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학사전-ㅊ-8 ㅊ부-8 취화구(吹火口) 불부는 모양 입, 취화구(吹火口) 입의 모양이 마치 불을 부는 것 같이 생겨 항상 둥그렇게 벌리고 있는 것을 취화구라 한다. 빈천 단명한 상으로 의식주 걱정에 평생을 분주하게 살아간다. 측자 1) 입수(入首)가 두 개로 각각의 선익(蟬翼)으로 들어왔고 흙이 무기력.. 역학백과사전-ㅊ부 2017.08.11
역학사전-ㅊ-7 ㅊ부-7 축미충(丑未沖) 지충 일명 육충(六沖)이라 하며 충의 하나. 丑未沖. 매사에 어려움이 많다. 1) 年支와 月支가 沖 일찍이 고향을 떠나 객지에서 긴장된 나날을 보낼 수 있다. 2) 日支와 月支가 沖 부모와 인연이 박덕하고 형제간에 불화 하여 외롭고 고독하다. 3) 日支와 時支가 沖 처자.. 역학백과사전-ㅊ부 2017.08.11
역학사전-ㅊ-6 ㅊ부-6 초발심자경문 사미가 지켜야할 기본 계율을 적은 규율서. 지눌(知訥)의 계초심학인문(誡初心學人文) 신라의 원효(元曉)가 지은 발심수행장(發心修行章), 야운(野雲)이 지은 자경문(自警文)을 합본한 책이다. 조선시대 때 합본 된 것으로 추정되나 언제, 누가 합본하였는지는 알 수 .. 역학백과사전-ㅊ부 2017.08.11
역학사전-ㅊ-5 ㅊ부-5 청룡기(靑龍氣) 관상육기. 청용기는 빛이 누에가 장차 고치를 지으려는 즈음의 빛과 같은 것으로 누린 듯 밝고, 붉은 듯 푸른색으로 이러한 빛이 이마에서부터 삼양 삼음까지 뻗치면 귀자를 낳고 관록궁에 나타나면 벼슬을 얻고, 재백궁에 보이면 횡재하고, 처첩궁에 있으면 좋은 .. 역학백과사전-ㅊ부 2017.08.10
역학사전-ㅊ-4 ㅊ부-4 천지부(天地否) 성명 역괘 18 괘. 바람에 날리는 버드나무 가지가 천년이나 푸르며 한 소나무가 백년이나 외로운 형상이며 가히 저물어 가는 봄빛이 아까우며 새벽에 바람과 빛이 없는 형상이다. 천지부(天地否) 年運 비는 막힌다의 뜻이다. 하늘이 위에 있고 땅이 아래 있으면 사실.. 역학백과사전-ㅊ부 2017.08.10
역학사전-ㅊ-3 ㅊ부-3 천수경(千手經) 천수경이란 경은 대장경에는 없다. 원래 천수경은 신묘장구대다라니경이다. 이 신묘장구대다라니경을 중심으로 앞에 붙여놓은 경과 뒤에 붙여놓은 경은 우리나라 선대 스님들이 만들어 놓은 것으로 우리나라뿐인 유일한 천수경이다. 천수경의 첫 구절 「정구.. 역학백과사전-ㅊ부 2017.07.15
역학사전-ㅊ-2 ㅊ부-2 천구(遷柩) 상례절차(喪禮節次)의 14번, 천구는 영구를 상여 또는 운구차 로 옮기는 것을 말한다. 1) 발인 하루 전 저녁에는 천구할 것을 집안 사당에 제사를 지내며 고한 다. 이때 읽는 축을 조전축(祖奠祝)이라 한다. 축문은, 永遷之禮 靈辰不留 今奉柩車 式遵祖道 (영천지례 영신불.. 역학백과사전-ㅊ부 2017.07.01
역학사전-ㅊ-1 ㅊ부-1 차륜문(車輪紋) 추륜문은 둥그렇게 나타나 꼭 차바퀴와 같이 모이는 상이며 지도자나 정치인에게 좋은 상이다. 만약 차륜문이 있는 사람이 적당한 좋은 직을 얻을 때에는 고위 고관이 되어 크게 성공한다. 또 학예 문학에도 뛰어난 사람이지만 오직 애정 문제를 조심하지 않으면 .. 역학백과사전-ㅊ부 2017.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