서는 안 된다.

행운이 깃드는 나이는 27세, 33세, 42세, 51세, 60세이며 주의해야 할 나이는 19세, 34세, 47세,52세이다.

좁은 생각으로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밸런스를 이룬 넓은 사교와 투자와 연결하여 금전은 생기게 된다.

기다리는 게 아니라 찾아라 찾아 연결하는 것이다.

천태종(天台宗)

중국 隋나라의 天台大師 智를 開祖로 하는 불교의 한 종파.

湖南省 남부 華容縣 출신의 지의는 光州 大蘇山(河南省 남단)에서 慧思에게 사사하여 禪觀을 닦고[法華經]의 진수를 터득한 뒤, 진릉(金陵, 南京)에서 교화활동을 하여 많은 귀의자를 얻었지만, 575년 38세 때 浙江省의 天台山으로 은둔하여 사색과 實修를 닦았다.

이것이 천태종 성립의 단서가 되었으며, 지의는[법화경]에 따라 전 불교를 法華玄義 천태의 觀法인 止觀의 실수를 사상적으로 정립한[摩訶止觀] [법화경]을 독자적인 사상으로 해석한[法華文句]의 이른바 [법화삼대부경]을 편찬하였다.

이것은 중국, 한국, 일본을 일관하는 천태교학의 지침서가 되었을 뿐 아니라, 인도 전래의 불교를 중국 불교로 재편하는 계기도 되었다.

그의 문하인 章安 관정을 필두로 지위 혜위 현명을 거쳐 제6조 담연으로 교학이 전승되었다.

그들은 지의의 삼대부경에 상세한 주석을 가하여[석첨釋籤] [묘락妙樂] 보행輔行]을 저술, 천태 교의를 선양하였고 초목도 성불할 수 있다는 草木成佛說까지 전개하였다.

당나라 말기에 쇠했던 불교가 북송 때에 부흥하여 12조인 의적과 그의 동문 志因의 양계 통에서 많은 학승이 배출되었는데, 전자를 山家派, 후자를 山外派라고 한다.

의적의 제자 義通, 그 문하 知禮의 계통이 송대에 융성하여 천태종의 주류가 되었으며, 南宋대에는 善月 志盤 등이 강학에 뛰어났고, 元代에는 불교 전반의 교학적인 쇠퇴와 함께 쇠하였지만, 明代에 다시 부흥하여 禪과 淨土와의 융합이 이루어지고, 명 말기에는 智旭이 교학을 진흥시켰다.

지의는 [법화경]의 정신을 근거로 전불교 경전에 의의를 부여하여 五時의 교판, 化儀 四敎(頓敎, 漸敎, 密敎, 不定敎) 및 化法四敎(藏敎 通敎 別敎 圓敎)로 구분하였으며, 空, 假, 中의 三觀을 교의의 중심으로 하였다.

또한 日常心의 일념 가운데 지옥으로부터 부처의 경지가 내재한다는 一念三千의 사상과 일체가 원융한 實相을 주장하였다.

한국에서 천태종이 하나의 종파로 성립된 것은 大覺國師 義天에 이르러서였지만, 그 교학이 전래된 것은 훨씬 이전이다.

신라의 玄光은 지의에게 法을 전한 慧思에게서 法華三昧를 배웠으며, 신라의 緣光, 고구려의 波若 등은 직접 지의의 문하에서 공부하였다.

특히 고려 諦觀의 [天台四敎儀]는 천태학의 입문서로서 크게 성행하였다.

의천의 문하에 敎雄 戒膺 慧素 등이 유명하며, 그 후에도 德素 了世 天因 등이 교세를 떨쳤다.

이와 같이 천태종은 고려 일대를 통하여 크게 성하였으나 조선시대 척불정책으로 쇠퇴하였다.

천택리(天澤履)

성명 역괘 12 괘.

오래도록 심신이 평화롭지 못하다가 말년에 영화가 찾아오게 되며 뒤늦게 사회에 인정을 받게 되어 크게 관직을 얻게 되니 봄에 만물이 생하는 모양으로 모든 일이 순조롭게 통하게 된다.

천랙리(天澤履) 年運

이는 남의 뒤를 밟는다, 실천한다의 뜻이다. 또는 履는 범의 꼬리를 밟는 상이라고 한다. 兌는 몹시 유약하고 乾은 완강하다.

우가 강의 뒤를 따르고 있는 상태로써 자기보다 훌륭한 사람의 뜻을 순종하면서 곱게 뒤를 따르면 위험한 고비를 넘길 수 있다는 뜻이다.

남의 앞에 서서 일을 일키면 실패하기 쉬우나 남의 뒤를 이어받아 하는 일이면 처음은 어려우나 결과는 성공할 것 이다.

성실한 마음으로 예의를 지키며 바른길을 실천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윗사람이나 자기보다 훌륭한 사람의 뜻을 따라서 어려운 고비를 타개하도록 해야 된다. 그리고 남의 앞장을 서서는 절대로 불리하다.

천풍구(天風姤)

성명 역괘 15 괘.

몸이 구급이나 되는 높은 곳에 있어 임금의 곁에서 이름을 떨치나 하루 아침에 광풍이 일어나 아름다운 꽃은 떨어져 버리고 쓸쓸한 빈방을 지키는 신세가 된다.

천풍구(天風姤) 年運

姤(구)는 우연히 만난다는 뜻이다. 뜻밖의 재난을 당하는 일이 있을 것이다.

교통사고 사기사건 조심하라.

직업 여성이라면 윗사람의 특별한 호의가 있어서 평온하다.

상대방은 불순한 생각을 하고 있다.

이 卦는 결혼에는 아주 불길하며 모든 일이 고집대로 하면 실패는 당연하다.

방심하지 말고 열심히 노력하라.

만사를 항상 자기의 분수의 위치를 생각하면서 지나치거나 날뛰는 일이 없게 하라.

행운을 가져오리라.

천하수(天河水)

丙午丁未 天河水, 丙丁은 火에 속하고 午는 火旺地이나 납음은 바로 水이고 水는 火로부터 나오는 것이니 은한(은하수)이 아니면 존재할 수 없으므로 天河水(銀漢: 강에 비유하여 이름)라고 한다.

氣는 마땅히 升降하고 성대한 모양은 장마가 되며 生旺은 사물을 구제하는 공이 있다.

1) 午는 하지가 이에 속하고 하지부터 1陰이 발생한다.

이 1陰이 바로 水이다. 이것은 물극필반(物極必反)을 말하는 것이다.

丙午와 丁未는 火가 극성하나 그 속에는 火가 기우는 의미가 숨어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丙午와 丁未는 火가 극성하였다가 水로 전환하는 때이고 은하수(강물)에 비유하여 물이 많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천하장군(天下將軍)

무속용어.

고금에 이르는 장군의 죽은 혼령이나, 장군 중에 으뜸인 장군을 천하장군이라 한다.

천혈(天穴) 입세(立勢)

風水 穴勢의 하나.

主山과 주변 山들이 모두 높으면, 山의 生氣도 높은 곳에 모여 융결 된다. 따라서 穴도 높은 山에 結地한다. 이를 입세(立勢) 또는 天穴이라고 한다.

天穴은 主山이 높으므로 靑龍과 白虎, 案山, 朝山 등 주변 山들이 모두 비슷하게 높다. 그래야 風을 막아주고 보국(保局)의 氣運이 안정된다.

穴에 있으면 마치 平地에 있는 것처럼 전혀 높다는 것을 느낄 수 없다.

天穴은 산꼭대기에서 머리를 숙여 아래를 굽어보는 듯하다.

主龍의 경사가 급하지 않고 완만하여야 진혈(眞穴)을 結地한다.

山 정상부분에 결지(結地)하는 天穴에는 앙고혈(仰高穴) 빙고혈(凭高穴) 기용혈(騎龍穴) 등이 있다.

앙고혈(仰高穴)은 山 정상에 맺는 것으로, 아래에서 보면 마치 우러러보는 것처럼 보인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빙고혈(凭高穴)은 山 정상에서 약간 내려와 主山에 기대어 結地한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기용혈(騎龍穴)은 主龍의 등마루에 섬용입수(閃龍入首)하여 結地 하는 것으로, 穴이 龍脈 위에 말을 타고 있는 듯하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이 같이 主山을 비롯해서 주위의 모든 山들이 높으면, 穴도 높은 곳에 結地한다.

따라서 穴을 구하고자 할 때 높은 곳에서 찾아야 한다.

천화동인(天火同人)

성명 역괘 13 괘.

하늘과 땅이 서로 상응하여 도와주어 군신이 서로 신뢰하며 화락하니 만사가 창성하고 만인을 지도하는 영웅이라 한다.

천화동인(天火同人) 年運

同人은 남과 뜻이 같이 한다의 뜻을 가진괘상이다.

무슨 일에 있어서나 혼자 동업과 같이 뜻이 맞는 사람들끼리 함께 함으로서 좋은 결과를 이룩한다는 것이다.

지금은 어두운 밤길에서 헤매고 있을 때 뜻밖에 앞을 비춰주는 등불을 얻어 든든한 마음으로 희망의 상징이다.

지금까지 노고와 근심은 사라지고 뜻밖에 남의 도움을 받아 만사가 뜻대로 되어가리라.

윗사람에게 총애를 받고 친구에게 협력 받는다.

협동 사업이면 더욱 발전 할 것이며 공적인 성질의 것이면 더욱 좋다.

천희문(天喜紋)

천희문은 손목에서 생명선과 같이 위쪽으로 올라오면서 검지 쪽으로 뻗어있다.

천희문을 가진 사람은 만사형통되어 가는 사람으로 하늘에서 특별한 덕을 받은 행운자이다.

만약 이 상의 사람이 학문에 정지하면 그 명성 또한 뛰어날 것이다.

철사관살

소아관살로 전염병으로 목숨을 잃는 살이다.

생일

甲乙

丙丁

戊己

庚辛

壬癸

철사

未申

철환지옥

이 지옥에는 뜨겁게 달구어진 쇠 구슬이 여기저기 흩어져 있다.

이때 옥졸들이 죄인들을 마구 쫓기 시작한다.

그러면 죄수들이 이 쇠 구슬을 피해 달아나다가 불에 타 죽는다.

첨도미(尖刀眉)

1) 모양.

눈썹은 칼끝 모양으로 거세고 날카로운 털이 거칠게 나 있는 모양이다.

2) 설명.

첨도미 눈썹은 다른 사람을 대할 때 가면으로 정을 주게 되며 성질이 사납고 악하여 형액을 못 면하며 마침내는 스스로 몸을 극하게 된다.

첨두형(尖頭型) 공상적인 손

1) 모양.

이 손의 특성은 비교적 손이 작고 손가락 이 가늘며 고운 것이 특징이다.

손바닥은 좁으면서 길다. 손가락도 끝으로 갈수록 가늘며 예쁜 모양을 하고 있다.

손가락이 좀 뾰족하며 엄지손가락은 작다.

피부색도 희고 미끄러우며 마치 흰 물고기와 같은 손이다.

2) 성격.

대단히 신비적이고 감정가이다.

직감력이 예리하여 시적인 정서가 풍부하다.

이런 사람은 공상에 잠겨 아름다운 것이나 이상을 동경하며 현실을 직시하지 못한다.

실생활에 어둡고 아름답고 화려한 것만 추구하여 현실 사회에서 실행력이 거의 없다.

다분히 감상적이기 때문에 질서 있는 일이나 단체 생활을 할 수 없고 체질도 약한 사람이다.

장점으로는 감각적으로 매우 예민하고 신비성을 갖추고 있다.

예언자 혹은 신앙의 세계에 들어가면 특이한 영 능력을 발휘하므로 특이한 존재가 될 수 있다.

자칫하면 기이한 것만을 추구한 나머지 이 세상에서 어느 사이에 패배자가 될 수 있으니 주의하여야 한다.

3) 연애.

꿈과 공상을 대단히 중요하게 여기기 때문에 한번 연애에 빠지면 사랑 속에 완전히 빠지는 경우가 많다.

향락과 놀기를 좋아하는 성격이니 이성관계도 난잡하고 불규칙한 생활을 하므로 신체를 해치는 일이 많다.

특히 남성은 우아한 모양이고 주색 및 도박에 빠지기 쉽다.

4) 직업.

세간에 흔히 있는 직업을 갖는 것은 절대금물이다.

신비적인 감각과 공상을 살리는 직업이 좋다.

청룡(靑龍)

1. 청룡(靑龍)은 사신(四神)의 하나로 알려진 용의 일종이다.

모습은 일용과 다를 것이 하나도 없지만, 이름 그대로 몸이 푸른색을 띠고 있다.

2. 오행 사상에서 청색은 생명의 시작을 알리는 東쪽을 상징하기 때문에, 청룡은 東쪽을 수호하는 신성한 龍으로 여겨지며, 오행 중 나무(木)의 속성을 지니고, 봄에 나타난다 여겼다.

바람을 다스린 다고 한다.

3. 한국에서는 다른 사신들과 더불어 고구려와 고려의 고분 벽화에 그려져 있다. 또한 조선 시대 궁궐의 동쪽 문 천장에도 그려졌다.

4. 도교에서 청룡을 인격신화한 이름은 동해청룡왕오광이다.

5. 청룡은 東方의 7개 별자리군을 대표한다. 7개의 대표 별자리들은 전체가 청룡의 모양을 이룬다.

1) 각수(角宿), 뿔.

2) 항수(亢宿), 목.

3) 저수(氐宿), 가슴.

4) 방수(房宿), 배.

5) 심수(心宿), 심장.

6) 미수(尾宿), 꼬리.

7) 기수(萁宿), 항문.

6. 또 다른 표현으로, 블루드래곤(Blue Dragon), 靑龍은 曹魏 明帝의 두 번째 연호이다. 靑龍은 후조(後趙) 석감(石鑒)의 연호이다.

청룡(靑龍)

풍수(風水).

혈(穴)의 좌측(左側)에 있는 산(山)을 말한다.

명예(名譽)의 상징적(象徵的)인 용(龍)에 비유한 것이다.





'역학백과사전-ㅊ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학사전-ㅊ-6  (0) 2017.08.11
역학사전-ㅊ-5  (0) 2017.08.10
역학사전-ㅊ-3  (0) 2017.07.15
역학사전-ㅊ-2  (0) 2017.07.01
역학사전-ㅊ-1  (0) 2017.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