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험대길부적 시험에 합격하는 부적 공무원시험. 자격시험. 대학입학시험. 취직시험 등 모든 시험에 신비한 영험이 있는 부적이다. 3장을 작성하여 1장은 몸에 지니고, 1장은 책상앞에 붙여두고, 1장은 시험당일 아침 시험장을 행하여 출발할 때 대문 앞에서 태워버린다. 자세한 것은 아래 책에 기재되.. 부적백과사전 2018.01.13
입춘기도와 삼재풀이 입춘기도와 삼재풀이 차례(책엮음) 입춘정의 입춘기도 준비 입춘기도 순서 입춘기도 진행 삼보통청 삼재풀이 불교식 신중청 염송기도 삼재풀이 민속식 입춘축 삼재부적 입춘(立春)이란? 입춘(立春, 문화어: 립춘)는 24절기중의 하나로, 정월의 절기이다. 태양의 황경이 315˚에 드는 때이.. 행사시리즈 2018.01.02
무술년 무술년 신년 인사드립니다. 나무관세음보살 무술년 세계평화를 기원합니다. 비옵니다 비옵니다 올해는 남북화해와 평화를 기원합니다. 아름다운 사랑의 결실을 간곡히 기원합니다. 비옵니다. 바나이다. 모두가 거시기하도록 발원합니다. 사진모음 2017.12.30
한국 성씨 순위 한국 성씨 인구순위 2015년 12월 31일 현재 통계청 발표한 성씨별 인구순위 001. 김(金): 8,785,554명 1金海, 2慶州, 3光山, 4金寧, 5安東舊, 6義城, 7江陵, 8善山, 9淸風, 10三陟, 11延安, 12淸道, 13商山, 14全州, 15扶安, 16順天, 17安東新, 18羅州, 19彦陽, 20靈光, 21 淸州, 22瑞興, 23咸昌, 24廣州, 25道康, 26 開.. 성씨 2017.12.24
2018년 무술년 택일력 민속택일력 2018년 무술년 불기2562년 단기4351년 목차 2018년 국경일 및 기념일 황구단춘년(무술년) 연령 대조표 띠로 보는 궁합(남자) 띠로 보는 궁합(여자) 음력 생일로 보는 궁합 양력 생일로 보는 별자리 궁합 재운판단 남자 혼인날(음력 월운) 남자 혼인날(일진) 여자 혼인날(음력 월운) .. 택일력 2017.12.23
동지불공 고사 행사시리즈 동지불공 동지(冬至) 동지의정의 동짓달(음력11월) 저녁에 각 가정에서 주로 주부가 제액 초복을 목적으로 집안 곳곳에 팥죽을 뿌리고 가신에게 팥죽을 올리는 세시 의례적 고사. 지방에 따라서는 팥죽제, 동지차례, 동지 마지라고도 한다. 역사 24절기의 맨 처음은 입춘이며 동지는 22번째에 해당한다. 동짓날은 태양이 남회귀선인 적도의 남쪽 23.5°즉 동지선에 이르는 때이다. 이 날 지구의 북반구에서는 낮이 가장 짧고 밤이 가장 길다. 하지로부터 차츰 짧아진 낮의 길이가 이날에 이르러서 가장 짧아졌다가 다시 길어지기 시작한다. 옛날 사람들은 이를 태양의 부활로 여겨 농가월령가에서 ?일양이 생하 도다?한 것처럼 하나의 명절로 삼았다. 동지를 아세 라 한다든지 고대의 역법에서 설날로 삼았다고 하는 것.. 동지불공 2017.12.15
역학사전-ㅇ-32 역학사전-ㅇ부-32 입 (논구論口) 입은 말(言)하는 문이 되며 음식을 먹는 도구가 되며 이를 출납관이라 말한다. 입은 또한 바다를 상징하는데 오행으로는 수성이며 사독 가운데 회독에 속한다. 입은 만물 조화의 관문이며 중심을 표현하는 곳으로 상벌과 시비를 분별하는 기관이다. 이곳이.. 역학백과사전-ㅇ부 2017.12.09
역학사전-ㅇ-31 역학사전-ㅇ부-31 임술(壬戌) 천간의 59번째. 1) 年 : 검둥개. 2) 月 : 안개가 많이 끼는 달 3) 日 : 辛인수9 丁정재 합식상3 戊편관18, 자유로움, 예지능력, 미래지향적, 창작 아이디어, 외강내유. 4) 時 : 흡수하고 받아드리는 시기. 임술(壬戌) 일(日) 궁리(窮理)인 壬水가 偏官인 戊土와 正印인 .. 역학백과사전-ㅇ부 2017.12.09
역학사전-ㅇ-30 역학사전-ㅇ부-30 일자문성 일자문성(一字文星)에 부귀쌍전(富貴雙全)이니 도지사, 장관이 나는 귀(貴)한 사격(砂格)이니 산천정기(山川精氣)가 가득하면 산봉정상(山峯頂上)이 네모반듯하고 평평하여 용수(聳秀)하며 청수(淸秀)하게 일자문성(一字文星)을 이룬다. 일자문성(一字文星)의 .. 역학백과사전-ㅇ부 2017.12.09
역학사전-ㅇ-29 역학사전-ㅇ부-29 일광보살(日光菩薩) 약사여래의 협시보살로 월광보살과 함께 좌우에 보처한다. 약사삼존의 하나다. 범어로는 수르야프라바. 일명 일광변조보살(日光遍照菩薩)이라고도 한다. 이집트 신화의 태양신 “라”나 그리스신화의 아폴로 신을 비교할 수 있다. 그리스신화의 태.. 카테고리 없음 2017.12.09
역학사전-ㅇ-28 역학사전-ㅇ부-28 인중(人中) 인중은 준두와 입의 사이에 위치한 것으로 비유하건대 구혁(물도랑)과 같다. 도랑이 넓고 깊으면 막힘이 없고 얕고 좁으면 물길이 막혀 잘 흐르지 못한다. 인중은 즉, 한 몸의 도랑으로써 인중의 길고 짧음과 넓고 좁음으로 수명의 장단과 자녀의 다수를 판단.. 카테고리 없음 2017.12.09
역학사진-ㅇ-27 역학사전-ㅇ부-27 이(2) 지성성 탄생 숫자로 보는 성운의 하나. 민감하며 자기 방어적이다. 날 때부터 남을 경계하는 의식이 발달되어 있고 주위 환경에 대해 본능적으로 느끼는 감각이 탁월하다. 또한 수줍음이 많고 자의식이 강하며 조용한 분위기를 좋아한다. 감정의 기복이 적어 화려.. 카테고리 없음 2017.12.09
역학사전-ㅇ-26 역학사전-ㅇ부-26 이무기 이무기는 한국의 전설에 등장하는 상상의 동물이다. 용이 되기 전 상태의 동물로, 여러 해 묵은 구렁이를 말하기도 한다. 차가운 물속에서 1000년 동안 지내면 용으로 변한 뒤 굉음과 함께 폭풍우을 불러 하늘로 날아올라간다고 여겨졌다. 이무기는 호수, 연못, 강 .. 역학백과사전-ㅇ부 2017.12.06
역학사전-ㅇ-25 역학사전-ㅇ부-25 음욕살(淫浴煞) 日柱가 甲寅 乙卯 丁未 戊戌 己未 庚申 辛酉 癸丑이 음욕살이다. 男子의 日柱면 부정한 처를 두고, 時柱면 불효의 자식을 둔다. 女子의 日柱면 인륜의 도를 버리고 배우자의 복이 없으며 심신이 고달프다. 음중지양(陰中之陽) ◕ 陰에서 陽으로 변하는 .. 역학백과사전-ㅇ부 2017.12.06
역학사전-ㅇ-24 역학사전-ㅇ부-24 음궁(淫宮) 당사주 팔궁의 하나. 복이 음부에서 솟음이니 필시 생산하는 데서 발복함이다. 주어진 일에 전전긍긍하지 말고 새로운 일을 창안하고 잉태하여 출산시키는 일이 행운의 열쇠다. 생각을 잉태시켜라. 그리하여 출산시키고 성장 시켜라. 반드시 행운이 열리리라.. 역학백과사전-ㅇ부 2017.12.06
역학사전-ㅇ-23 역학사전-ㅇ부-23 을목(乙木) 일주(日柱) 乙木의 기본형은 정재(正財)이다. 치밀(緻密)하고 꼼꼼하며 빈틈이 없고 또 물질적(物質的)인 분야에 대단히 민감한 성분이기도 하다. 그야말로 재물(財物)이라고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성분은 생명력(生命力)을 의미하기도 하며, 생명력이 끈질긴 .. 역학백과사전-ㅇ부 2017.12.06
역학사전-ㅇ-22 역학사진-ㅇ부-22 육정육갑(六丁六甲) 기도 육정 육갑기도. 북두 자부신선의 옹호와 칠성의 자상 12지신의 큰 가피력을 얻고자 하면 이 육정육갑 기도를 드린다. 1. 기도요령. 1) 조용한 곳에 기도 장소를 정한다. 2) 조그만 상위에 촛불 두 가락, 청수 한 그릇, 향로에 향을 피운다. 3) 매일 해.. 역학백과사전-ㅇ부 2017.12.06
역학사전-ㅇ-21 역학사전-ㅇ부-21 육물(六物) 육물이란, 比丘가 항상 몸에 지니는 육종(六種)의 제구를 말한다. 1) 승가리(大衣) 2) 울다라승(中衣) 3) 안타회(下衣) 4) 발다라(應器) 5) 니사단(坐具) 6) 발리살리대나(록낭)의 여섯 가지 육미(六味) 여섯 가지의 맛 즉 苦(쓴맛), 酸(신맛), 甘(단맛), 辛(매운맛), 鹹(.. 역학백과사전-ㅇ부 2017.12.06
역학사전-ㅇ-20 역학사전-ㅇ부-20 위엄지합(威嚴之合) 天干合의 하나. 丙辛 合化 水.겉으로는 위엄이 있으나 정숙하지 못하고 성격은 잔인하고 색을 밝힌다. 丙日生 辛合은 지혜는 뛰어나나 꾀를 잘 쓰며 예의가 없으며 성생활이 문란하다. 辛日生 丙合은 소심하며 배짱이 약하며 신체도 작은 편이다. 위.. 역학백과사전-ㅇ부 2017.12.06
역학사전-ㅇ-19 역학사전-ㅇ부-19 원효(元曉) 원효(617~686.3.30), 신라 때의 승려. 속성 설(薛). 법명 원효, 아명 서당(誓幢), 신당(新幢). 설총(薛聰)의 아버지. 압량(押梁, 慶山郡) 출생. 648년(진덕여왕 2년) 황룡사(皇龍寺)에서 승려가 되어 수도에 정진하였다. 가산을 불문에 희사, 초개사(初開寺)를 세우고 자.. 역학백과사전-ㅇ부 2017.12.06
역학사전-ㅅ-31 역학사전-ㅅ부-31 십이운성(十二運星) 십이지는 음과 양이 발생하고 성장하며 성숙하고 노쇠 하는 왕쇠 강약을 세부적인 치수로서 나타낼 뿐 아니라 오행의 왕쇠 강약까지도 세밀히 밝혀준다. 음양의 3양3음은 음양의 왕쇠 강약을 1에서 6까지 6단계로 나눈 데 반해서 오행의 왕쇠 강약은 1.. 역학백과사전-ㅅ부 2017.12.01
역학사전-ㅅ-30 역학사전-ㅅ부-30 실상염불(實相念佛) 1) 자신과 아울러 일체 제법의 진실한 자성인 법신을 관하는 것. 2) 4종 염불의 하나로 자신과 아울러 일체제법의 진실한 자성(自性)인 법신을 관하는 것. 실패(失敗) 일이 뜻한바 대로 되지 못하거나 그릇됨. 뜻을 이루지 못함. 심룡(尋龍) 풍수(風水)의.. 역학백과사전-ㅅ부 2017.12.01
역학사전-ㅅ-29 역학사전-ㅅ부-29 신묘(辛卯) 六十甲子의 28번째. 1) 年 : 흰토끼. 2) 月 : 산야초와 특히 약초가 돋아나는 계절. 3) 日 : 甲정재10 乙편재2, 멋, 날카로움, 겁이 없음. 4) 時 : 냉정한 시기. 신묘(辛卯) 일(日) 경쟁심의 辛金이 偏財인 乙木을 만난 형상이다. 이러한 성분의 결합은 상당히 강력하게 .. 역학백과사전-ㅅ부 2017.12.01
역학사전-ㅅ-28 역학사전-ㅅ부-28 시다림(尸茶林) 1) 사람이 죽어 다비하기까지 정중한 의식을 하게 되는데 이런 의식을 시다림이라고 한다. 이 시다림이란 말은 부처님 당시 사람이 죽으면 사다림이라는 숲에 버리는 관습이 있었는데 석존께서 그 시다림에 가서 죽은 사람들을 위해 무상법문을 한 데서 .. 역학백과사전-ㅅ부 2017.12.01
역학사전-ㅅ-27 역학사전-ㅅ부-27 숭배(崇拜) 숭배(崇拜)란 어느 신이나 사람, 또는 물체 등을 섬기는 것을 의미한다. 숭배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 자연숭배 이 부분의 본문은 자연숭배이다. 1. 천(天)은 고대(高大)하고 원유(遠幽)한 거리와 그 불변성(不變性)으로 인하여 사람들의 신성(信誠)의 대상.. 역학백과사전-ㅅ부 2017.12.01
역학사전-ㅅ-26 역학사전-ㅅ부-26 수천수(水天需) 성명 역괘 61 괘. 늙은 나무 즉 고목이 따뜻한 봄을 만나니 가지와 줄기가 생기를 얻게 되며 봄의 복숭아꽃이 강호 위 천리에 빛이 있게 된다. 수천수(水天需) 年運 위는 물水坎이요 아래는 乾 하늘이니 水天需라 한다. 需(수)는 수(須)와 같은 것이니 기다.. 역학백과사전-ㅅ부 2017.12.01
역학사전-ㅅ-25 역학사전-ㅅ부-25 수세심혈법(水勢尋穴法) 風水 혈세(穴勢)의 하나. 수세심혈법(水勢尋穴法)은 물을 보고 혈(穴)을 찾는 방법(方法)이다. 물은 움직이는 양(陽)의 기운(氣運)이다. 반면에 용(龍)은 움직이지 않는 음(陰)의 기운(氣運)이다. 혈(穴)은 산과 물이 서로 만나 음양조화(陰陽造化)를.. 역학백과사전-ㅅ부 2017.12.01
역학사전-ㅇ-18 역학사전-ㅇ부-18 운수행각 원래 행각(行脚)이란 글자 그대로 수행을 위해 여러 곳을 걸어 다니는 것을 의미한다. 일단 수행자는 안거(安居)가 끝나면 흐르는 구름이나 물처럼 선지식을 찾아 떠나게 되어 있다. 운수행각(雲水行脚)인 것이다. 이것은 머무름이나 집착을 벗어나기 위한 하나.. 역학백과사전-ㅇ부 2017.11.24
역학사전-ㅇ-17 역학사전-ㅇ부-17 우인(愚人) 사람의 다섯 품계의 오위(五位)의 하나. 5급(하급)의 4번이다. 소란스럽고 어두우며 아는 것이 없어서 콩과 보리를 분별하지 못하는 것을 우인이라 한다. 마음에는 시작하고 끝까지 하는 법도가 없고 입에는 교훈되는 격언이 나오지 않는다. 어진이의 가르침을.. 역학백과사전-ㅇ부 2017.11.24
역학사전-ㅇ-16 역학사전-ㅇ부-16 용문산(龍門山) 용문산(龍門山)은 경기도 양평군에 있는 산이다. 이 산은 남한강과 홍천강에 둘러싸여 있고, 주변에는 유명산을 비롯하여 중원산, 도일봉 등이 산세를 더하고 있는 암산이다. 경기도에서 네 번째로 높은 산으로 미지산이라는 이름으로 불리었는데 조선을.. 역학백과사전-ㅇ부 2017.11.24