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학백과사전-ㅈ부

역학사전-ㅈ-14

유프랭크지안 2017. 11. 1. 01:20

역학사전-ㅈ부-14

지문(地紋)

1. 오지(五指)가 다 고리(와문渦紋)의 상.

어느 손가락이나 고리로 된 사람은 운명상의 파란 변동이 많다.

기질은 대단히 자신이 강하고 성미가 강하고 사람에게 머리를 숙이는 것을 싫어한다. 그러므로 실수를 하면 어디까지고 떨어져 나간다.

2) 오지(五指)가 전부 치(유문流紋)의 상.

지나치게 정직하여 요령이 없고 그저 착실하기만 하여 융통성이 없기 때문에 출세가 늦다. 그러나 착실히 일을 하고 있으면 나이가 먹을수록 의외로 좋든지, 어떤 일이고 사람과 협동하여 하는 일은 적합하지 않다.

작은 일이라도 독립 경영하는 것이 좋다. 또 손재주가 뛰어난 것이 특징이라 하겠다.

3) 엄지만 고리(와문渦紋)이고 그 외는 치유문流紋)의 상.

대기만성격이다.

소년시절부터 장년까지는 고생을 하나 만년이 되면 쑥쑥 머리를 들어 뛰어나게 성공한다.

4) 검지만 고리이고 그 외는 치의 상.

이 사람은 사교적인 사람이고 서재에 들어앉아 꾸준히 하는 일은 싫어하고 활동적인 뛰어다니는 성격이다.

다른 사람의 일을 잘 돌보아주는 것을 좋아하고 자기의 일보다 다른 사람의 일에 노력하는 형이다.

성격은 분망하고 활발하여 세세한 일은 잘 못하며 공장경영 같은 광산업 증권업 등에 적합하다.

5) 장지만 고리이고 그 외는 치의 상.

이 사의 사람은 계획도 대단히 크고 허풍이 낀 형이다.

운수로는 부모의 집을 계승하지 않고 독립하여 살아가는 사람이다.

착실하고 견고하게 나가도록 노력하지 않으면 일생에 성공하기 어렵다.

직업은 정치가 변호사 예술가와 같은 업이 좋다. 가능한 고리타분하지 않은 것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6) 무명지만 고리이고 그 외는 치의 상.

지극히 출세가 빠른 사람으로서 친구사이에 부러워하는 바가 된다.

또 젊어서부터 늙은 티가 나고 모든 일에 빈틈이 없다.

재간이 있어 쓸모가 있는 관계로 사람에게 뽑히어 일직부터 상당한 지위에 오를 수 있다.

7) 소지는 고리이고 그 외는 치의 상.

조상의 유업을 이어받지 않고 이 상의 사람은 성품이 관대하고 대범하여 소위 귀공자형이어서 존경을 받는다. 그러나 사람이 좋아서 남에게 이용당하는 수도 있으니 신중히 교제할 사람을 선택하지 않으면 실패한다.

8) 엄지 장지는 고리이고 그 외는 치의 상.

일찍 부모의 집을 떠나 타향을 자기 마음에 향하는 곳, 희망하는 길에 나가는 사람이다. 그러나 기질로 보아 변하기 쉬운 기질이므로 정체성이 없으니 그 결점을 시정하도록 노력하지 않고는 운수는 펴지 못한다.

9) 엄지 무명지는 고리이고 그 외는 치의 상.

청년시절에는 고생을 하나 중년에서 운수가 열린다.

능력을 인정받으면 순조로이 일이 되어 신용도 얻고 만년에 향할수록 좋은 운이 온다.

10) 엄지 소지는 고리이고 그 외는 치의 상.

이 상은 사람은 말을 잘해 변호사 판사 정치가에 적합하다. 그리고 부모보다 뛰어나게 출세하는 상이다.

11) 엄지 검지 장지는 고리이고 그 외는 치의 상.

이 상의 사람은 의지가 약하고 자신이 없어 갈피를 잡지 못하고 그것 때문에 일생을 망치는 수가되니 주의가 필요하다. 또 참을성이 적어 화를 내는 일이 많으니 명심해야 한다.

12) 소지만 고리이고 그 외는 치의 상.

이 상은 온순한 성질이며 타협적이어서 결코 다른 사람과 충돌하지 않는다.

선배나 동료 간에 신임과 인심을 얻어 출세가 빠르다. 따라서 그 사람의 실력 이상의 성공을 할 수 있다.

13) 엄지만 치이고 그 외는 고리의 상.

성급하고 신경질적이며 침착하지 못한 성격이므로 될 수 있는 한기를 누그리고 마음을 크게 먹고 한 걸음 나가는 마음의 준비가 필요하다.

재기(才氣)도 있고 머리도 좋고 운수도 기회를 잡아 발전하는 사람이니 잘하면 성공할 상이다.

14) 검지만 치이고 타는 고리의 상.

도덕성이 뛰어나고 이상은 높다.

학자(學者) 교육자(敎育者) 종교인(宗敎人) 같이 두뇌를 쓰는 직업이 적당하다.

성 문제가 발생하여 재난을 당하는 일이 있으니 주의하여야 한다.

15) 장지만 치이고 타는 고리의 상.

의협심(義俠心)이 강하고 부탁하면 무엇이나 한다.

일을 하는데도 면밀(綿密)하며 근면(勤勉)하기 때문에 세간의 신용도 두텁고 대단히 발전하는 사람이다.

단 추켜 주거나 이용당하는 일이 있다.

16) 무명지만 치이고 타는 고리의 상.

온후착실하고 사교성이 좋아 윗사람 아랫사람 누구에게나 호감을 준다.

천직(天職)에 만족하고 부자유함이 없는 행복한 일생을 보낼 수 있는 좋은 상이다.

17) 검지와 무명지만 고리이고 타는 치의 상.

원래 정직하나 지나치게 고지식 한데가 있고 완고(頑固)하다.

윗사람에 대하여 고집을 세우는 버릇이 있고 그것이 화가 되어 장년이나 중년까지는 답보(踏步)를 면치 못한다. 그러나 나이를 먹으면서 성격도 일변하여 온순(溫順)해 지므로 늦게 출세의 싹이 터서 상당한 위치까지 오른다.

18) 엄지와 무명지만 치이고 타는 치의 상.

둔중(鈍重)한 성격이고 하는 일이나 말하는 것이나 똑똑하지 못하다. 그러나 쉬지 않고 꾸준히 나가기 때문에 다른 사람이 모르는 사이에 운명을 개척(開拓)하여 부(富)와 명예(名譽)를 잡는 상이다.

19) 검지와 장지는 고리이고 타는 치의 상.

도덕심(道德心)이 견고(堅固)하여 소위 군자(君子)의 품격(品格)을 띄고 있는 사람이니 도든 사람과 협동(協同)하여 사업을 하여도 틀림이 없다.

큰 회사의 중역(重役) 은행의 두취(頭取)에 적합하다.

성 문제가 발생하여 일을 그르칠 수 있다.

지반정침(地盤正針)

風水 羅經의 하나.

4층 지반정침(地盤正針)은 天地의 方位를 나타내는 기본 층이다.

글자가 제일 크고 굵으며 二十四方位가 표시되어 있다.

1) 첫째 이십사방위(二十四方位)의 정확한 위치를 측정하는데 사용한다.

2) 둘째 입수룡(入首龍)을 비롯하여 용(龍)의 방위(方位)를 측정하는데 사용한다.

3) 셋째 혈(穴)의 좌향(坐向)을 측정한다.

4) 넷째 양택(陽宅) 가상(家相)의 방위를 측정을 하는데 사용한다.

나경(羅經)의 모든 층은 4층 지반정침(地盤正針)을 기준으로 하여 용도에 따라 분획(分劃)한 것들이다.

지반정침(地盤正針)의 二十四方位는 十二地支, 子丑寅卯辰巳午未申酉戌亥)와 10천간(天干)중 중앙(中央) 토(土)인 무(戊) 기(己)를 제외한 팔 천간(甲乙丙丁庚辛壬癸)과 사유(四維, 乾坤艮巽)을 합하여 이루어졌다.

십이지지(十二地支)는 음(陰)이고 팔 天干과 사유(四維)는 양(養)이다.

지지(地支)자를 기준으로 하여 양(養)을 음(陰) 앞에 하나씩 배정하여 음양(陰陽)이 서로 배합하도록 하였다.

임자(壬子) 계축(癸丑) 간인(艮寅) 갑묘(甲卯) 을진(乙辰) 손사(巽巳) 병오(丙午) 정미(丁未) 곤신(坤申) 경유(庚酉) 신술(辛戌) 건해(乾亥)이 같은 배합을 쌍산(雙山)이라 한다.

오행(五行)은 지지(地支)의 오행(五行)을 따르고, 음양(陰陽)이라도 서로 다른 궁위 끼리의 배합은 불배합 쌍산(雙山)이라 사용하지 않는다.

이십사방위(二十四方位)는 모두 360°로 원을 이루고 있으며, 1방위는 15°를 이룬다.

방위는 자(子) 정북(正北), 오(午) 정남(正南), 묘(卯) 정동(正東), 유(酉) 정서(正西)에 배치하여 동서남북(東西南北) 네 정방위(正方位)로 기둥을 세웠다.

간(艮)은 東北에, 손(巽)은 동남(東南)에, 곤(坤)은 남서(南西)에, 건(乾)은 서북(西北)에 배치하여 네 간방(間方)이 된다.

네 정방위와 네 간방을 합(合)하면 팔괘방위(八卦方位)를 이룬다.

팔괘는 감(坎子) 간(艮) 진(震卯) 손(巽) 이(離午) 곤(坤) 태(兌酉) 건(乾)이다.

팔괘가 자묘오유(子卯午酉) 지지(地支)자이면 좌우(左右)에 天干자를 배치하였고, 간손곤건(艮巽坤乾) 사유(四維)자이면 지지(地支) 자를 좌우(左右)에 배치하였다.

팔괘(八卦) 하나 3方位씩 배열해서 陰陽의 조화를 이루었다.

좌향(坐向)을 측정할 때 坐와 向은 항상 대칭 관계가 된다.

4층

十二地支가 1년 열두 달과 관계가 있어 二十四方位는 절기(節氣)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지구가 태양 주위를 한바퀴 도는 공전주기는 1년 365일이며 二十四節氣로 나누어지며, 한 절기(節氣)는 15.218425일(日)이다.

나경(羅經) 원둘레는 360°이고 한 방위는 15°로 약간의 오차는 있지만 서로 같다고 본다.

나경(羅經)의 0°는 정북(正北) 자(子)다.

절기(節氣)의 동지(冬至)와 같고 양(陽)의 시발점이다.

그 다음은 시계방향(時計方向)으로 15° 간격으로 계(癸)가 되는데 절기(節氣)로는 소한(小寒)에 해당된다.

축(丑)은 대한(大寒), 간(艮)은 입춘(立春), 인(寅)은 우수(雨水), 갑(甲)은 경칩(驚蟄), 卯는 정동(正東)으로 90°인 춘분(春分)이 된다.

을(乙)은 청명(淸明), 진(辰)은 곡우(穀雨), 손(巽)은 입하(立夏), 사(巳)는 소만(小滿), 丙은 망종(芒種), 午는 정남(正南)이며 180°인 하지(夏至)가 되고 음(陰)이 시작되는 점이다.

정(丁)은 소서(小暑), 미(未)는 대서(大暑), 곤(坤)은 입추(立秋), 신 申은 처서(處暑), 庚은 백로(白露), 유(酉)는 정서(正西)이며 270°인 추분(秋分)이다.

신(辛)은 한로(寒露), 술(戌)은 상강(霜降), 건(乾)은 입동(立冬), 亥는 소설(小雪), 임(壬)은 대설(大雪), 다시 원점(原點)으로 돌아와 정북(正北)인 자(子)로 동지(冬至)가 된다.

1. 춘(春 봄).

1) 입춘(立春)

양력 2월 4~5일경 (음력 정월 절기, 艮)

음력 정월(正月)이 시작된다.

동풍(東風)이 불어 언 땅이 녹고, 동면(冬眠)했던 벌레들이 움직이기 시작한다.

물고기들은 얼음 밑을 돌아다닌다.

2) 우수(雨水)

양력 2월 19~20일경 (음력 정월 중기, 寅)

봄을 알리는 단비가 내려 대지를 적신다.

겨우내 얼었던 대지가 녹아 물이 많아진다는 의미로 우수(雨水)라 하며, 대동강 물이 풀린다는 옛말이 있다.

3) 경칩(驚蟄)

양력 3월 5~6일경(음력 2월 절기, 甲)

날씨가 따뜻해져 초목(草木)의 싹이 돋고, 동면(冬眠)했던 동물이 깨어 꿈틀대기 시작한다.

개구리가 잠에서 깨어 나온다는 말이 있다.

4) 춘분(春分)

양력 3월 21~22일경(음력 2월 중기, 卯)

밤과 낮의 길이가 같고 제비가 날아오고, 우레 소리가 들린다. 그 해 처음 번개가 친다고 한다.

5) 청명(淸明)

양력 4월 5~6일경([음력 3월 절기, 乙)

날씨가 청명하다 라는 말이 있듯이 맑고 깨끗한 기후의 절기다.

한식(寒食)날이 이날을 전후하여 있다. 이날 묘지 수리를 하면 좋다고 한다.

6) 곡우(穀雨)

양력 4월 20~21일경(음력 3월 중기, 辰)

봄비가 내려 백곡(百穀)이 윤택해지는 절기다.

농가에서는 못자리를 마련하고 한 해 농사가 시작된다.

2. 하(夏 여름).

7) 입하(立夏)

양력 5월 6~7일경(음력 4월 절기, 巽)

여름에 들어섰다고 하여 입하(立夏)라 한다.

청개구리가 울고, 지렁이가 땅에서 나온다.

참외가 나오는 절기다.

8) 소만(小滿)

양력 5월 21~22일경(음력 4월 중기, 巳)

만물이 생장하여 가득 찬다는 의미다.

날씨가 여름 날씨로 접어들며, 보리수확을 하고 모내기가 시작되는 절기다.

9) 망종(芒種)

양력 6월 6~7일경(음력 5월 절기, 丙)

종자를 뿌려야 할 적당한 시기라는 의미다.

보리 베기와 모내기가 완성되는 시기다.

까마귀와 왜가리가 나타난다.

10) 하지(夏至)

양력 6월 21일~22일경(음력 5월 중기, 午)

낮의 길이가 1년 중 가장 긴 날이다.

지구 표면이 태양열을 가장 많이 받아 날씨가 더욱 더워진다.

11) 소서(小暑)

양력 7월 7~8일경(음력 6월 절기, 丁)

더위가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장마 전선의 정체로 습도가 높아 불쾌지수가 높다.

장마철이 시작된다.

12) 대서(大暑)

양력 7월 23~24일경(음력 6월 중기, 未)

폭염의 더위가 심한 중복(中伏)의 절기다.

장마로 인한 많은 비가 내린다.

3. 추(秋 가을).

13) 입추(立秋)

양력 8월 8~9일경(음력 7월 절기, 坤)

날씨가 가을의 문턱에 와 서늘한 바람이 불어온다.

이슬이 진하게 내리고, 귀뚜라미가 운다.

14) 처서(處暑)

양력 8월 23~24일경(음력 7월 중기, 申)

더위가 물러간다는 의미다.

천지가 쓸쓸해지며 논의 벼가 익는다.

매가 새를 잡아 늘어놓는다는 말이 있다.

15) 백로(白露)

양력 9월8~9일경(음력 8월 절기, 庚)

밤에 기온이 내려가 이슬이 풀잎에 맺히는 시기다.

기러기가 날아오고, 제비가 돌아간다.

새들은 먹이를 저장한다.

16) 추분(秋分)

양력 9월 23~24일경(음력 8월 중기, 酉)

밤낮의 길이가 같다.

추수기가 시작되고, 백곡이 풍성한 때다.

우레 소리가 그치고, 동면할 벌레가 구멍을 막는다.

땅위의 물이 마르기 시작한다.

17) 한로(寒露)

양력 10월 8~9일경(음력 9월 절기, 辛)

찬이슬이 내린다는 의미다.

초목들은 단풍이 짙어지고, 여름새와 겨울새가 교체되는 절기다.

오곡백과(五穀百果)를 수확하고, 국화꽃이 핀다.

18) 상강(霜降)

양력 10월 23~24일경(음력 9월 중기, 戌)

찬 서리가 내린다는 의미다.

쾌청한 가을 날씨가 계속되며, 밤에는 기온이 낮다.

초목이 누렇게 변색하여 낙엽이 진다.

동면하는 벌레가 모두 땅 속으로 숨는다.

4. 동(冬 겨울).

19) 입동(立冬)

양력 11월 7~8일경(음력 10월 절기, 乾)

겨울로 접어드는 절기다.

물과 땅이 처음 언다.

꿩은 드물고 조개가 잡힌다고 한다.

20) 소설(小雪)

양력 11월 2~23일경(음력 10월 중기, 亥)

첫 눈이 내린다는 의미다.

첫 겨울의 증후가 보인다.

21) 대설(大雪)

양력 12월 7~8일경(음력 11월 절기, 壬)

눈이 많이 내린다는 의미다.

실제 추위는 동지를 넘어서 온다.

22) 동지(冬至)

양력 12월 22~23일경(음력 11월 중기, 子)

밤의 길이가 가장 길다.

역귀를 쫓는다는 의미로 새알심이라는 단자를 넣은 팥죽을 쑤어 먹고, 팥죽 물을 벽이나 문에 뿌렸다.

23) 소한(小寒)

양력 1월 6~7일경(음력 12월 절기, 癸)

춥다는 의미다.

대한이 더 춥다는 의미이지만 실제로는 소한 때가 더 추워, 대한이 소한 집에 놀러갔다가 얼어 죽었다. 는 말이 있다.

24) 대한(大寒)

양력 1월 20~21일경(음력 12월 중기, 丑)

겨울 추위가 매듭을 짓는다는 의미다.

1년의 마지막 절기다.

지사(地師)

또는 지관(地官).

풍수설에 따라 집터나 묏자리 따위를 가려잡는 사람.

지산겸(地山謙)

성명 역괘 87 괘.

어렵게 가까스로 한 마디의 풀 가지를 얻게되니 수천 만장이나 크나크게 변하게 된다.

창칼을 들고 도적질을 하려고 남의 담장을 넘게 되는 흉수다.

지산겸(地山謙) 年運

위에는 땅 地坤이요 아래는 산 山艮이다. 謙은 겸손하다의 뜻이다.

산은 높은 것이지만 낮은 땅 밑에 있음으로 견손한 것이다.

이 운수를 얻는 겨우 처음은 무슨 일이나 이루기가 힘들고 노고가 많고 물질면에도 장애가 있다.

그러나 뒤에는 길운이 찾아온다. 물질적인 일보다는 정신적인 일에 기쁨이 있다.

당신이 여성이라면 한층 더 겸양하고 예의가 필요하다.

이 卦를 얻으면 지위를 막론하고 겸손해야 한다.

산이 말해주는 겸허한 미덕을 본받아 재능을 과시하거나 교만해서도 안 되고 잠기보다 못한 사람을 위할 줄 알아야 한다. 그러면 절대로 남이 시키거나 업신여기지 아니다.

지살(地煞)

십이신살(十二神殺)의 하나.

지살은 역마살과 거의 같은 것으로 역마의 작용과 비슷해 항상 바쁘고 분주하며 타향이나 외국 같은 먼 곳을 가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지살이 충 되면 교통사고가 따르게 된다.

지살이 재성이면 외부로 돌아다니면서 돈을 버는 외판원 세일즈맨 영업사원 등의 직업을 갖게 되며 年運에 오면 타향이나 외국에 가게 된다.

일지

亥卯未

寅午戌

巳酉丑

申子辰

지살

지선(支線)

지선이란 본선의 어떠한 부분에서 갈라져 나온 가는 금을 지선이라고 한다.

지선에는 두 가지가 있어 그 의미가 각각 다르다.

즉 위쪽으로 갈라져 뻗은 선(線)과 아래쪽으로 갈라져서 뻗어 나간 線의 크게 두 종류이다.

나뭇가지와도 같이 나누어진 지선은 운명의 변화를 말한다.

1. 상향한 지선. 위로 향한 지선은 대체로 좋은 의미를 나타내고 본선의 힘을 강하게 하는 작용이 있다.

2. 하향한 지선. 아래로 향한 지선은 대체로 나쁜 의미를 나타내며 본선의 힘을 약하게 하는 작용이 있다.

3. 이우선. 금의 끝 쪽이 보기 좋은 모양으로 두 갈래 혹은 세 갈래로 갈라진 금을 말한다.

두 갈래의 경 우 마치 Y자 형으로 된다.

이것은 대체적으로 좋은 의미를 나타낸다. 그러나 어느 금이나 다 그렇다고는 할 수 없다.

4. 방상선. 방상선은 금의 말단에 나타나는 모양이다.

즉 금의 끝이 몇 개로 가늘게 나누어져 방과 같은 금을 말한다.

5. 반선. 반점은 금이라기보다는 기호의 일종이다.

금위에 나타나는 것이 많으므로 금 부분에 넣어 둔다.

이것은 금의 힘을 약하게 하는 의미로 나쁜 것을 뜻한다.

6. 섬형. 이것도 기호이지만 역시 금위에 나타난다.

이것도 나쁜 의미를 나타내는 것으로 실패 질병 곤고를 의미한다.

7) 쇄상선. 이것은 섬 모양의 작은 것이 이어져서 쇄상(쇠사슬모양)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본선의 힘을 약하게 한다.

8) 파상선. 이것은 금이 마치 파도와 같이 물결치는 파상형의 금을 말한다. 

이것도 본선의 힘을 약하게 한다.

9) 중단선 (1.2). 금이 끊어진 것을 말한다.

금이 떨어져도 이중으로 보이게 끊어진 금은 그 금을 흉하게 하는 나쁜 의미이지만 그것이 결정적으로 흉하다는 것은 안이고 어느 정도의 경함을 나타내는 금이다.

똑똑 끊어진 금은 아주 흉한 것을 의미하며 결정적인 때가 많다.

게다가 끊어진 끝의 한쪽이 꼬부라진 것은 더욱 나쁜 상이다.

지성(智性)

오행 오성의 하나.

辰星(진성. 수성)은 사람의 오상으로는 智이고 五事로는 듣는 격(廳청)이다.

지혜가 없고 듣지 못하게 되면 겨울의 월령을 거슬리는 것이어서 水의 氣運이 상하니 벌(罰星)이 辰星에 나타난다.

智는 밝은 지혜로 본체를 삼고 밝게 지혜를 쓰는 것으로 작용을 삼는다.

水는 윤택하게 불려주고 유통함이 있으니 이것은 밝은 지혜를 밝게 쓰는 것이다.

지세지형(持勢之刑)

형(刑)의 하나.

丑戌未를 地勢之形(지세지형)이라 한다.

丑土는 亥子丑 하는 세력을 갖고 戌土는 申酉戌의 세력을 未土는 巳午未의 세력을 갖는다.

未土가 巳午未 세력을 구성하여 戌중 申金을 剋하고, 戌土가 申酉戌 金국을 이뤄서 未중 乙木을 극하고, 丑土가 亥子丑 水국을 이뤄서 未중 丁火와 戌중 丁火를 극하게 되니 세력을 믿고 극을 한다.


'역학백과사전-ㅈ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학사전-ㅈ-16  (0) 2017.11.01
역학사전-ㅈ-15  (0) 2017.11.01
역학사전-ㅈ-13  (0) 2017.11.01
역학사전-ㅈ-12  (0) 2017.10.31
역학사전-ㅈ-11  (0) 2017.1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