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학사전-ㅇ-19 역학사전-ㅇ부-19 원효(元曉) 원효(617~686.3.30), 신라 때의 승려. 속성 설(薛). 법명 원효, 아명 서당(誓幢), 신당(新幢). 설총(薛聰)의 아버지. 압량(押梁, 慶山郡) 출생. 648년(진덕여왕 2년) 황룡사(皇龍寺)에서 승려가 되어 수도에 정진하였다. 가산을 불문에 희사, 초개사(初開寺)를 세우고 자.. 역학백과사전-ㅇ부 2017.12.06
역학사전-ㅇ-18 역학사전-ㅇ부-18 운수행각 원래 행각(行脚)이란 글자 그대로 수행을 위해 여러 곳을 걸어 다니는 것을 의미한다. 일단 수행자는 안거(安居)가 끝나면 흐르는 구름이나 물처럼 선지식을 찾아 떠나게 되어 있다. 운수행각(雲水行脚)인 것이다. 이것은 머무름이나 집착을 벗어나기 위한 하나.. 역학백과사전-ㅇ부 2017.11.24
역학사전-ㅇ-17 역학사전-ㅇ부-17 우인(愚人) 사람의 다섯 품계의 오위(五位)의 하나. 5급(하급)의 4번이다. 소란스럽고 어두우며 아는 것이 없어서 콩과 보리를 분별하지 못하는 것을 우인이라 한다. 마음에는 시작하고 끝까지 하는 법도가 없고 입에는 교훈되는 격언이 나오지 않는다. 어진이의 가르침을.. 역학백과사전-ㅇ부 2017.11.24
역학사전-ㅇ-16 역학사전-ㅇ부-16 용문산(龍門山) 용문산(龍門山)은 경기도 양평군에 있는 산이다. 이 산은 남한강과 홍천강에 둘러싸여 있고, 주변에는 유명산을 비롯하여 중원산, 도일봉 등이 산세를 더하고 있는 암산이다. 경기도에서 네 번째로 높은 산으로 미지산이라는 이름으로 불리었는데 조선을.. 역학백과사전-ㅇ부 2017.11.24
역학사전-ㅇ-15 역학사전-ㅇ부-15 왕자형(王字形) 이 형은 얼굴 모양이 울퉁불퉁하여 뼈만 솟고 살이 없는 것 같이 보이는 상으로 즉 이마 뼈 광대뼈 턱뼈가 불거져 솟은 반면에 눈 부위, 좌우 천이궁 및 좌우 볼이 움푹한 것으로 이러한 형을 가진 사람은 일생동안 큰 재산은 모으기 어렵다. 부모의 유산.. 역학백과사전-ㅇ부 2017.11.24
역학사전-ㅇ-14 역학사전-ㅇ무-14 오행(五行) 이란 五行이란 간단히 말해서 “우주 공간에서 쉬지 않고 운행(運行)하는 다섯 가지의 기운(氣運)으로 木 火 土 金 水 로 표현한다.“ 五行은 우주가 길을 가는 다섯 가지 걸음걸이며 삼라만상이 陰陽으로 대립되어 있는 상태를 균형 있게 순환하게 하는 행동 .. 역학백과사전-ㅇ부 2017.10.25
역학사전-ㅇ-13 역학사전-ㅇ부-13 오장(五臟) 木 : 간. 火 : 심장. 土 : 비장. 金 : 폐. 水 : 신장 1) 木은 간장(肝臟) 간장(肝臟)은 어질다. 간장은 木의 정수(精髓)다. 어진 이는 生하는 것을 좋아하는데 東方은 陽方이고 만물이 나오는 곳이다. 그리하여 간장은 木을 상징하며 색이 푸르고 부드러운 것이다. 2) .. 역학백과사전-ㅇ부 2017.10.25
역학사전-ㅇ-12 역학사전-ㅇ부-12 오역(忤逆) 당사주 부부궁의 하나. 상위에 좋은 거문고를 두고 오랫동안 타지 아니 하도다. 동서로 등을 지고 앉으니 금슬이 화목치 못하리라. 남편은 무슨 연고로 외방에서 정을 빼앗기는고. 만일 이 수가 아니면 이별을 면치 못하리라. 오역 (五逆) 오역죄, 오무간업.. 역학백과사전-ㅇ부 2017.10.25
역학사전-ㅇ-11 역학사전-ㅇ부-11 예수재(豫修齋) 재들이 모두 죽은 이들을 위하는 의식인데 예수재는 특이하게 살아있는 사람들을 위한 재이다. 죽은 후 극락에 태어나기를 기원하여 살아있을 때 미리 닦는 재 의식이다. 사람은 누구나 다 저마다 살아 있는 동안에 진 빚이 있으므로 예수재를 지냄으로.. 역학백과사전-ㅇ부 2017.10.25
역학사전-ㅇ-10 ㅇ부-10 염주(念珠) 염주란 글자대로 「생각하는 구슬이란 뜻」이다. 염주는 우리 인간과 자연의 조화와 합일한다는 상징적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여러 개의 낱알이 한 줄에 꿰어져 만들어진 염주는 비록 알은 하나 하나씩 따로 떨어져 있으나 다른 것들과 연관되어 있는 것처럼 .. 역학백과사전-ㅇ부 2017.08.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